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택적 활동

검색결과 1,077건 처리시간 0.037초

과학관련 사회쟁점(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 분석틀 개발: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분석 (Development of an Analytical Framework for Dialogic Argumentation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Based on Discourse Clusters and Schemes)

  • 고연주;최윤희;이현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509-521
    • /
    • 2015
  • 논증활동은 사람들 사이의 사회적 협력적 대화과정으로 볼 수 있다. 논증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Toulmin(1958)이 제시한 논증구조를 이용하여 논증활동의 구조적 측면을 분석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SSI 맥락보다는 과학적 탐구 맥락에서 주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SSI 맥락에서의 논증활동은 간학문적, 논쟁적, 가치내재적 특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분석틀로는 SSI 논증활동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연구과 SSI 담화 사례분석을 기반으로 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을 위한 분석틀을 개발하고, 그 틀을 기반으로 실제 SSI 맥락에서 진행되는 소집단 논증활동에 적용해봄으로써 그 적용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SSI 맥락에서의 소집단 논증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담화클러스터'와 '담화요소'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담화클러스터는 유사한 목적을 지닌 발화의 묶음으로, SSI 맥락에서 '문제의 논점 확인', '개별 입장의 교환', '다양한 관점 및 자료의 탐색', '상반된 관점 간 논쟁', '설득력 있는 안에 대한 선택', '절충안 또는 대안 마련'의 여섯 가지로 구분될 수 있다. 담화요소는 SSI 소집단 논증활동에서 바람직하게 평가될 수 있는 내용 및 구조적 요소로서, '다양한 관점의 고려', '증거에 기반한 추론', '지속적인 탐구와 회의적 사고', '도덕 윤리적 민감성'의 네 가지 범주로 나눠지며, 총 19가지의 요소를 포함한다. 원자력에너지와 안락사 쟁점에 대한 소집단 논증활동 사례를 분석한 결과, 이 분석틀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는 논증활동의 전체적인 흐름과 학생 발화의 역동성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으며, 학생들의 담화가 SSI 추론의 특징을 얼마나 반영하는지 설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분석틀은 SSI 프로그램을 통한 논증활동 기술이나 의사결정과정의 향상을 알아보는 데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폰에서 센서 융합과 커널 판별 분석을 이용한 인간 활동 인식 (Human Activity Recognition Using Sensor Fusion and Kernel Discriminant Analysis on Smartphones)

  • 조정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9-17
    • /
    • 2020
  • 스마트폰을 이용한 인간 활동 인식은 컴퓨터 지능 분야에서 뜨거운 연구 주제이다. 스마트폰에는 다양한 센서가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의 데이터를 융합하면 응용프로그램에서 많은 활동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활용 가능한 센서 수가 제한되기 때문에 리소스가 적으며, 최적의 성능과 효율적인 특징 추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특징 선택 및 분류 방법이 필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요구사항에 따라 스마트폰-기반 HAR 체계를 제안한다. 이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은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에서 시간-도메인 특징을 추출하며, 커널 판별 분석(KDA)과 SVM을 적용하여 높은 정확도로 활동을 인식한다. 이 방법은 각 활동에 대해 각 센서에서 가장 관련성이 높은 특징을 선택한다. 우리의 비교 결과는 제안된 시스템이 이전의 스마트폰-기반 HAR 시스템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준다.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the Process of Science Related Career Choice)

  • 윤진;박승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517-530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규명하여, 학생들의 과학진로 선택과정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모형을 찾는 것이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과학관련 진로 선택과 관련된 주요요인으로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 과학 학습에 대한 선호, 과학 관련 활동에의 참여 등 세 요인을 선정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분석이 가능하도록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을 알기 위한 설문지를 문헌연구와 예비검사를 통해 개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지역의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 등 전체 947명으로, 학년별 남녀별 학생 수는 거의 같게 구성하였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의 주요 요인들 사이의 인과 구조를 설명하기 위하여 구조 방정식 모형을 통한 공변량 구조 분석의 결과, 이론 모형을 수정하여 자료와 잘 맞는 4가지 모형을 얻었다. 네 수정모형 모두에서,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은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이었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와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적합도 지수가 가장 좋은 모형에 의하면, 과학 관련 진로 선택에 대하여, 과학 관련 진로에 대한 인식은 0.82의 직접 효과와 0.21의 간접 효과를 합한 1.03의 전체효과를 주고,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는 과학 관련 활동 참여에 영향을 주면서 0.65의 간접 효과를 주고, 과학 관련 활동 참여는 과학 관련 진로 인식에 영향을 주면서 0.79의 간접 효과를 주었다. 학교의 과학 교육에 대한 시사점으로는 더 많은 학생들이 과학 관련 진로를 선택하게 하려면, 과학관련 진로인식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 가장 큰 효과를 줄 수 있으며, 다음으로는 다양한 관학관련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는 것과 과학학습에 대한 선호를 높이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과학관련 진로선택 과정을 더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들을 더욱 포괄하는 모형의 구축이 필요하여, 연구대상을 과학고 학생들이나, 과학기술계 대학생들로 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고 보완할 필요가 있다. 과학관련 진로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려한 과학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투입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이 관광만족, 재방문, 및 구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ourists' Selective Inclination of Destination on their Tour Satisfaction, Revisit and Public Relations)

