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소 분해

검색결과 266건 처리시간 0.024초

Cellulomonas sp.의 β-글루코시다아제 생성 (β-Glucosidase Formation In Cellulomonas sp.)

  • 최우영
    • 농업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225-234
    • /
    • 1976
  • 섬유소 분해균 Cellulomonas sp. CS1-1의 각종 탄소원에서의 ${\beta}$-글루코시다아제 생성을 살피기 위하여 Quickfit FVIL 발효장치를 이용하고, 뉴트리엔트 이스트브로스, 카르복시멜틸셀룰로오스, 아비셀, 셀로비오스 등을 탄소원으로 한 배지에 뱃치로 배양하여 그 배양적 특성과 세포내 또는 세포외 ${\beta}$-글루코시다아제의 분포를 검토한 결과 : i)${\beta}$-글루코시다아제는 공시한 모든 배양 조건하에서 생성되었고 세포내 효소로서 배양여액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ii) 뉴트리엔트 이스트브로스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를 탄소원으로 할 때 보다 셀로비오스 및 아비셀을 탄소원으로 하는 경우 효소의 비활성도가 높았다. iii) 공시한 모든 기질에서 공히 균의 대수기(對數期)에 극대치의 비활성도를 나타내었다.

  • PDF

제지 슬러지의 동시당화발효에서 젖산과 유산균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 조건 (Optimum Conditions for the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of Paper Sludge and Fermentation of paper Sludge to Produce lactic acid and viable Lactobacillus cells)

  • 정다연;이상목;구윤모;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14-1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제지 슬러지를 이용한 SSF 공정에 L..paracasei KLB58을 적용하여 젖산과 더불어 생균제용 균체를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하고자 하였다. KLB58의 배양온도와 섬유소 가수분해 효소인 $\beta$-glucosidase의 농도를 조절하여 최적의 생산 조건을 확인해 본 결과, 37$^{\circ}C$ 에서 2 unit/ml의 $\beta$-glucosidase를 첨가하여 배양하였을 때 최대의 젖산과 균체를 생산하였다. 또한 $\beta$-glucosidase를 포함하지 않아도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젖산과 균체를 생산하였으므로, 이에 대한향후 연구가 기대된다.

E. coli에서 근류균 섬유소 분해효소 유전자의 발현 및 생화학적 특성조사 (Expression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CMCase Gene of Rhizobium fredii Usda193 in Escherichia coli)

  • 윤호종;박용우;임선택;강규영;윤한대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75-281
    • /
    • 1995
  • From the plasmid pYA300 carring a CMCase of Rhizobium fredii USDA193 plasmid was subcloned into pBluescript II KS(+)/pBluescript II SK(+) vectors and designated pYA500 and pYA600, respectively. Escherchia coli cells transformed with pYA500 porduced the CMCase more than with pYA600. The orientation of the cloned fragment in pBluescript vector had the effect on gene expression in E. coli background. When the 1.7 kb CMCase gene fragment of R. fredii USDA193 was hybridized to EcoRI-digested total DNA from R. meliloti and R. fredii USDA 191 the unique bands hybridized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some genetic diversity exists in the EcoRI restriction enzyme site for CMCase gene in Rhizobium strains. The optimum pH of enzyme activity was 7 and the optimum temperature of that was nearly 37$\circ$C. The cellulase-minus derivatives of pYA500 were constructed by Tn5 insertional mutation. Among 6000 transconjugants, two mutant plasmids (designated pYA500::Tn5a and pYA500::Tn5b) were detected from the cellulase- negative transconjugants. The product of CMCase gene was analyzed by one dimensional SDS- PAGE of the cell extracts. About 45 kDa protein was considered to be a product of CMCase gene.

  • PDF

말 분변을 이용한 주스박의 in vitro 발효 특성 (In vitro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Juice Pomaces Using Equine Fecal Inoculum)

  • 황원욱;김겸헌;임정호;우제훈;박남건;김수기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22-331
    • /
    • 2017
  • 본 연구는 바실러스, 효모 그리고 유산균으로 발효한 다양한 주스박들과 말 분변을 첨가한 in vitro 발효 시험을 통해 pH, 건물 분해율, 암모니아성 질소, 가스 발생량, 휘발성 지방산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주스박 첨가에 따른 발효액의 pH의 범위는 6.4~7.1로 미생물 발효에 의한 소화가 정상적으로 나타났다. 48시간 후 발효액에서 $10^9CFU/m{\ell}$ 정도 미생물이 증식함에 따라 사용한 주스박들이 장내 미생물에 의한 소화작용에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건물 분해율은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증가하여 48시간째에 사과박 39.19%, 포도박 38.22%, 당근박 37.02%, 감귤박 36.2% 그리고 혼합박 34.35%로 나타났다. 암모니아성 질소의 농도는 배양 12시간까지는 전 처리구에서 $1.5mg/100m{\ell}$의 수준이었으며 배양 24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가스 발생량은 혼합박이 가장 낮았으며, 배양 12시간 이후부터 급격히 증가하였다. 총 VFA는 배양 24시간부터 증가하여 48시간에 가장 높았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발효 주스박은 말 in vitro 소화과정에서 적정 pH를 유지하면서 건물 분해가 진행되었고 말의 맹장과 대장에서 섬유소 분해 미생물의 작용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참나무류와 리기다소나무 간벌재를 이용한 목질 조사료 제조 및 사료가치 평가 (Manufacturing and Feed Value Evaluation of Wood-Based Roughage Using Lumber from Thinning of Oak and Pitch Pine)

