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설하신경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2초

설하신경 기원의 신경초종 1례 (A Case of Schwannoma Originated from Hypoglossal Nerve)

  • 양해동;강주완;김성수;진윤미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07-210
    • /
    • 2002
  • Schwannoma is a relatively rare benign tumor which may occur from nerve sheath of the peripheral, sympathetic and cranial nerves and so on except optic and olfactory nerves which have no nerve sheath themselves. Although it occur most frequently in the head and neck region especially in the acoustic nerve, the schwannoma originated from the motor nerves including hypoglossal nerve is very rar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schwannoma originated from hypoglossal nerve in a 47-year-old female. We report this case with literature review.

연하곤란을 초래한 구인두부 신경초종 1례 (A Case of Oropharyngeal Neurilemmoma with Swallowing Difficulty.)

  • 심상열;양오규;백석인;윤강묵;박순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1년도 제15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1.1-11
    • /
    • 1981
  • 신경초종은 뇌 및 척수신경의 근부등 비교적 굵은 신경의 신경초로부터 발생하고 단발성이며 피막이 있는 양성 종양이다. 1908년 Verocay가 처음으로 Neurinoma라고 명명한 이래 Peripheral Fibroblastoma(Penfield, 1930) Peripheral Glioma, Neuroma 및 Schwannoma등의여러 명칭으로 불리게 되었으나 1935년 Stout에 의해 Neurilemmoma라고 명명하기에 이르렀다. 이 종양은 1955년 Conley에 의하면 신체의 어느 부위에나 발생하며 두경부에서 약 25% 이상이 나타나고 이비인후과영역에서는 청신경에 가장 많고 다음이 후두, 인두, 구강의 순으로 나타난다. 구인두의 양성 종양은 편평상피 유두종이 가장 많으며 드물게는 지방종, 섬유종, 연골종, 신경초종등이 나타날 수 있다. 구인두 신경초종은 주로 미주신경, 설하신경등 주위신경의 신경초에서 발생되며(Iliadeg and Wutson, 1967, 서서히 성장하므로 종물이 커지기 전에는 종물부 이물감, 압통외에는 특이한 증상이 없다. 저자들은 구인두 측벽에 4cm$\times$4cm$\times$5cm의 거대 종물로 연하곤란을 초래한 신경초종 1례를 치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좌 체위 견관절 수술 후 발생한 설하신경 단독 편마비 - 증례 보고 - (Isolated Unilateral Hypoglossal Nerve Palsy after Shoulder Surgery in Beach-Chair Position - Case Report -)

  • 이용걸;이동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7권1호
    • /
    • pp.51-55
    • /
    • 2004
  • Arthroscopic surgery of the shoulder is regarded as a convenient and safe approach, but there is a possibility of complication during procedure. We report an isolated unilateral hypoglossal neurapraxia following combined arthroscopic and open Bankart reconstruction performed in beach-chair position under general anesthesia with orotracheal intubation.

경구강 악하선 절제술 후 발생한 반대측 설하신경 마비 1례 (A Case of Contralateral Hypoglossal Nerve Palsy after Peroral Resection of Submandibular Gland)

  • 반원우;반명진;이치규;박재홍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41-44
    • /
    • 2016
  • The resection of submandibular gland is usually performed via trascervical, transoral approach. The authors suspected the stenosis of Wharton's duct of 54 years old female patient after transoral removal of submandibular stone and the resection of submandibular gland was decided. Because of cosmetic need, the resection was performed transorally. The operation was completed successfully without any injury to unilateral lingual nerve or hypoglossal nerve but contralateral paralysis of hypoglossal nerve was seen. In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contralateral hypoglossal nerve palsy during transoral resection of submandibular gland.

부인강에서 발생한 설하신경의 신경초종 1례 (A Case of Parapharyngeal Neurilemmoma Arising from Hypoglossal Nerve)

  • 이성욱;은상용;박성준;이상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9-72
    • /
    • 2000
  • The neurilemmoma is a relatively uncommon benign neoplasm which is known to be originated from the schwann sheath of the nerve fiber. Parapharyngeal neurilemmomas may originate from any nerve traversing this space, but the vast majority arise from the vagus nerve and sympathetic chain. The neurilemmomas arising from the extracranial portion of the hypoglossal nerve are extremely rare. To our knowledge, the case we present is the ninth one to be reported occurring in the parapharyngeal space. Recently we experienced a case of parapharyngeal neurilemmoma arising from the hypoglossal nerve and so we report our case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PDF

