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소 분해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7초

모시잎의 이화학적 성분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Ramie Leaves (Boehmeria nivea L.))

  • 박미란;이재준;김아라;정해옥;이명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53-860
    • /
    • 2010
  • 모시잎 분말의 생리활성 기능과 이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모시잎 분말의 일반성분 및 영양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 함량 5.42%, 조단백질 28.15%, 조지방 6.95%, 조회분 15.27% 및 탄수화물 54.79%를 함유하였다. 총식이섬유소 함량은 39.66 g/100 g이며, 그 중 불용성 식이섬유소와 수용성식이섬유소 함량은 각각 20.32 g/100 g와 19.34 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glucose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lactose, galactose 순으로 총 3종이 검출되었다. 구성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함량이 2,432.53 mg%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glutamic acid, leucine, histidine, phenylalanine, valine, alanine 순이었다. 유리 아미노산은 asparagine이 983.57 mg%로 가장 많아 총 유리 아미노산 함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그 외에는aspartic acid, ${\gamma}$-amino-n-butyric acid, valine, phenylalanine, alanine, threonine, phosphoserine 순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으로 구성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 함량은 caproic acid methyl ester가 58.23%, pentadecanoic acid가 41.77% 검출되었으며, 불포화지방산은 극미량으로 검출되었다. 비타민 함량 분석으로 항산화 비타민 A, E 및 C의 함량은 각각 0.0194 mg%, 0.0184 mg% 및 0.1833 mg%로 검출되었으며, 비타민 C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을 분석한 결과, Ca 함량이 3,135.20 mg%로 가장 많았으며, K이 1,434.60 mg%였고 다음으로 Mg, Na, Mn, Fe, Zn, Cu 순으로 검출되었고 Zn과 Cu의 함량은 미량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은 총 3종의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succinic acid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 maleic acid 순으로 나타났다.

청보리 및 호밀 Silage를 이용한 거세한우 비육중기용 TMR의 소 체내 이용성 조사 (Estimation of Availabil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Silage TMR in the Cattle)

  • ;김광림;김종규;오영균;이상철;송만강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43-354
    • /
    • 2010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생산된 주요 동계 사료 작물인 청보리 및 호밀 사일리지를 이용하여 거세 한우의 비육 중기용으로 조제된 TMR의 소 체내 이용성을 배합사료 및 볏짚으로 구성된 관행 사료와 비교하고자 반추위 누관이 장착된 소 3두를 이용하여 3 $\times$ 3 Latin square design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관행사료 급여구(대조구)에는 1일 두당 7kg (비육 중기용 배합 사료 5.6kg 및 볏짚 1.4kg, 건물 기준)을, 그리고 청보리 사일리지 TMR구(BS-TMR) 및 호밀 사일리지 TMR구(RS-TMR)에는 1일 두당 8kg (건물 기준)을 각각 동일한 양으로 2등분하여 2회(08:00 및 18:00)에 걸쳐 급여하였다. 두 종류의 사일리지 TMR 모두에 각각 기타 원료사료와 사일리지를 80:20의 비율(급여상태 기준)로 혼합하여 조제하였다. 반추위액의 pH는 전체 채취시간에 걸쳐 시험사료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대조구 사료에 비하여 사일리지 TMR 급여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암모니아 농도 역시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나 사료 급여 후 3시간부터 청보리 사일리지를 급여한 소의 반추위액에서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다. 반추위액의 총 VFA 농도는 사료 급여 후 6시간 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호밀사일리지 TMR (RS-TMR)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상대적으로 높았다. 반추위액의 acetate의 조성 비율은 반추위액의 모든 채취시간에 걸쳐 TMR을 급여한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대조구인 관행사료 급여에 비하여 TMR 사료 급여 직전(P<0.005) 및 급여 후 9시간(p<0.048)에서 현저히 높은 비율을 보였다. Propionate 조성 비율의 경우 사료 급여 후 1시간에 대조구 사료에 비하여 사일리지 TMR을 섭취한 소에서 높은(p<0.046) 반면 butyrate 조성 비율은 대조구에서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사료급여 1시간 후에 TMR 사료 급여구에 비하여 현저히(p<0.029)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사료에 비하여 호밀 사일리지 TMR에서 건물유효분해율(EDDM) 및 조단백질 유효분해율(EDCP)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NDF의 경우 관행사료에 비하여 청보리 및 호밀 사일리지 TMR에서 높은 b 값(p< 0.039) 및 c 값(p<0.006)으로 인하여 TMR의 유효분해율(EDNDF)이 관행사료보다 높은(p< 0.049)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모든 주요 성분(DM, CP, EE 및 NDF)에서 관행사료에 비하여 사일리지 TMR의 전장소화율이 다소 높았으며, TMR 중 호밀 사일리지 TMR (RS-TMR)의 소화율이 NDF를 제외한 성분에서 청보리 사일리지 TMR 보다 소화율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시험 결과를 종합하면, 청보리 또는 호밀 사일리지 TMR의 체내 영양소 이용율이 관행 사료에 비하여 다소 개선된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TMR이 반추위 내 발효 안정화에 기여하였으며 아울러 TMR의 섬유소 소화율이 더 개선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동계사료작물 사일리지의 품질이 사료작물의 수확시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향후 이 점이 고려된 동계사료작물 TMR의 소 체내 이용성 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leurotus sajo-caju가 생산(生産)하는 효소(酵素)에 관한 연구(硏究)(I) -섬유소(纖維素) 분해(分解) 효소(酵素)의 생산(生産)에 관하여- (Studies on the Enzymes Produced by Pleurotus sajor-caju(I) -The Production of Cellulolytic Enzymes-)

