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loratory Study on Food Psychology

음식 심리학에 대한 탐색적 고찰

  • Received : 2022.02.08
  • Accepted : 2022.03.22
  • Published : 2022.05.28

Abstract

This study tried to deriv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food psychology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influence of food. The results of an exploratory study on food psycholog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erception of taste is related to an individual's state of mind. Second, as the theories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food intake, the eating inhibition theory, the emotion regulation theory, and the escape model for binge eating based on the narcissistic theory were confirmed. Third, it was found that tools that can measure symptoms related to binge eating occupy a large portion of food-related diagnostic tools. Fourth, research on food-related psychological disorders was conducted on food cravings, binge eating disorder, bulimia nervosa, eating inhibition, and healthy food obsession. Fifth, it was found that studies related to the treatment of food-related psychological disorders were focused on th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approach. This study will serve as a basis for understanding and intervening in the emotional impact of food and psychological problems related to food.

본 연구에서는 음식 심리학과 관련한 문헌을 분석하여 음식이 가지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영향력을 이해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음식 심리학에 대해 탐색적으로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맛의 지각은 감각적 정보 뿐 아니라 개인의 내적 특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어 개인의 마음 상태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식 섭취의 심리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에는 섭식억제이론, 정서 조절 이론, 자기주의이론에 근거한 폭식에 관한 도피모형 등이 확인되었다. 셋째, 음식 관련 진단도구에는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 까다로운 섭식 척도, 섭식억제 척도, 부정적 정서에 따른 섭식동기 척도, 보상적 섭식 욕구척도, 음식 갈망-특질 척도, 음식중독 척도, 적응적 섭식 척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폭식과 관련한 증상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에 대한 연구는 음식갈망, 폭식장애, 신경성 폭식증, 섭식억제, 건강음식집착증과 관련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다섯째, 음식 관련 심리장애의 치료와 관련한 연구는 단기 심리교육, 억제통제훈련, 심상처치,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인지행동 집단치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인지행동치료적 접근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음식이 가지는 정서적인 영향력과 음식과 관련한 심리적 문제를 이해하고 개입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J. D. Trosi and S. Grabriel, "Chicken soup really is good for the soul: 'Comfort food' fulfills the need to belong," Psychological Science, Vol.22, No.6, pp.747-753, 2011. https://doi.org/10.1177/0956797611407931
  2. J. L. Locher, W. C. Yoels, D. Maurer, and van J. Ells, "Comfort foods: an exploratory journey into the social and emotional significance of food," Food & Foodways, Vol.13, No.4, pp.273-297, 2005. https://doi.org/10.1080/07409710500334509
  3. 김지예, 이상희, "컴포트 푸드 구성요인에 대한 대학생의 개념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2권, 제3호, pp.609-629, 2013.
  4. J. Wardle, A. M. Haase, and A. Steptoe, "Body image and weight control in young adults: international comparisons in university students from 22 countrie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Vol.30, No.4, pp.644-651, 2006. https://doi.org/10.1038/sj.ijo.0803050
  5. 이상희, 오보영, "여자 대학생의 다이어트 인식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3권, 제2호, pp.149-171, 2018.
  6. J. A. Boyce, Experimental exposure to ideal-body media images: Restrained caters' self-evaluation, mood and food intake, University of Canterbury, Doctoral dissertation, 2012.
  7. 박용우, 음식중독, 김영사, 2015.
  8. 신지연, 조혜현, 현명호, "건강음식집착증의 진단기준에 대한 문헌고찰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2권, 제2호, pp.239-255, 2017. https://doi.org/10.21074/KJLCAP.2021.22.2.239
  9. E. B. Goldstein and J. Brockmole, Sensation and perception, Cengage Learning, 2016.
  10. 허지원, "맛 지각의 심리학적 기제 및 임상적 함의점에 대한 개관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36권, 제2호, pp.189-213, 2017. https://doi.org/10.22257/KJP.2017.06.36.2.189
  11. N. Imran, "The role of visual cues in consumer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a food product," Nutrition & Food Science, Vol.99, pp.224-230, 1999. https://doi.org/10.1108/00346659910277650
