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근통 증후군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요가자조관리 프로그램이 섬유근통증후군환자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Yoga Self-help Management Program for the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Effect o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 임경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457-468
    • /
    • 2018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환자를 대상으로 요가자조관리프로그램을 실시하여 대상자의 건강상태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G시에 소재한 일개 대학병원에서 섬유근통증후군으로 진단받은 환자이다. 참여자 수는 총 43명으로, 실험군 21명과 대조군 22명이다. 실험군에게는 8주간 주 2회 총 16회의 요가자조관리프로그램을 요가센터에서 실시하였고, 가정에서도 시행 할 수 있도록 개발한 요가DVD와 사진자료, 교육용 책자를 제공하였다. 대조군에게는 중재 없이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18.0 Program을 이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미하게 건강 상태(압통점, 섬유근통증후군영향척도)가 향상되었고, 우울은 감소하여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중재전략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Milnacipran의 섬유근통 증후군치료에 대한 연구 검토 (Milnacipran for Treatment of Fibromyalgia: A Review of Clinial Trials)

  • 이경은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29-234
    • /
    • 2010
  • 섬유근통 증후군은 만성 전신 통증을 나타내며 피곤, 두통, 우울증, 수면장애 등을 동반하는 질환이다. 주로 30-50대의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며 미국에서 2-4%, 한국에서 2%의 발병률을 보이고 있다. 정확한 원인과 기전이 밝혀져 있지 않아서 진단과 치료에 많은 논란과 어려움이 있다. 현재는 증상치료에 목표를 두고 삼환계항우울약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심각한 부작용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최근에는 selective serotonin reuptake inhibitor (SSRI) 또는 serotonin-norepinephrine reuptake inhibitor (SNRI)를 빈번히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SNRI의 하나인 milnacipran의 섬유근통 증후군 치료에 대한 효능 및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해, MEDLINE에 등재된 논문을 기한없이 milnacipran과 fibromyalgia로 검색하여 무작위 배정 및 이중맹검 임상연구자료들을 선별하였다. 선별된 6개의 임상연구 결과, milnacipran를 사용했을 때 일관된 효능성과 안정성이 관찰되었고 섬유근통증후군 치료와 그에 수반되는 여러증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과 일상생활장애의 상관관계 (Correlations between Disease Related Factors and Disturbance of Daily Living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 이명수;황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39-247
    • /
    • 2011
  • 본 연구는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관련 특성과 일상생활 장애의 정도를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I시에 소재한 1개 대학병원 류마티스 내과 외래 방문 환자 중 섬유근통증후군 진단을 받은 45명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대상자의 압통점은 평균 15.00, 피로는 8.67, 수면의 질은 12.94, 우울은 23.70점이었고, 이들은 평균 대략 6년간의 유병기간을 가지고 있었다. 42.2%의 대상자들이 질병으로 인해 직업이나 학업을 중단하였으며, 지난 3개월동안 평균 41.79일 일상생활 장애를 경험하였다. 일상생활 장애 정도는 압통점, 우울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피로와 우울, 수면의 질과 양의 상관관계가, 수면의 질은 우울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들은 질병과 관련한 다양한 증상을 동반하며, 이로 인한 일상생활 장애를 경험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이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보다 나은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관련 요인을 반영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경험에 관한 근거이론 연구 (A Grounded Theory Approach on Peoples' Adaptation Experience with Fibromyalgia Syndrome)

