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호주거지역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23초

주거지에 따른 베이커리 제품의 선호도와 구매 만족도 (A Study on the Residence Preference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Bakery Product Purchasers)

  • 이숙은;한경필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47-160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주거지와 소득에 따른 베이커리 제품 구매 속성과 형태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일반적인 사항에서 전체 1,235명 중의 여성이 59.6%, 남성이 40.4%로 여성이 남성보다 조금 더 많았으며, 주거지는 서울 대도시 지역이 53.0%, 중소도시 지역이 47.0%였다. 베이커리 제품의 선호도에서 '일반 식빵과 단과자 빵류'가 56.5%로 가장 많았고, '샌드위치류' 26.0%, '천연 발효빵과 건강빵' 24.5%, '케익류' 20.6%, '빵과 함께 커피, 음료' 17.2% 순이었다. 소득에 있어서는 소득이 높아질수록 '천연 발효빵과 건강빵'을 선호하였으며(p<0.001), 소득이 낮아질수록 '조각 케익'(p<0.001)과 '샌드위치류'(p<0.001)를 선호하였다. 베이커리 제품의 만족도에서는 '품질과 맛'(M=3.76), '신선도'(M=3.64), '양질의 재료'(M=3.40), '기능성 제품판매'(M=3.31), '영양성분'(M=3.24) 순으로 나타났으며, 주거지에 있어서 서울 대도시 사람과 중소도시에 거주하는 사람 모두 '품질과 맛'(p<0.05), '신선도'(p<0.05)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중년층의 노후 주거선호 - 광주지역의 대학생 자녀를 둔 학부형을 대상으로 - (The Preference of Housing for the Elderly among the Middle-aged Households for Aging Society)

  • 김미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7-126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survey to find out middle-aged persons's housing preferences for a future elderly housing and to grasp background characteristics of persons influencing the preferences and the effect of elderly's aging situations on the changes of their preferences. A sample of 300 middle-aged people was selected purposely from parents of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Gwang-ju city.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parents by students and analysed with SPSS Windows 10 program. Middle-aged persons's housing preferences were differed according to elderly's aging situations, in the case of healthy situation, they tended to prefer to stay present house without their children in irrespective to couple or single, whereas in the case of unhealthy situation, they tended to prefer to live with their children. and couples showed preferences for planned housing for the elderly and singles showed preferences for elderly housing facilities with care services.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elderly housing among middle-aged people was a places where they can enjoy leisure and provide home-help services, located in the suburbs. Also middle-aged persons were likely to prefer to a green spaces such as garden, path for walking, and madang for the elderly housing. Needs for community care services (NCCS) were required above the average. Among the items of NCCS, a visiting medical examination was the most demanding, and a visiting nursing services, a emergency calling bell, and home repairs were sequently followed in the level of need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housing which preferred to and needs for community care services were influenced by middle-aged persons's age, gender, subjective evaluation of economic abilities, tenure status, the cost of living, and the size of housing. This findings suggests that it must to be considered to develop various types of the elderly housing depending on socioeconomic status.

전주지역 대학생의 욕실사용실태 및 의식, 평면선호에 관한 연구 (The Uses and Consciousness of Bathrooms and the Preference of Bathroom Plans of College Students in Jeonju City)

  • 안경온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115-12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usefulness of bathrooms and to clarify the preference of bathroom plans by college students in Jeonju Cit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315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The bathroom types were mostly unit bathrooms and were not suited with using bathrooms of college students. The college students usually used unit bathrooms individually for stool and showering. The unit type of bathroom was not comfortable for them and, therefore, most of them were not satisfied with their bathrooms. They wanted a separate space for different facilities such as a bathtub and toilet, a dressing room, and a fixed clothes chest. Generally the college students did not prefer unit bathrooms, but the bathroom plan with separate rooms for the bathroom and toilet, with space for dressing. This study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be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in other big,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Also, it is necessary to offer bathroom plans which take the size of houses and bathrooms, and the number of bathrooms into account and to survey housing consumers' satisfaction of those bathroom plans.