  • 홍재식;엄태붕;정기태;이강배
    • 한국균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59-64
    • /
    • 1984
  • 볏짚배지(培地)에서 Pleurotus sajor-caju의 배양조건(培養條件)을 달리하여 섬유소분해효소(纖維素分解酵素) 생산(生産)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검토(檢討)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효소생산(酵素生産)의 최적(最適) 수분함양(水分含量), pH 및 온도(溫度)는 $C_1-cellulase$가 60%, 7.0, $35^{\circ}C$ 이었고 $C_x-cellulase$는 60%, 5.0, $25^{\circ}C$이었으며 ${\beta}-glucosidase$는 60%, 7.0, $20^{\circ}C$이었다. 2) 균사배양기간(菌絲培養期間) 중에 광(光)을 조사(照射)하므로서 $C_1-cellulase$${\beta}-glucosidase$생산(生産)은 감소(減少)하였으나 $C_x-cellulase$$500{\sim}1,000\;lux$에서 오히려 증가(增加)되었다. 3) 배양기간(培養期間) 중에 $C_1-cellulase$가 감소(減少)하면 $C_x-cellulase$${\beta}-glucosidase$가 증가(增加)하는 상반관계(相反關係)를 나타내었다. 4) 부원료(副原料) 중에서 $C_1-cellulase$는 미강(米糠), $C_x-cellulase$는 면실박(綿實粕)과 미강(米糠), ${\beta}-glucosidase$는 대두박(大豆粕)과 어분(魚粉)을 첨가(添加)했을 때 가장 양호(良好)했으며 $C_1-cellulase$${\beta}-glucosidase$는 미강(米糠) 20%, $C_x-cellulase$ 10%는 첨가(添加)했을 때 양호(良好)하였다.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서 Tkermomonospora fusca Exoglucanase의 발현 및 Cellulose분해에의 응용 (Expression of Tkermomonoepora fusea Exoglucanase in Saccharomyces cerevisiae and Its Application to Cellulose Hydrolysis)