  • 정추영;김명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381-393
    • /
    • 2016
  • 본 연구는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통해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경험과 적응과정을 파악하고 이해하여 실체이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1개의 종합병원 류마티스 내과 외래에서 섬유근통증후군를 치료 중인 13명(여성 12명과 남성 1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4년 1월부터 5월까지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론적 표본추출법은 이론적 포화의 시점을 적용하였다. 필사된 면담의 내용은 Corbin과 Strauss (2008)의 근거이론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개방코딩을 통해 총 98개 개념과 26개 하위범주, 10개 범주가 도출되었다. 섬유근통증후군 환자의 질병 적응과정은 '불확실성과 한계상황인식'과 '자기통제 가능성 평가와 기대수준 결정', '적응전략 개발과 시도', '자기조절'의 4단계로 나타났다. 섬유근통증후군환자의 질병적응 유형은 확장형과 안정형, 표출형, 위축형의 4가지 유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핵심범주인 '자기조절법 터득하기'로부터 '보호적 자기조절' 이론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 섬유근통증후군 환자들은 질병으로 인해 불확실한 상황에서 안정상태를 찾기 위해 자기조절을 반복적으로 활용하여 적응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대상자들의 질병 적응 유형에 따른 적합한 간호중재 및 가족을 포함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섬유근통 자조관리 프로그램이 여성 섬유근통 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 Cryotherapy and Tai Chi Self-help Program on Women with Fibromyalgia Syndrome)

  • 이혜영;박원숙;최정현;이순희;엄애용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0-19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mpact of a protocol of cryotherapy and Tai Chi on women with Fibrolmyalgia Syndrome.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pretest and posttest quasi-experimental, nonrandom assignment. The subjects were 48 outpatients with a diagnosis of fibromyalgia based on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Standards. The setting was a University Medical Center in S city. The protocol was self administered ten times a week, for a two week period resulting in twenty treatments. Results: A protocol of cryotherapy and Tai Chi self-help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fibromyalgia impact as measured by reports of physical impairment, feeing good, number of missed work days, ability to perform work, reports of pain, fatigue, rest, stiffness, anxiety and depression as reported by the comparison group (p<.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regarding in reports of the tender points (p=.062).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a protocol of cryotherapy and Tai Chi self-help program may be a promising multidisciplinary strategy for fibromyalgia patients.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를 위한 인지행동 프로그램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전후실험설계 (Effects of a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gram for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 공경란;이은남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47-362
    • /
    • 2021
  • Purpose: This study developed a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program aimed at altering the physical condition, emotions, and behaviors of fibromyalgia patients, and confirmed the program's clinical applicability. The program was develop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with fibromyalgia patients, drawing on cognitive behavior theory to establish the program contents, recruiting experts to test its validity, and conducting a preliminary survey. Methods: To confirm the program's effect, this study used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outpatients diagnosed with fibromyalgia in Dong-A University Hospital, Busan. The 30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the program, which comprised 8 sessions (90 to 120 minutes) based on cognitive behavior theory, delivered over 8 weeks. Hypothesis testing was carried out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positive automatic thoughts, pain, fatigue,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sleep disorders and negative automatic thoughts. Conclusion: This program is a positive effect on physical condition, emotions, and behaviors. It is thus expected to be used to help fibromyalgia patients improve their disease conditions.

섬유근통증후군(Fibromyalgia Syndrome) 환자에서 타이치 자조관리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a Tai-Chi Self-helf Program for Fibromyalgia Patient)

  • 한상숙;박원숙;양형인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69-18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the effect of Tai-Chi Self-help program to progress of reduction of symptom, difficulty on activity by application Tai-Chi Self-help program for Fibromyalgia patients. Method: The study was used the method of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65 out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Fibromyalgia by ACR(1990) standard at K University Hospital, medical center. Tai-Chi self-help program was done for 8 weeks(three a week for 2 hours)through group meeting of 65 patient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for window12.0 program packag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could increase in reduction of symptom and lower disturbance in ADL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with the before Tai-Chi Self-help program education. Conclusion: Accoradingly Tai-Chi Self-help program could be used as a proper nursing strategy for Fibromyalgia patients.

