• 제목/요약/키워드: 섭식 장애 행동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3초

섭식장애 환자의 섭식장애 증상, 우울, 강박성이 자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Psychopathology, Obsessive-Compulsion and Depression on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 공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459-468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factors such a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that might influence self-harm behavior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n=135) who visited "M" clinic for eating disor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to August 2007 using 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Beck Depression Inventory, Maudsley Obsessional-Compulsive Inventory, and Self-Harm Inventory (SHI). Results: The participants scored high on self-harm as well as on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On the SHI, a high frequency of self harm behavior such as 'torturing self with self-defeating thoughts', 'abused alcohol', 'hit self', and 'suicide attempt' were found for the participa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most eating psychopathology variables, depression, obsessive-compulsion, and self-harm behavior. 'Interoceptive awareness'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and 'checking' (obsessive-compuls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elf-harm behavior. Conclusion: Future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should focus on assessing the possibility of self-harm and suicidal attempts, especially in those patients with high levels of eating psychopathology, depression, or obsessive-compulsion. Early intervention for depression and obsessive-compulsion could contribute to preventing self-harm and suicide in patients with eating disorders.

음식 심리학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Food Psychology)

  • 김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93-40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음식 심리학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여 음식이 가지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영향력을 이해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음식 심리학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맛의 지각은 감각적 정보 뿐 아니라 개인의 내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인의 마음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식 섭취의 심리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에는 섭식억제이론, 정서 조절 이론, 자기주의이론에 근거한 폭식에 관한 도피모형 등이 확인되었다. 셋째, 음식 관련 진단도구에는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 까다로운 섭식 척도, 섭식억제 척도, 부정적 정서에 따른 섭식동기 척도, 보상적 섭식 욕구척도, 음식 갈망-특질 척도, 음식중독 척도, 적응적 섭식 척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폭식과 관련한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에 대한 연구는 음식갈망, 폭식장애, 신경성 폭식증, 섭식억제, 건강음식집착증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의 치료와 관련한 연구는 단기 심리교육, 억제통제훈련, 심상처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식이 가지는 정서적인 영향력과 음식과 관련한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여고생의 섭식문제 구조모형 구축: 생체행동가족모형의 적용 (Testing the Biobehavioral Family Model in Understanding the Eating Problems of Adolescent Girls)

  • 박지영;백수연;김희순;임정하;김태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9권3호
    • /
    • pp.228-237
    • /
    • 2013
  • 목적 여고생의 섭식문제에 영향을 주는 요인 및 경로를 설명하는 모형을 구축하고 검정하여, 여고생 섭식장애 예방을 위한 경로모형을 제시하고자 함. 방법 본 연구는 횡단적 조사연구로서 Wood 등(2000)의 생체행동가족모형에 근거하여 여고생의 섭식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검증함. 결과 본 연구결과 여고생의 섭식문제에 영향을 주는 가족적 요인에 대한 경로모형이 생체행동가족모형에 근거하여 구축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남. 우울은 섭식문제에 직접효과가 있었으며, 가족적 요인은 섭식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은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섭식문제에 우울을 매개로 간접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남. 결론 여고생 섭식문제에 가족이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으며 추후 섭식문제의 치료를 위해 가족을 활용한 중재연구의 개발 및 효과평가를 제언하는 바임. 본 연구는 청소년 섭식문제의 발생에 있어 가족의 구체적인 영향력을 확인하려 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짐.

섭식장애 청소년을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Eating Disorders)

  • 금다정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developing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eating disorders. Methods: The specific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this program involved establishing a program goal, analyzing existing CBT programs, and constructing a CBT program. Results: The program consisted of 12 sessions, which is shorter than typical programs conducted for people with eating disorders, in order to reduce the dropout rate. Each session was 40~60 minutes long, and included the use of the psychoeducation, Dysfunctional Thought Record, and activity planning. The participants attended 5 sessions individually and 7 with their family members. Conclusion: This study presented a 12-session CBT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eating disorders. These results will provide valuable data for developing effective program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se adolescents.

여자청소년의 신체관련변인, 자존감, 내적통제력이 섭식장애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Adolescent Body-Related Variables,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on Eating Disorder Behavior)

  • 김갑숙;강연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3호
    • /
    • pp.77-87
    • /
    • 2007
  • This study purports to underst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eating disorder behavior of female adolescents and their body-related variables(concerning the degree of diet regime, weight control, body satisfaction, and obesity), self-esteem and internal control, by checking three sub-categorized behavior of eating disorders of diet behavior, bulimia behavior, and eating control behavior. The sample group used for the study consisted of 190 female high school students and 292 female university students; measurement devices used for the study were those of body-related variables, self esteem and internal control, and eating disorder behavior; an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hi}2$, t-test, Pearson's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regarding their body satisfaction,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self esteem. University student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body, have higher self esteem, and control their weight better than high school students. Second, diet behavior shows a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body satisfaction. Body satisfaction and internal control proved to be correlated with bulimia behavior, while weight control experience, obesity, and self esteem were correlated with eating control behavior. Third, the variables that showed a direct influence on diet behavior as an eating disorder are diet interest, weight control experience, body satisfaction and obesity, in tha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variables is 60.7% with the highest mark on obesity. The variables that showed effects on bulimia are body satisfaction and internal control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2.8%. Indirect variables effecting bulimia include objects, diet interest, body satisfaction, and self esteem. The variable with a direct influence on eating control behavior was self esteem with and explanatory power of 4%, whereas the variables of objects, diet interest, body satisfaction, weight control experience, and internal control were all indirectly correlated with eating control behavior.