지역사회 여가시설 개발을 위한 공동주택거주자들의 여가활동 장소 및 여가시설에 대한 선호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Leisure Facilitie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Complex for Developing Leisure Faciliti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 신화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6호
    • /
    • pp.159-168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ference and needs of leisure facilities of residents living in apartment complex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selected apartment complexes, and 676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statistical techniques used for data analysis included frequencies, percentage, mean, $X^2$-test,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Subjects needed the diverse leisure facilities such as sports center and resident's self government facilities. And they needed diverse facilities for sports. 2) In terms of location, they needed leisure facilities which was closer to their house. 3)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was lower than neutral. The satisfaction of leisure facilities related with diversity of leisure facilities and program, and poor environment. 4)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preferred safe and various leisure facilities, and the leisure facilities were exclusively used for the residents only, and the use by non-residents should be charged at the expense. Also, respondents were willing to pay additional fee for the better quality of leisure facilities, and sports leisure facilities congregated in one building were highly desirable.

전원주택의 출현과 입지적 특성 (Emergence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Exurban Housing)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3-193
    • /
    • 1999
  • 1990년대에 들어와 전원주택시장은 급격하게 성장했다. 대도시 주민의 전원지향 이주와 전원주택시장의 급성장을 초래한 사회경제적 배경은 소비주체의 생활양식 변화, 건설자본의 사업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 국가의 법적·제도적 지원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진다. 실제로, 수도권지역에서 전원주택은 경관이 수려하고 자연환경이 잘 보존된 한강축, 접근성이 양호한 고속도로축, 일산 신도시에서 파주로 나아가는 북방축 등 세축을 따라 뚜렷한 성장세를 보인다. 그러므로 대도시 주민이 선호하는 전원주택의 주요 입지적 속성은 자연환경과 접근성이라 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가 선호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 (Preference of Stroke Patients for Bathroom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 이경민;김유선;윤수정;홍기훈;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1-40
    • /
    • 2014
  • 목적 : 뇌졸중 환자가 요구하는 주거공간의 욕실 환경 특성을 알아보고 욕실 환경을 개선할 때 필요한 욕실 디자인 특성 선호도를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13일까지 부산지역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97부를 분석하였다. 결과 : 욕실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 조사 결과 미끄러움 방지 타일 설치($3.63{\pm}1.29$)와 욕조의 안전바 설치($3.46{\pm}1.39$)가 높게 나타났고 남자에 비해 여자의 요구도가 전반적으로 높았다. 욕실디자인 특성 선호도 조사에서 뇌졸중 환자들은 미닫이문, 미닫이형 손잡이, 편의시설형 샤워부스, 미끄러움 방지 타일, 붙박이 수납장, L자형 안전바, 자연환기(창문), 바닥 난방, 들어가기 쉬운 욕조, 안전바가 설치된 욕조, 기울어지거나 물 온도가 표시되는 세면대, 안전바형 변기, 목욕 의자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욕실 환경에 대한 개선요구와 욕실디자인 특성선호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향후 뇌졸중 환자들이 요구하는 욕실디자인을 제안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신혼부부 가구는 왜 독립적이지 못하는가? - 주거경제적 요인을 중심으로 - (Why can't Newly-Married Household be independent of their Parents Household?)

  • 박종훈;이성우
    • 지역연구
    • /
    • 제33권3호
    • /
    • pp.31-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신혼부부 가구가 주거경제적 측면에서 부모로부터 독립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증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주택 특성 및 주택 정책 변수를 활용하여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의 지원 여부와 생활비 지원 여부로 구분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주택시장의 공간적 이질성을 고려하여 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종속변수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이항 로짓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신혼부부 가구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2015년도 신혼부부 가구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모두 높은 주택가격과 교통 접근성 선호는 주거 점유 시 부모로부터 지원을 받는 것에 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대로 대출상품의 활용은 지원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생활비 지원은 주거지출 항목과 정(+)의 관련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지출비 부담을 경감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부모의 지원과 신혼부부 간의 주거경제적 연관성에 주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는 점과 이를 통해 신혼부부 가구의 주거독립을 위한 정책을 제안하였다는 데 있다.