반복 설하신경 자극검사로 진단한 중증근무력증 1예 (A Case of Myasthenia Gravis Diagnosed by Repetitive Hypoglossal Nerve Stimulation Test)

  • 장일미;이경복;노학재;안무영;양광익;성기범
    • Annals of Clinical Neurophysiology
    • /
    • 제8권1호
    • /
    • pp.74-77
    • /
    • 2006
  • Repetitive nerve stimulation is a simple and widely used technique to demonstrate neuromuscular transmission defect. A significant decremental response for repetitive hypoglossal nerve stimulation was obtained from the surface recordings in the tongue of a patient with dysarthria and dysphagia. Repetitive hypoglossal nerve stimulation test may be useful in diagnosis of myasthenia gravis with bulbar symptoms only. We utilized repetitive hypoglossal nerve stimulation with tongue recordings and diagnosed a case of myasthenia gravis.

  • PDF

특발 두개내압상승 소견을 보인 환자에게서 설하신경관의 신경 원성 종양으로 오인되었던 정맥동 혈전의 케이스: 증례 보고 (Venous Sinus Thrombosis in the Hypoglossal Canal Mimics a Neurogenic Tumor in a Patient with Presumed Idiopathic Intracranial Hypertension: A Case Report)

  • 진기옥;박지은;이정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147-1152
    • /
    • 2022
  • 특발 두개내압상승은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두개 내압의 증가가 생기는 증후군으로 이 질환의 약 10%에서 두개내 정맥동의 혈전 형성이 생길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체중이 정상 범위이며 응고 장애가 없는 특발 두개내압상승 환자에게서 정맥동의 혈전 형성은 간과될 수 있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특별한 위험인자가 없던 환자에게서 설하신경관의 신경 원성 종양으로 오인되었던 정맥동 혈전의 케이스를 소개하고, 두개 내압상승의 다양한 영상 소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설하선에 발생된 신경초종 (SCHWANNOMA OF THE SUBLINGUAL GLAND : REPORT OF A CASE)

  • 이은숙;최순철;박태원;유동수
    • 치과방사선
    • /
    • 제24권2호
    • /
    • pp.461-466
    • /
    • 1994
  • 신경초종은 신경초에서 발생되는 성장이 느린 양성 종양으로 단발성이며 드물다. 이 종양은 말초 신경,자율 신경,뇌신경의 Schwann세포에서 발생된다. 두경부 영역의 두개외 신경성 종양은 드물며 특히 타액선에서 발생되는 예는 드물다. 저자들은 20세 여자 환자에서 아래와 같은 소견을 나타내는 신경초종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1.주소는 좌측 악하선 부위의 종창이었으며 촉진시 3×4㎝의 단단한 종괴가 만져졌으나 동통이나 림프절병증은 없었다. 2. 일반방사선사진에서 종괴와 관련된 골변화는 없었으나 초음파 영상에서는 불균질한 반사 양상을 보이는 종괴가 좌측 악하선 영역에서 관찰되었다. 3. 자기공명영상으로 병소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병소의 경계는 명확하였으나 신호 강도는 균일하지 않았으며 T1 강조 영상에서는 근육과 유사한 신호 강도를 보였으나 T2 강조 영상에서는 근육보다 높은 신호 강도를 나타냈다. 4. 조직 병리학적으로 Antoni type B 부위보다는 A 부위가 지배적이었으며 Verocay body도 나타났다. 종양 세포는 anti-S-100 염색에 양성으로 반응하였다.

  • PDF

수소양 삼초경근의 해부학적 연구 (Anatomical observation on the Triple Energizer Meridian Muscle in human)