  • 지봉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417-425
    • /
    • 2009
  • 제주특별자치도는 관광산업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투자활동과 함께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활동을 지속하였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가 하드웨어 중심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제주도 관광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관광목적지 선택속성에 따른 관광만족과 관광후 행동간의 관계를 규명한 연구들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주 관광객 특성, 관광만족, 그리고, 관광후 행동의 영향관계를 구명하여 제주관광 정책을 수립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학교 급별에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연구 (Research o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on Effective Seasonal Constellation Experiment according to School Level)

  • 한제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67-276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계절별 별자리 실험에 대해 알아보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계절별 별자리 실험이 무엇인지 연구하는데 있다. 초등 예비교사 24명과 함께 계절별 별자리 실험을 정리하고, 학교 급별로 효과적인 실험이 무엇인지 쓰도록 하였다. 그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역할놀이를 통한 직접적인 체험활동을 통한 별자리 학습이 가장 효과적이었고, 중·고등학교에서는 stellariu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실적으로 계절별 별자리의 변화를 관찰하고 추리해보는 활동을 효과적인 실험으로 선택하였다. 예비교사는 초등학교에서는 직접적인 체험과 구체적인 조작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을, 중·고등학교에서는 사실적인 자연현상의 관찰과 이를 통한 추리 활동이 강조되는 실험이 효과적이라고 인식하였다.

효과적인 측정과 분석 활동 도입 방안 연구 (Effective Measurement and Analysis Program Implementation)

  • 황영순;김현정;최호진;민홍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439-441
    • /
    • 2004
  •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들은 최근 여러 가지 해결해야할 문제점들에 직면해 있다. 프로젝트의 높은 실패율, 경쟁심화로 인한 낮은 수익성, 효과적인 고숙련 노동자의 관리, 고객의 높은 요구사항 수준 등이 그 예이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체계적으로 다루기 위해서 잘 정립된 개발 프로세스를 도입해야하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최근 국제표준화 되고 있는 CMMI에 대한 도입이 한참인데, 이 연구는 이중 핵심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는 측정과 분석활동을 도입하는데 따른 문제점과 도입방안을 연구하고 있다. 프로세스 모델과의 통합, 측정변수의 선택, 기업문화변화에 따른 문제점이 중요함을 다루고 있다 이들 요인들이 잘 다루어져야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프로세스 향상을 통한 수익성 개선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 PDF

RDAPS 입력자료 선정을 위한 Mutual Information기법 적용 (Mutual Information Technique for Selecting Input Variables of RDAPS)

  • 한광희;류용준;김태순;허준행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141-1144
    • /
    • 2009
  •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기법은 인간의 두뇌 신경세포의 활동을 모형화한 것으로 오랜 시간동안 발전해 왔으며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고 수문분야에서도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RDAPS와 같은 단기수치예보 자료는 강우의 유무 판단과 같은 정성적인 분석에서 비교적 정확도가 높지만 정확한 강우량의 추정과 같은 정량적인 부분에서는 정확도가 매우 낮으므로 인공신경망 기법과 같은 후처리 기법을 통해서 정확도를 높이게 된다. 인공신경망 기법을 수행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입력변수선택(input variable selection)으로 입력 변수의 적절한 선택이 결과값에 큰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mutual information을 입력 변수 선택 기법으로 채택하여, 인공신경망의 입력변수 선정의 정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Mutual information은 주어진 자료의 엔트로피값을 이용하여 변수들 간의 독립과 종속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법으로서, MI값은 '0'에서 '1'의 값을 가지며 '0'에 가까울수록 변수들 간의 관계가 독립적이고 '1'에 가까울수록 종속적인 관계를 나타낸다. 인공신경망의 입력변수선정에 대한 mutual information의 정확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존 입력변수선택 기법과 mutual information을 이용했을 경우의 인공신경망의 처리능력, 정확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폐기물 소각시설분석과 소각로 선정 (Analysis of Waste Incinerator and Its Selection)