  • PDF

섬유근통 환자에 대한 Milnacipran과 Pregabalin 약물치료에 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서의 후속 영향 비교 (Comparison of the Medication Effects between Milnacipran and Pregabalin in Fibromyalgia Syndrome Using a Functional MRI: a Follow-up Study)

  • 강민재;문치웅;이영호;김성호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8권4호
    • /
    • pp.341-351
    • /
    • 2014
  • 목적 : 섬유근통 증후군의 치료에 주로 쓰이는 두 계열의 약물인 Milnacipran (이하 MLN)과 Pregabalin (이하 PGB)의 환자 투여에 따른 약물 치료 효과를 뇌 활성도 변화의 비교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20명의 환자 중 약물 치료 군에 따라 MLN 치료군 10명과 PGB 치료군 7명으로 분류하였다. 모든 환자군은 섬유근통 증후군 이외의 요인을 배제하기 위해 정신건강 의학과적 평가를 통해 선별된 후 섬유근통 진단을 위한 임상적 평가가 진행 되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의 촬영 시 엄지손가락에 블록 형태의 압통 자극을 가해 주었고 영상은 약물 치료 전과 약물 치료 후에 각각 획득하였다. 영상 획득 후 일련의 전처리 과정을 거쳐 약물 치료 전후의 자기공명 혈중산소치의존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이하 BOLD) 신호 비교를 위한 대응표본 t-검정과 두 표본 t-검정을 실시 하였다. 결과 : 임상적 평가에 있어 약물 치료 전에는 두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약물 치료 후 전신통증지수 (Widespread Pain Index, WPI)와 대상자 스스로 피로도를 평가하는 검사 (Brief Fatigue Inventory, BFI)에서 PGB군에 유의한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기능적 영상 분석에 있어 약물 치료 후의 영상 비교 결과 앞 띠이랑과 대뇌섬을 포함한 영역에서 PGB군이 높은 활성도를 보였다. 또한 약물 치료 전후 효과 비교에서는 MLN군에서 대뇌섬, 시상을 포함한 영역에서 치료 후 BOLD 신호가 감소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지만 PGB군에서는 MLN에 비해 감소된 영역의 수와 크기가 비교적 작게 나타났다. 결론 : 전체 결과에서 두 치료군 모두 증상이 호전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임상적 평가와 기능적 영상 평가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두 약물 치료 기전과 세부 치료 목적이 다르고, 전체 환자 수의 부족으로 인한 임상적 평가와의 낮은 상관관계에 의한 영향으로 보이며 이러한 영향을 최소화 시킨다면 두 약물 간의 정확한 치료 효과 비교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턱관절음양균형요법을 이용한 섬유근육통증후군 치험1례 (A Case of Fibromyalgia Treatment Using Yin-yang Balancing Therapy of Temporomadibular Joint (TMJ))

  • 이상배;이영준
    • 턱관절균형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2-36
    • /
    • 2020
  • 본 증례에서는 섬유근통 증후군을 진단받고 마약성 진통제와 링겔, 패치 등을 다년간 지속적으로 투여받은 환자에게서 한의학적 치료인 턱관절음양균형요법으로 유의한 효과를 얻어 보고하는 바이다.

섬유근통 증후군 환자의 보완대체요법에 대한 인식과 이용행태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patter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 공경란;이은남;정원태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7-196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and utilization pattern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CAM) in patients with fibromyalgia syndrome. Methods: A total of 92 fibromyalgia syndrome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were analyzed with SPSS/WIN 23.0 program. Results: As a result, 59.8% of subjects had an experience of CAM and 33.7% of subjects have used until now.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use of CAM between the group of CAM users and non-CAM users by education ($x^2$=4.04, p=.044), period of illness ($x^2$=15.03, p=.001), and period of treatment ($x^2$=12.10, p=.002). Relatively large numbers of patients understanded as that CAM was effective (58.7%) and fibromyalgia syndrome was controllable (75.0%).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use of CAM by the perception of CAM effects ($x^2$=4.15, p=.042), fibromyalgia syndrome ($x^2$=6.55, p=.038), and best treatment for fibromyalgia ($x^2$=11.03, p=.001). Conclusion: These results could be utilized as a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 for fibromyalgia syndr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