  • 김석주;이성숙;백열창;김용식;박미진;안병준;조성택;최돈하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51-860
    • /
    • 2015
  • 참나무류와 리기다소나무 간벌재 칩을 사용하여 각각 60, 90, 120분 동안 증기 가열(증해) 처리하여 조사료를 제조하고 정유 함량을 비교하였다. 두 수종 모두 증해 처리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정유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90분과 120분 처리했을 때 $0.1m{\ell}/kg$ 이하의 정유 함량을 보였다. 90분 증해 처리하여 제조된 조사료의 사료로써의 가치를 화학성분 조성, NRC (National Research Counsil) 모델링, 반추위 소화율, 영양성분 대비 상대적 경제 가치 분석을 통해 평가하였다. 참나무류 조사료의 DM (dry matter; 건물), CP (crude protein; 조단백), EE (ether extract; 조지방), NDF (neutral detergent fiber; 중성세제섬유소), ADF (acid detergent fiber; 산성세제섬유소), ADL (acid detergent lignin; 산성세제리그닌), NFC (nonfiber carbohydrate; 비섬유소탄수화물) 함량은 각각 95.4, 1.36, 3.11, 90.05, 83.85, 17.33, 6.50 %로 측정되었고, 리기다소나무 조사료는 각각 94.37, 1.33, 5.48, 87.89, 86.88, 30.56, 6.32%로 측정되었다. NRC 모델링을 이용한 영양평가에서는 참나무류 조사료가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 40.55%, DE (digestible energy) 1.79 Mcal/kg이었고 리기다소나무 조사료가 TDN 31.22%, DE 1.38 Mcal/kg으로 나타나 참나무류 조사료가 더 높은 영양가를 가진 것으로 사료되었다. 반추위 내 건물소화율은 참나무류 조사료(18.07%)가 리기다소나무 조사료(10.02%)보다 높았다. 영양성분 대비 상대적 경제 가치는 참나무류 조사료는 235원, 리기다소나무 조사료는 210원으로 나타났다.

Aspergillus Saitoi가 생산(生産)하는 섬유소분해효소(纖維素分解酵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1 보(1 報)) 온주밀감 통조림 제조시(製造時) 내과피(內果皮) 분해제거(分解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ellulolytic Enzymes produced by Aspergillus saitoi -(1) Studies on the endocarp remove canning process of mandarine orange syrup-)

  • 이순애;오석흔;윤정의;이성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5-28
    • /
    • 1971
  • Aspergillus saitoi가 생산(生産)하는 섬유소분해효소(纖維素分解酵素)의 생산조건(生産條件)과 밀감내과피(內果皮)의 탈피효과(脫皮效果)를 검토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Asp. saitoi의 배양최적(培養最適) 온도(溫度)는 $30^{\circ}C$, 시간(時間)은 72시간(時間)에서 섬유소(纖維素) 생성능(生成能)이 가장 좋았다. 2. 본효소(本酵素)를 10배(倍) 농도로 희석하여 (희석효소액 : 밀감 2 : 1) $40^{\circ}C$의 항온조(恒溫槽)에서 $3.5{\sim}4$시간(時間) 작용(作用)시킨 것이 탈피정도(脫皮程度), 풍미(風味), 광택(光澤)이 우수하여 밀감 syrup 통조림 제조조건으로 최적(最適)이었다.