  • 박경식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1호
    • /
    • pp.65-77
    • /
    • 2007
  • 목 적 : 본 연구(硏究)는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頸筋)의 이론적(理綸的) 근거(根據)를 해부학적(解剖學的)으로 제공(提供)하고 임상(臨床)에 경근(經筋)의 정확(正確)한 적용(適用)을 위함이다. 방 법 : Cadaver에 경근(經筋)을 표시(表示)하고 각각(各各)의경 경혈부위(經穴部位)에 표식(標識)와 pore 작업을 수행하고 각 경혈부(經穴部)를 피부(皮膚), 근막(筋膜), 그리고 근육(筋肉)의 천층(淺層), 중문층(中問層), 그리고 심층부(深層部)를 순서적(順序的)으로 해부(解剖)하여 근육(筋肉), 신경(神經), 혈관(血管) 등을 관찰(觀察)한다. 결 과 및 결 론 :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經筋)의 해부학적(解剖學的) 고찰(考察)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근(筋) 육(肉) : 천층에 근막(TE1), 근막확장대(TE2), 근막과 근간결합(TE3), 근막과 신근지대(TE4), 근막과총지신근건(TE5), 근막및 총지신근과 소지신근간(TE6), 근막과 소지신근(TE7), 총지신근(TE8), 척측수근신근과 소지신근간(TE9), 상완삼두근건(TE10, 11), 상완삼두근(TE12), 삼각근(TE13), 삼각근및 극하근과 극상근간(TE14). 승모근(TE15), 흉쇄유돌근(TE-16, 17, 18), 후이개근(TE19, 22), 상이개근(TE20), 전이개근및 이하선근막(TE21), 안륜근(TE23), 중층에 소지신근건과 총지신근건간(TE4), 측두근막과 측두근(TE2O, 22, 23), 심층에 배측골간근(TE3), 시지신근과 골간막(TE5) 장모지신근(TE6), 시지신근(TE7), 장지신근과 장모지외전근간(TE8, 9), 상완삼두근(TE13), 견갑거근(TE15), 두판상근(TE16), 경상설골근과 하악이복근간(TE17) , 이복근(TE18) .2) 신(神) 경(經) : 천층에 척골신경의 배측지(TE1, 2, 3), 후전완피신경(TE4, 5, 6, 8, 9, 10, 11), 내측전완피신경(TE5, 6, 7, 8, 9, 10, 11), 후상완피신경(TE12, 13), 상외측상완피신경(TE13), 외측쇄골상신경(TE14, 15),대이개신경(TE16, 17, 18, 19), 소후두신경(TE19, 20), 이개측두신경(TE20, 21, 22), 안면신경측두지(TE22, 23), 관골측두신경(TE23), 중층에 견갑상신경(TE15), 견갑배신경(TE15), 경상설골근신경(TE17), 후이개신경(TE18, 19, 20), 안면신경측두지(TE20, 21, 22), 심층에 후골간신경(TE5, 6, 7), 요골신경심지(TE8, 9, 12, 13), 견갑상신경(TE14), 액와신경가지(TE14), 부신경(TE16), 안면신경과 부신경가지(TE17), 설인신경(TE17), 설하신경(TE17), 경신경고리(TE17), 미주신경(TE17), 안면신경 (TE18). 3) 혈(血) 관(管) : 천층에 척측정맥배측지(TE1, 2), 고유수장지동맥배측지(TE1), 배측중수골동맥배측지(TE2), 배측중수골정맥(TE3), 척측피정맥(TE4, 5, 6, 7, 8, 9, 10, 11), 배측정맥궁(TE4), 부요측피정맥(TE6, 8, 9),요측피정맥(TE10, 11), 후견봉정맥가지(TE13, 14), 후이개동 ${\cdot}$ 정맥(TE16, 17, 18, 19, 20), 전이개동 ${\cdot}$ 정맥(TE20), 천측두동 ${\cdot}$ 정맥(TE22, 23), 중층에 후상완회선동맥(TE14), 견갑배동맥(TE15), 견갑상동맥(TE15),천측두동 ${\cdot}$ 정맥(TE21), 관골측두동 ${\cdot}$ 정맥(TE23), 심층에 배측중수골동맥(TE3), 배측수근동맥궁(TE4), 후골간동맥(TE4, 5, 6, 7, 8, 9), 전골간동맥(TE6, 7, 9), 심상완동맥(TE10, 11), 상완동맥측부지(TE10, 11), 중간 측부동맥(TE12), 요측측부동맥(TE12), 심상완동맥가지(TE13), 후상완회선동맥(TE13), 견갑상동맥(TE14), 후두동 ${\cdot}$ 정맥(TE16, 17), 내경정맥(TE17). 결 론 : 1. 수소양삼초경근(手少陽三焦經筋)은 근육(筋肉), 그리고 관련(關聯) 신경(神經), 혈관(血管)으로 구성된다. 2. 본 연구(硏究)는 경근(經筋)에 관한 기존(旣存)의 연구(硏究)와 비교(比較)하여 볼 때에 경근(經筋)의 구성요소(構成要素)에 있어서 약간(若干)의 차이(差異)를 보여준다. 3. 해부학적(解剖學的) 연구결동(硏究結東), 경근(經筋) 근육(筋肉)을 지배(支配)하는 신경(神經)${\cdot}$혈관(血管)의 개념(槪念)과 경근(經筋)을 스쳐 지나가는 신경(神經)${\cdot}$혈관(血管)의 개념(槪念)은 구분(區分)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