Leptin의 신경생물학 : 섭식의 신경내분비 조절 (Neurobiology of Leptin : Neuroendocrine Regulation of Food Intake)

  • 김승현;조숙행
    • 정신신체의학
    • /
    • 제7권2호
    • /
    • pp.149-157
    • /
    • 1999
  • 인간은 에너지 섭취와 소모에 있어 변동이 심한 편이지만 비교적 일정한 체중을 유지하고 적절하게 섭식행동을 조절한다. 그러나 이러한 조절기전에 문제가 발생하면 비만이나 그 이외의 다른 섭식장애를 일으키게 되며 다양한 후유증을 야기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에 소개되기 시작한 호르몬인 leptin이 섭식의 조절과 에너지의 항상성을 조절하는데 있어 어떻게 중요한 작용을 하게되는지 조사하여 주로 정신과 영역에서 관심을 기울일 만한 부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Leptin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그 역할은 주로 음식의 섭취를 제한하고 에너지의 소모를 증가시키는 호르몬으로 소개되었지만, 점차 그 이외의 다른 신체 기능 즉, 생식주기나 신경대분기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면서 정선과 영역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leptin의 작용기전은 매우 복잡하며 많은 부분이 아직도 불분명한 상태에 있다. 이에 저자들은 중추신경계에서 현재까지 알려진 leptin의 작용기전에 대해 살펴보고 섭식과 관련된 그 밖의 다른 신경전달물질들과의 상호작용 그리고 섭식장애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최근 문헌들을 조사하여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 PDF

부모의 양육태도가 섭식장애의 발병과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 (Parental Behavior Influence on the Onset and Severity of Anorexia Nervosa and Bulimia Nervosa)

  • 이정은;이정현;정영철;박준영;남궁기;박동화;김경란
    • 정신신체의학
    • /
    • 제23권1호
    • /
    • pp.3-11
    • /
    • 2015
  • 연구목적 한국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을 진단받은 환자 군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와 각 아형에서 부모 양육태도의 차이가 발병 나이와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67명의 섭식장애 환자(신경성 식욕부진증, N=49 ; 신경성 폭식증, N=118)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가보고식 설문지인 부모 양육행동 척도(Parental Behavior Inventory, PBI)를 시행하여 환자가 인식하는 부모님의 양육행동을 측정하였으며, 섭식장애 검사 개정판(The Eating disorder Inventory-2, EDI-2)를 통하여 증상의 심각도를 평가하였다. 결 과 신경성 식욕부진증 환자를 발병 나이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16세 이후에 발병한 군보다 16세 이전에 조기 발병한 경우 낮은 아버지의 애정, 높은 아버지의 합리적 설명, 낮은 어머니의 과잉간섭을 보고하였다.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EDI-2)는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에서 어머니의 애정, 합리적 설명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단계별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아버지의 애정, 어머니의 과잉기대와 합리적 설명이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발병 나이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두 집단에서 모두 어머니의 애정이 높을 수록 EDI-2의 점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섭식장애 환자의 평가 및 치료에서 가족의 기능과 인식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겠다. 본 연구 결과는 아버지의 양육방식이 섭식장애 발병나이에 미치는 영향을 밝힘으로써 이제까지 상대적으로 부족하게 평가되었던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뿐 아니라, 섭식장애 증상의 심각도와 어머니의 애정과의 관련성을 확인함으로써 가족 기능에 대한 평가가 치료에 필수적임을 입증하였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에 대한 해석 및 적용을 위한 후속 연구들이 필요하겠다.

대학생의 섭식장애 행동에 관련된 요인 (Factors Related to Eating Disorder Behavior in University Students)

  • 김기남;김영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3-9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ody image, body dissatisfaction, and drive for slimness, as mediated by self-esteem and depression, on eating disorder behavior according to gende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43 male and 323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in Cheonju. On the basis of previous literature, the theoretical model was specified and estimated for the adequacy of statistical fit for male and female students separately.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was supported by the data and fitted adequately. As expected, body image, body dissatisfaction, and desire for thinness had 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for female students. However, whereas body image and body dis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on male students' self-esteem, while desire for gaining weight had no direct effect. Eating disorder behavior in female students was predicted by body dissatisfaction, body image, and self-esteem. For male students, desire for gaining weight and self-esteem strongly predicted eating disorder behavior.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influence of body image, body dissatisfaction, and desire for thinness on eating disorder behavior can be mediated not by depression but by self-esteem.

여대생의 섭식장애행동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s,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in College Women)

  • 성미혜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9-66
    • /
    • 200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college women. Method: Participants were 282 college women. Data were collected between Nov. 1st and 30th, 2003, and provide basic data on eating disorder levels in college women and basic data for health control programs. The instrument wa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8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eight control, 24 on eating disorders, 10 on self-esteem and 10 on depression.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SPSS WIN 10.0 was used in data analysis. Result: The greatest difference for eating disorders was between the group with normal body weight and the group with low body weight (t=-6.94, p=.000). There was a high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Body Mass Index and eating disorder (r=.383, p<.01), between eating disorder and depression (r=.161, p<.01). There was a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ating disorder and self-esteem (r=-.196, p<.01), and between self-esteem and depression (r=-.537, p<.01).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ollege women need more education and counseling on dietary concerns. Also, systematic efforts to establish a more health conscious social standard for beauty should be taken. Further empir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attitudes towards eating held by college women and to determine variables which affect various specific dimensions of these attitud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