  • 박현순;김현철;신동하;김중균;남수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67-273
    • /
    • 2005
  • 효과적이고 강력한 효모 생균제를 개발하기 위해, Saccharomyces cerevisiae 균주들 에서 섬유소 분해효소를 유전공학적 방법으로 생산하였다. Thermomonospora fusca 유래의 exoglucanase유전자(E3)를 구성적 ADHl promoter 하류에 subcloning하여 구성적 발현계인 plasmid pVT-TE태(8.8 kb)를 제작하였고, 이를 S. cerevisiae 숙주세포 SEY2102에 형질전환 시켜, YPD에서 배양한 결과, 총 생산된 exoglucanase의 avicelase 활성은 190 unit/l에 도달하였고, 분비효율은 $50\%$, plasmid 안정성은 $91\%$로 나타났다. 재조합 exoglucanase의 양은 Clostridium endoglucanase(CelA)와 Trichoderma endoglucanase(C4) 보다 더 높은 avicel 결합능을 나타냈다. 각 혼합비에 대한 avicel분해에 대한 상승효과와 당 생성은, E3와 CelA의 흔합비가 4:1일 때 가장 좋은 포도당 생성이 관찰되었으며 , endoglucanase(CelA)와 exoglucanase(E3)의 혼합물은,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보다, 포도당의 생산은 2.5배 향상되었고, avicelase활성은 결과적으로 3.2배 증가하였다.

목재(木材)를 이용(利用)한 Alcohol 생산(生産)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Alcohol from Woods)