  • 임계규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7-117
    • /
    • 1995
  • 최근 몇년전 부터 폐기물 처리와 관련하여 소각로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부쩍 늘어나고 있다. 이는 인구의 증가, 산업의 발전, 경제활동의 팽창 및 다양화 등에 의하여 폐기물의 질적 변화가 적정처리에도 영향을 미쳐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또한 폐기물의 단순 매립처리가 사후 관리에 여러가지의 어려움과 매립지 선정 자체에도 어려움이 따르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소각기술이 아직도 보완되어야 할 부분들이 많기 때문에 현재 가동중인 소각시설에도 많은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고 이들의 문제해결이 시급한 것이 현재의 현실이다. 심한 경우에는 폐기물 처리목적으로 많은 투자를 하여도 폐기물의 특성에 따른 적정 처리시설을 선정하지 않아 소각로 가동 시운전 단계에서도 중지하여야 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반면 적은 투자로도 만족할 만한 처리효과를 내며 가동하는 경우도 있어 당초 계획단계 부터 신중을 기해야할 것이다. 소각로는 외부로 보기에는 거의 비슷하나 상세히 검토하면 소각로에 대한 선택적 기술이 필요하며 특히 소각로를 사용하는 목적이 무엇인지에 따라서 소각로의 선택이 달라질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에 초점을 두어 현재의 소각기술을 분석하고 선정과정을 검토해 나가기로 한다.

  • PDF

중학생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채점 방식 및 척도의 수에 따른 신뢰도 분석 (An Analysis on Reliabilities of Scoring Methods and Rubric Ratings Number for Performance Assess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Investigation Activities)

  • 김형준;유준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5-290
    • /
    • 2010
  • 중학생의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과 분석적 채점의 신뢰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분석적 채점을 하는 경우에는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채점척도의 수준을 어느 정도로 분석적으로 해야 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중학생들이 작성한 4개의 과학탐구과제에 대한 활동지를 두 명의 채점자가 총체적 채점 방식, 분석적 채점 방식, 분석적 채점 중 채점척도를 2, 3, 4~7수준으로 다르게 하여 채점하였다. 총체적 채점 방식은 과제 간 내적 일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분석적 채점 방식은 채점자간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채점척도 3수준의 경우는 4~7수준의 경우와 활동간 내적 일치도와 채점자간의 신뢰도가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능력추정치별 학생의 분포, 문항곤란도 및 문항특성곡선의 경우 채점척도 3수준의 경우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과학탐구활동 수행평가 시 총체적 채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과제 간 내적일치도를 높일 수 있으며 분석적 채점 방식에 비해 낮게 나타나는 채점자 간 일치도를 높이기 위한 채점자간 협의등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분석적 채점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는 채점척도 3수준으로 충분히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e-PBL을 적용한 수업혁신 (Instructional Innovation Using e-PBL)

  • 권혁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241-249
    • /
    • 2022
  • 본 연구는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PBL의 적용가능성을 확대한 e-PBL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C교육대학교의 전공 선택 교과목의 한 학기 수업활동 중 4주 분량의 활동을 체계적 설계 절차에 따라 e-PBL 활동으로 재구성하여 운영하였다. e-PBL 운영 기간 동안 참여 수강생의 반응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참여 수강생들은 초기의 어려움과 혼란스러움을 극복하고 점진적으로 e-PBL 활동에 동화되는 모습을 보여주었으며 전반적으로 e-PBL 활동 경험에 대하여 만족스러워했다. 참여 수강생들은 e-PBL을 통해 이루어진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통해 주인의식을 갖고 활동에 참여하였고, 팀 구성원들과의 빈번한 소통과 협력을 통해 문제해결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e-PBL을 활용한 교원양성대학의 교육혁신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e-PBL 적용 수업을 확대하여 분석하고 이를 통해 e-PBL의 교육적 효과를 추가적으로 검증하기 위한 후속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