  12. M. Zampini and C. Spence, "The role of auditory cues in modulating the perceived crispness and staleness of potato chips," Journal of Sensory Studies, Vol.19, pp.347-363, 2004. https://doi.org/10.1111/j.1745-459x.2004.080403.x
  13. B. Bastian, J. Jetten, and M. J. Hornsey, "Gustatory pleasure and pain: The offset of acute physical pain enhances responsiveness to taste," Appetite, Vol.72, pp.150-155, 2014. https://doi.org/10.1016/j.appet.2013.10.011
  14. C. P. Herman and J. Polivy, Restrained and unrestrained eating, Saunders, 1980.
  15. A. J. Ruderman, "Diettary restraint: A theoretical and emperical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Vol.99, No.2, pp.247-262, 1986. https://doi.org/10.1037/0033-2909.99.2.247
  16. 배하영, 이민규, "부정적 정서로 유발된 섭식동기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9권, 제1호, pp.187-201, 2004.
  17. T. F. Heatherton and R. F. Baumeister,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Psychological Bulletin, Vol.110, No.1, pp.86-108, 1991. https://doi.org/10.1037/0033-2909.110.1.86
  18. 이상선, 오경자, "몸매와 체중에 근거한 자기 평가와 신체 불만족이 여대생의 이상 섭식 행동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 23권, 제1호, pp.91-106, 2004.
  19. 김인혜, 이영호, "사회 문화적 영향, 신체불만족, 대처방식 및 이분법적 사고가 폭식행동과 절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33권, 제2호, pp.315-339, 2014. https://doi.org/10.15842/kjcp.2014.33.2.006
  20. https://www.nhis.or.kr/nhis/index.do
  21. http://www.yonhapnews.co.kr/
  22. B. W. Smith, B. M. Shelley, L. Leahigh, and B. Vanleit,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s of a modified mindfulness intervention on binge eating," Complementary Health Practice Review, Vol.11, No.3, pp.133-143, 2006. https://doi.org/10.1177/1533210106297217
  23. 전민경, 하주영, "여대생의 다이어트 실패 경험," 질적연구, 제15권, 제2호, pp.89-99, 2014. https://doi.org/10.22284/QR.2014.15.2.89
  24. 이민규, 한덕웅, "섭식억제, 사전음식섭취 및 공적자기주의에 따른 음식섭취행동,"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6권, 제1호, pp.209-233, 2001.
  25. 정경미, 이수진, "한국형 부모의 식사 중 행동척도(K-PMAS)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3호, pp.711-727, 2014.
  26. 백두산, 까다로운 섭식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7. 한덕웅, 이민규, "섭식억제 척도의 개발,"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제20권, 제4호, pp.795-807, 2001.
  28. 양진원, 권석만, "한국판 보상적 섭식 욕구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6권, 제6호, pp.985-1003, 2021. https://doi.org/10.17315/KJHP.2021.26.6.002
  29. 노지혜, 김지혜, 남희정, 임미래, 이동수, 홍경수, "일반적 음식갈망-특질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27권, 제4호, pp.1039-1051, 2008.
  30. 신성만, 윤지혜, 조요한, 고은정, 박명주, "예일음식중독척도 2.0(Yale Food Addiction Scale 2.0) 국내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3권, 제1호, pp.25-49, 2018. https://doi.org/10.18205/KPA.2018.23.1.002
  31. 류연이, 적응적 섭식 척도,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32. 박윤선, 최윤경, "다이어트, 섭식귀인양식 및 초기 부적응 도식이 정서적 섭식과 외부단서적 섭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19권, 제1호, pp.235-252, 2014.
  33. 박지은, 여대생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음식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34. 이규영, 양재원, "대학생의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가 음식갈망을 매개로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긴급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1권, 제23호, pp.905-917, 2021.
  35. 김미리혜, "폭식행동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제27권, 제3호, pp.605-619, 2008.
  36. 권석만,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2018.
  37. 임정인, 김기호, 김정하, 이정한, "섭식억제와 폭식간 관계에서 신경증 수준에 따른 탈억제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제24권, 제3호, pp.753-767, 2019.
  38. 김지원, 이장한, "체형에 대한 긍정적 피드백이 섭식억제자의 자존감 및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제18권, 제3호, p.465-478, 2013.
  39. 이지은, 폭식행동에 대한 단기 심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40. 정서영, 억제통제훈련이 다이어트를 하는 여성들의 고칼로리 음식 섭취량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20.
  41. 선보람, 음식갈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8.
  42. 서애란,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음식에 대한 주의편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43. 한진화, 신경성 폭식증의 인지행동 집단치료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44. A. E. Dingenmans, C. Martijin, A. T. Jansen, and E. F. van Furth, "The effect of suppressing negative emotions on eating behavior in binge eating disorder," Appetite, Vol.52, No.1, pp.51-57, 2009. https://doi.org/10.1016/j.appet.2008.08.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