  • 정진철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67-91
    • /
    • 1983
  • 침엽수(針葉樹)인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3수종(樹種)과 활엽수(闊葉樹)인 오리나무, 밤나무, 이태리포푸라 3수종(樹種)의 목재(木材)로부터 alcohol을 생산(生産)하기 위하여 목재(木材)의 화학성분(化學成分) 분석(分析)과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 조건(條件)을 확립(確立)하고 또한 섬유소(纖維素) 분해력(分解力)이 강(强)한 균주(菌株)를 분리(分離) 동정(同定)하여 균주(菌株)의 효소(酵素) 생산조건(生産條件), 효소(酵素)의 특성(特性) 및 alcohol 발효조건(醱酵條件) 등(等)을 연구조사(硏究調査)한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수종별(樹種別)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에서 HCl은 1.0%와 2.0%, $H_2SO_4$는 2.0%에서 높은 당화율(糖化率)을 보였고 수종(樹種)은 오리나무가 23.4%로 제일 좋았다. 2) HCl과 $H_2SO_4$으로 산(酸) 가수분해(加水分解)할 때 압력(壓力)은 $1.5kg/cm^2$, 산(酸)의 첨가량(添加量)은 30배량(倍量), 분해시간(分解時間)은 HCl 45분과 $H_2SO_4$ 30분에서 당화율(糖化率)이 양호(良好)하였다. 3) 전처리(前處理)에 있어서 농(濃) HCl 보다는 농(濃) $H_2SO_4$이 더 효과적(効果的)이었고 그 농도(濃度)는 50~60%이었으며 열처리(熱處理)는 $190^{\circ}C$에서 30분간(分間) 처리(處理)함으로써 무처리(無處理)보다 당화율(糖化率)이 약(約) 1.5% 증가(增加)하였다. 4) 목분(木粉) 1g에 있어서 산(酸) 가수분해액(加水分解液)의 당조성(糖組成)은 소나무는 glucose 137.78mg, arabinose 68.24mg이었고 오리나무는 glucose 162.22mg, arabinose 65.89mg을 함유(含有)하고 있었으며, xylose와 galactose도 검출(檢出)되었다. 5) 10개(個)의 균주(菌株) 중에 alcohol 효효력(醗酵力)이 왕성한 균주(菌株)는 Sacch. cerevisiae JAFM 101과 Sacch. cerevisiae var. ellipsoideus JAFM 125이었다. 6) 산(酸) 가수분해액(加水分解液)은 $CaCO_3$와 NaOH로 중화(中和)하는 것이 alcohol 생산(生産)과 효모생육(酵母生育)이 양호(良好)하였고 alcohol 생산(生産)은 pH 4.5~5.5, $30^{\circ}C$, 균주생육(菌株生育)에는 pH 5.0~6.0, $24^{\circ}C$에서 발효(醱酵)시키는 것이 좋았다. 7) Alcohol 생산(生産)에는 0.02%의 $(NH_2)_2CO$$(NH_4)_2SO_4$, 0.1%의 $KH_2PO_4$, 0.05%의 $MgSO_4$ 그 밖에 0.025%의 $CaCl_2$, 0.002%의 $MnCl_2$ 첨가(添加)가 효과적(効果的)이었고 효모증식(酵母增殖)에는 0.04~0.06%의 $(NH_2)_2CO$$(NH_4)_2SO_4$, 0.2%의 $K_2HPO_4$$K_3PO_4$, 0.05%의 $MgSO_4$ 그 밖에 0.025%의 $CaCl_2$, 0.002%의 NaCl 첨가(添加)가 효과적(効果的)이다. 8) 여러 가지 vitamin 중에서 alcohol 생산(生産)은 pyridoxine과 riboflavin, 효모증식(酵母增殖)에는 thiamin과 Ca-pantothenate, biotin과 inositol의 첨가(添加)가 좋았고 tannin과 furfural은 0.01% 농도(濃度)에서 alcohol 생산(生産)이 오히려 증가(增加)하였으며 그 이상(以上)의 농도(濃度)에서는 저해(沮害)를 받았다. 9) 발효액(醱酵液) 100ml에서 소나무는 2.201~2.275ml의 alcohol과 168~228mg의 효모(酵母)가 생산(生産)되었고 잔류당(殘溜糖)은 0.55~0.60g이었다. 오리나무는 2.075~2.125ml의 alcohol과 208~256mg의 효모(酵母)를 생산(生産)했으며 잔류당(殘溜糖)은 0.60~0.65g이었고 pH는 3.3~3.6으로 변화(變化)했다. 10) Trichoderma viride JJK107을 섬유소(纖維素) 분해력(分解力)이 강한 균주(菌株)로서 선정(選定)하여 동정(同定)하였다. 11) 효소(酵素) 생산조건(生産條件)으로 CMCase는 pH 6.0, $30^{\circ}C$, xylanase는 pH 5.0, $35^{\circ}C$에서 5일간 배양(培養)할 때 최고(最高)의 효소생산(酵素生産)을 나타냈고 효소작용(酵素作用)의 최적조건(最適條件)은 CMCase는 pH 4.5, $50^{\circ}C$, xylanase는 pH 4.5, $40^{\circ}C$에서 최고(最高)의 활성도(活性度)를 보였다. 12) 목분(木粉)을 peracetic acid로 탈(脫) lignin하고 효소(酵素) 가수분해(加水分解)하여 발효(醱酵)시킬 때가 alcohol 생산(生産)이 좋았으며 peracetic acid 첨가비(添加比)는 10배량(倍量) 이도(移度) 첨가(添加)하는 것이 좋았다. 13) 발효(醱酵)에 있어서 본분(本粉)과 밀기울 Koji의 혼합비율(混合比率)은 10:8일 때에 alcohol 생산(生産)이 좋았고 본분(本粉) 10g에서 소나무 2.01~2.14ml, 오리나무는 2.11~2.20ml의 alcohol을 생산(生産)하였다.