주거공간의 부엌 환경 특성에 대한 뇌졸중 환자의 선호 (Preferences of Stroke Patients for Kitchen Environment in Residential Space)

  • 백다래;정연진;강석구;김희정;이춘엽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0
    • /
    • 2014
  • 목적 :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부엌 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도, 부엌 디자인 선호도, 부엌에 필요한 물품 선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 지역의 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고 있는 뇌졸중 환자 97명을 대상으로 2014년 2월 24일부터 3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빈도분석을 하였다. 결론 : 부엌환경에 대한 개선 요구에서 작업할 수 있는 의자 사용, 미끄럼방지 타일의 설치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부엌 디자인 선호 조사에서는 미끄럼방지 매트, 난방설비의 보일러, 서랍식 수납, L자형 안전손잡이, 높낮이 조절이 되는 싱크대, 가스누출 자동차단기, 터치식 수도꼭지, ㄷ자형 주방, 환기시설은 천장형 후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엌에 필요한 물품 선호에서는 내려오는 싱크대 선반, 채 썰기 가위, 손 다침 방지 칼을 선호하였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부엌환경에 대한 선호를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뇌졸중 환자의 부엌 사용의 자립도, 낙상 예방 및 주방용품의 안전성과 편리성이 고려된 부엌 설계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PDF

농촌 주거지 개발 수요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 및 산림환경의 영향 분석 (Effects of Socioeconomic Factors and Forest Environments on Demand for Rural Residential Development)

  • 이요한;지성태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5권2호
    • /
    • pp.199-228
    • /
    • 2016
  •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북중부 7개주를 대상으로 농촌 주거지 개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들과 산림유형에 따른 산림환경특성을 주거지 개발의 주요 요인으로 고려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았다. 먼저, 1950년 이후 미 북중부 지역에서 나타난 인구변화에 대한 실증모델을 개발하였고, 고정효과 패널모델을 이용하여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들을 분석하였다. 연령별로 인구변화패턴과 거주지를 선택하는 선호 요인이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실증모형을 구성할 때 연령별로 모형을 설정하였다. 다음단계로, 인구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소득과 같은 가변요인 뿐 아니라 단기간에 거의 변화가 없는 지역의 특수한 환경 요인들을 포함할 것이라는 가정하에, 패널모형의 고정효과 값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각 카운티별 인구증감의 차이가 산림환경, 수자원 등 시간불변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설정하여 횡단면적 모델을 추정하였다. 마지막으로, 농촌 지역의 주거지 수요를 설명하는 모델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이주자의 나이가 주거지 선정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인자로 나타났고, 특히 사회경제적 요인 뿐 아니라 산림유형, 수자원 등 환경 어메니티가 주거지 수요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도 나이 계층별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역의 정주성 향상을 위한 연구 (I) - 미래 주거생활주기에 따른 대구지역 대학생의 지역선호와 가치를 중심으로 - (A Study for the Elevation of Settlement in Residential District(I))

  • 임소연;김재경;안옥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1-10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nvironmental factors having a influence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ial district and to furnish basic information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For the purpose, residential preference and values on the residential district were estimated according to the housing life cycl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designed for this study, and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university students. To analyze the data were used spsswin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According to the housing life cyc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of the residential district, living area and housing type in the future. Metropolitan and seoul, residential area and commercial area, apartment, office-hotel and row house were preferred in the housing formative. In the stable period, seoul and metropolitan, tower apartment, residential area were preferred. But in the housing reductive period, they preferred a green zone in the rural, the detached house. 2. The degree of consideration of living convenience facilities was high in the housing formative period. Both education-leisure, business facilities and marketing facilities were highly valuated in the housing stable period. But the value of welfare facilities was high in the housing reductive period. 3. The 4 dimensions of valu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were extracted through factor analysis. They were natural, huma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ccording to the housing life cyc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ctors being considered as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values of human and economic factors were high in the housing formative and stable period. Natural factor were highly considered in the housing reductive perio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