  • PDF

고온압착 건조 처리시 표면처리를 통한 고강도 라이너지 개발

  • 최병수;윤혜정;류정용;신종호;송봉근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 /
    • pp.63-63
    • /
    • 2000
  • 저급의 고지 원료를 두께 방향으로 고온 압착을 가하여 건조함으로써 전반적인 종이 물성 을 향상시키는 콘디벨트 건조 방식은 70년대 중반부터 80년대에 이르는 10여년에 걸친 개발 과정을 거쳤으며 90년대에 들어서 핀랜드의 Inkeroinen에 위치한 V alemt- Tarnpella의 연구 소에 최초의 파일로트 설비가 설치되었으며 그 후 1996년에는 핀랜드 ENSO사의 P Pank밟oski 판지공장에 설치됨으로써 세계 최초의 상업생산설비를 이루게 되었다. 기존의 실린더 건조 기술과 비교할 때 콘디벨트 건조방식은 건조속도를 약 5-15배 향상시킬 수 있 으며, 건조 에너지 절감에 큰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실린더 건조시 종이가 폭방 향으로 수축되 어 인장 stiffness와 압축 강도 동의 종이 물성 이 저 하되 는 반면 습윤상태 의 섬유를 120도씨이상에서 가열에 의해 리그닌을 연화시킴과 동시에 섬유의 유연성을 증가시켜 준다. 그리고 높은 압력을 가해줌으로써 섬유간의 결합 면적을 증가시키고 건조시 종이의 폭방향의 수축을 감소시켜 인장강도, 내부결합강도, 밀도, 표면평활성, 투기저항성 등 종이의 물성을 대폭 향상시켜주는 혁신적인 제지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 현재 1998년 부터 상업생산을 이루어짐으로써 그 공헌도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골판지의 주원료가 되는 국산 골판지 고지 (Korean old corrugated container, K KOCC)의 거듭된 재생처리로 인하여 미세분의 함량이 전체 지료의 절반 이상에 달할 뿐만 아니라, 섬유가 각질화와 단섬유화로 인하여 고온압착 건조처리 만으로는 골판지 고지로 생 산된 원지의 강도를 버진펄프로 생산된 원지가 가지는 강도에 준하는 강도로 향상시키는데 한계점을 가지게 된다. 유럽의 제지선진국들은 골판지 원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방편으로 표변에 전분 사이즈 프레스 처리를 도입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고온 압착 건조 처리 설비를 활용한 전분 표면처리의 가능성을 검토하고 골판지 원지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표면처리조건을 탐색하였다.

  • PDF

J 하수 처리장 방류수 중 세균의 성장 거동 및 염소 소독 효율 고찰 (Study on Microorganism Multiplication Behavior and Efficiency of Chlorine Disinfection in the Sewage Effluent from J Municipal Waste Water Treatment Plant)

  • 이운기;이윤진;정규연
    • 공업화학
    • /
    • 제19권1호
    • /
    • pp.122-12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J 하수 처리장의 최종 방류수를 대상으로 종속영양세균의 증식과 수중 물리, 화학적 영향인자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하수 중의 용존 유기물질 농도는 종속영양세균의 성장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 미생물의 영양원인 단백질, 지방, 전분, 섬유소, 팩틴의 분해 세균 분포를 파악한 결과 하수 중 단백질 및 지방세균의 비율은 전체의 81%로 가장 높았다. 종속영양세균은 연중 8월에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하수 방류수에 대해 10 mg/L의 유리염소를 주입하여 15 min간 접촉시 THMs의 농도는 $71{\mu}/L$ (< $100{\mu}/L$- 먹는 물 수질기준)의 값을 나타내어 높지 않았다.

Exo-xylanase 생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Exo-xylanase Producing Microorganism)

  • 하재석;이영남;임재윤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4-19
    • /
    • 1992
  • 부패한 나무, 퇴비, 제지공장의 폐지 및 폐수 등으로부터 분리한 300여 종류의 섬유소 분해균 중 xylanase 활성이 다른 균주에 비해 비교적 높았던 33번 균주를 균의 형태학적, 생화학적 특성과, 균체 지방산 조성에 의하여 Pseudomonas sp.로 동정하였다. Xylanase 활성의 최적 온도외 최적 pH는 각각 $50^{\circ}C$와 5.5이었고, 효소의 안정성은 $45^{\circ}C$ 이하의 온도와 pH 5.0에서 7.0 사이에서 유지되었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xylanase는 효소반응분해물의 paper chromatography에 의하여 주로 exo-type의 xylanase임이 밝혀졌다.

  • PDF

발효커피가 사람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coffee on human gut microbiota)

  • 고광표;김진경;조승화;정도연;운노 타쯔야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1호
    • /
    • pp.83-87
    • /
    • 2020
  • 발효식품은 장 건강을 포함하여 건강상의 이로운점을 제공하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lantarum과 Bacillus amyloliquefaciens로 발효 된 커피원두가 건강한 사람의 장내미생물 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커피원두를 발효하여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과 같은 이로운 물질이 증가하였다. 또한 발효커피의 섭취로 인해 유의한 장내 미생물생태 및 물질대사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지만, 섬유소 분해 및 단쇄지방산을 생성하는 유익한 미생물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발효커피 섭취로인해 장내미생물생태 및 물질대사를 유지하면서 유익한 미생물이 증가하였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