  • PDF

섬유소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Aspergillus wentii와 Aspergillus nidulans의 원형질체 융합 (Protoplast Fusion of Cellulolytic Aspergillus wentii and Aspergillus niduk)

  • 성낙계;이상원;강신권;노종수;정영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460-465
    • /
    • 1990
  • Asp.wentii와 Asp.nidulans의 원형질체 재생은 2-DG가 30$\mu g$/ml 첨가된 포자현탁액을 4시간 전배양 할 때 적당하였고 ergosterol, myoniositol, casamino acid, BSA가 함유된 CBE 재생용 배지에서 효과적이었으며, 30 이상 재생률을 나타내었다. 원형질체 융합은 10mM $CaCl_2$가 함유된 pH7.5의 30PEG 4000으로$37^{\circ}C$ 에서 10분간 처리했을 때 가장 양호하였으며, 융합빈도는 $8.2\times 10^{-4}$을 나타내었다. 가장 우수한 융합주인 FWN-56은 CMCase, avicelase, $\beta$-glucosidase 및 xylanase를 동시에 분비하였으며 친주에 비하여 활성이 2.3배, 1.5배, 1.8배, 2.5배 각각 증가하였고, 또한 MM에 4중 이상 보관 후의 segregant율이 1 이내였으므로 유전적 안정성은 높았으며, 분생포자 DNA함량은 1.4-1.6배였다. 또한 핵의 크기도 친주에 비하여 큰 것으로 보아 융합주임을 확인하였다.

  • PDF

Cellulomonas 속 종간 원형질 융합체의 특성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Fusants by Interspecific Protoplast Fusion of the Genus Cellulomonas)

  • 배무;임정화
    • 미생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47-54
    • /
    • 1990
  • 섬유소를 분해할 수 있는 Cellutomonas flavigena NCIB 12901 과 Cellulomonas bibula NCIB 8142의 종간 원형질체 융합을 하고 그로부터 얻은 융합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C. bibuta의 원형질체는 lysozyme(600Ieιllulomoηas libula NCIB 8142의 종간 원형 섣처l 융 한응 하고:1로부터 얻은융합셰익 특성을 조사하였다 . C bibula의 원형선셰는 lysozyme $600{\mu}{\textrm{g}}$/ml)를 6시간 처리하여 얻었으며, 삼투안정제로는 O.5M sorbitol의 최저이었고 원형질체 재생률은 6.7%였다. 원형질체 융합은 25mM $CaCl_{2}$를 포함하는 40% PEG (M.W.6000)를 $30^{\circ}C$에서 30분간 처리함으로 수행하였고 C. bibuιl와 C. flavigeηa의 융합 빈도는 $5\times 10^{-4}$으로 원형질체 형성 및 합체를 얻었고, 모균주와 융합체의 영양요구성, 항생물질 내성, 효소활성, 세포벽 성분, 운동성 등을 비교하여 융합체는 모균주의 재조합체임을 밝히었다.

  • PDF

섬유소-펙틴 분해력이 있는 새로운 Aspergillus tubingensis의 분리와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Aspergillus tubingensis with a Hydrolyzing Activity of Cellulose-pectin Complex)

  • 김영민;서원숙;홍진영;최홍서;김주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4-128
    • /
    • 2003
  • 대전광역시 근교의 야산과 들판 등지에서 썩은 나뭇잎, 짚, 흙을 채취하여 각각을 배양한 다음 Congo red test에 의해 cellulase 활성을 보이는 균주를 선별하였다. Genomic DNA를 분리한 후 PCR을 수행하여 DNA sequence를 Gene Bank를 통해 분석한 결과 A. tubingensis로 밝혀졌다. 이것을 배양하여 상등액을 crude enzyme으로 사용하여 온도와 pH를 달리하면서 효소의 활성정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균주로 A. oryzae KCTC 6291를 이용하였고, 본 연구를 통하여 분리한 균주인 A. tubingensis가 생산하는 cellulase는 A. oryzae의 cellulase에 비하여 각각 다른 온도와 pH에서 높은 안정성을 보여주었다. A. tubingensis는 각각의 온도에서 활성의 정도가 비슷했으며, 45$^{\circ}C$, 55$^{\circ}C$에서 높은 활성을 나타내고 있지만, 고르게 활성이 나타났다. 또한 pH 12.0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주었고, pH 2.0, 3.0, 4.0에서는 양쪽 모두 거의 활성이 없었으며, 중성, 염기성에 대해서 활성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분리 동정한 A. tubingensis는 온도와 pH에서 고르게 활성을 나타내므로 생균제로 활용할 수 있는 범위가 클 것으로 여겨진다.

속간 원형질체 융합에 의한 섬유질 기질로부터 L-Lysine 생산균주 개발 -융합조건 및 융합체의 성질 - (Development of L-Lysine Producing Strains from Cellulosic Substrate by the Intergeneric Protoplast Fusion - Conditions for Fusion and Properties of Fusants-)

  • 성낙계;정덕화;박법규;정영철;전효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75-181
    • /
    • 1988
  • 섬유소 기질로부터 L-lysine을 생산할 목적으로 Cellulomonas flavigena에 Brevibacterium flavum 및 Corynebacterium glutamicum을 각각 이속간 원형질체 융합을 하여 융합조건과 융합체의 성질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parental protoplast를 동량으로 혼합한 후 30% PEG 6000으로 3$0^{\circ}C$, 30분간 융합시킨 결과 1.9$\times$$10^{-6}$~2.1$\times$$10^{-6}$의 융합빈도를 얻었고, 134주의 융합체 중 유전적 안정화가 판명되고 CMC 기질로부터 L-lysine 생성능이 인정된 FCB 3 및 FCC 19를 최종 선별하였다. FCB 3 및 FCC 19는 친주보다 DNA 함량이 높을 분 아니라 G+C 함량도 융합전 친주의 G+C 총함량의 약 1/2에 해당하여 반수체로서 안정화되어 있었으며, 그리고 친주와 반대로 CMC 자화능이 있어 CMC로부터 L-lysine을 배지 중에 축적하였다.

  • PDF

봄, 여름, 가을 배추의 전처리에 따른 영양성분 변화 (Variations of Nutrients in Cabbage with Different Cooking Method)

  • 김세나;박홍주;김소영;김효숙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7-87
    • /
    • 2009
  • 배추는 십자화과 채소로 한국, 일본, 중국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인이 소비하는 채소 중 가장 높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봄, 여름, 가을, 겨울 계절에 상관없이 이용되고 있으며 특히 김치, 쌈 채소로소 이용되고 있다. 배추의 주생산 시기는 봄, 여름, 가을로 기후환경에 적합한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으며 또한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은 쌈채소로 생으로 이용하는 것과 김치를 담그기 위해 절임 채소로 이용하는 방법, 그리고 국이나, 무침 등을 위해 데침 채소로 이용하는 방법에 있는데 본 실험에서는 이러한 조리과정에 의해 영양성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각 계절별 대표 품종의 배추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봄 배추는 노랑봄배추, 가을 배추는 불암3호로 농촌진흥청 원예특작과학원에서 재배한 배추를 사용하였으며 여름배추는 고랭지 배추를 사용하였다. 각 계절별 배추의 전처리는 생, 절임(10% 소금물), 데침(10분)의 세가지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영양성분의 분석은 AOAC 법에 준하여 실시하였다. 노랑봄배추, 고랭지배추, 불암3호의 생채의 영양성분을 비교해 본 결과 여름배추에 수분이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단백질의 함량은 모두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고 가을 배추에 탄수화물 5.7g, 섬유소 0.8g, 칼슘 60mg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삶은 배추의 경우 생배추와 비교하여 보았을때 탄수화물, 지질, 단백질 등 일반성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칼륨의 손실은 약 30%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품종별 삶은 배추에서는 생배추와 마찬가지로 여름배추에서 가장 많은 수분 함유량을 보였으며 대부분의 영양소에서 가을배추가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절임 배추의 경우 생배추와 비교하였을때 소금의 영향으로 나트륨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기타 성분에 있어서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