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활하수

Search Result 33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의 생식주기

  • 장영진;장해진;민병화;방인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0.05a
    • /
    • pp.263-264
    • /
    • 2000
  • 한국을 비롯하여 일본, 대만, 중국 등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다슬기(Semisulcospira libertina libertina)는 자웅이체로서 난생 또는 난태생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강, 호수, 연못 및 계곡 등에 널리 서식하며, 식용으로서 기호도가 높은 유용 수산자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생활하수, 농약, 중금속 등에 의한 다슬기 서식지 오염과 행락객의 무분별한 채취로 인해 자원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중략)

  • PDF

광양만 종합개발에 따른 섬진강 하구역의 해양생태변화 1. 엽록소 $\alpha$량의 시ㆍ공간적 분포 특성

  • 윤양호;한명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16-218
    • /
    • 2001
  • 1970년대에 접어들면서 광양만 및 인근해역은 대규모 산업단지 조성에 의해 다량의 생활하수와 산업배(폐)수가 유입되면서 매우 빠르게 부영양화가 진행되게 되어 급격한 생태계의 천이를 발생시키고 있다. 따라서 연구에서는 연안해역의 개발과 인위적 부영양화 과정에 따른 생태계 천이과정을 추구하는 한가지 수단으로 외부 환경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시ㆍ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여 보았다. (중략)

  • PDF

부산 기장지역 농경지의 지하수 수질 특성

  • 함세영;김광성;정재열;류상민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230-233
    • /
    • 2003
  • 우리나라에서 지하수 수질오염은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지하수 오염원은 공장폐수, 생활하수, 정화조, 주유소, 농약(살충제, 제초제, 살균제), 비료, 축산폐수, 광산배수, 폐기물 처분장 침출수 등 이다. 특히, 농업지역에서는 농약에서 유래하는 지하수 오염이 점점 증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먹는물 수질기준에 규정되어 있는 농약 성분은 다이아지 논, 파라티온, 말라티온, 페니트로티온, 카바릴이다. 국내에서 시판되는 농약의 품목 수는 1981년 이전까지는 226종이던 것이 1990년에는 467종, 2001년에는 961종으로 증가하였다(제주도, 2001). (중략)

  • PDF

겨울철 행암만의 수질과 표층퇴적물 환경특성

  • 김평중;박종수;박영철;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55-257
    • /
    • 2001
  • 진해 행암만은 반폐쇄성 내만으로서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의 유입에 의한 부영양화가 매우 심화된 해역으로서 겨울철에도 빈번하게 적조현상이 일어나는 해역이다. 그러나 매년 봄철부터 가을철까지는 부영양화 및 적조발생에 관한 조사는 많이 행하여 왔으나 진해만 및 마산만을 연구하기 위해 한 두 정점에 국한하여 조사가 이루어졌을 뿐이다. 특히, Park (1975)의 연구 이후 행암만에 대한 상세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며, 해수중 용존중금속 및 표층퇴적물중의 중금속농도분포도 거의 밝혀지지 않는 실정으로서 겨울철 행암만 수질과 표층퇴적물 중의 환경특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본 조사를 수행하였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Water Reuse System using Mixed Integer Programming (혼합정수계획법을 이용한 처리수 재이용 모형의 개발)

  • Chung, Gun-Hui;Kim, Joong-Hoo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92-296
    • /
    • 2009
  • 우리나라의 용수공급체계는 주로 여름에 집중된 강우를 댐이나 저수지에 저류하였다가 연중고르게 사용자들에게 공급하는 방법을 취하고 있다. 이때 도시지역의 생활용수는 갈수기에도 가장먼저 공급되어져야하는 우선순위를 가지는 반면, 농업용수는 가장 우선적으로 그 사용을 제한받는다. 하지만, 도시화로 인해 도시의 하수처리장 배출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처리수의 대부분은 하천으로 방류되어 유실되고 있다. 방류수 수질기준에 맞추어 방류되는 처리수는 대량방류로 인해 자주 하천에 수질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실제로 하수처리장의 처리수는 갈수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수원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그 처리수의 재이용에 관한 연구를 적절히 수행한다면, 갈수기에도 농업용수사용의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처리수 재이용 모형을 혼합정수계획법으로 개발하고, 하수처리장 처리수의 농업용수나 공공용수로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개발된 처리수 재이용 모형에서는 하천으로 방류되던 처리수를 농업용수나 공공용수로 재사용하는 시스템을 구축한다는 가정 하에, 그 공사비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또한 관말의 최소유지압력 등 수리학적인 제약조건을 만족시키도록 설계하였으며, 이 때문에 야기되는 비선형성을 선형화하여 계산시간이 짧은 동시에 전역해에 가까운 해를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가상의 처리수 재이용 모형에 적용되어 시스템의 설계자에게 갈수기 용수공급의 최적 대안을 제시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 PDF

The Study on the New Renewal Methods for Rehabilitation of Deteriorated Sewerage by Chemical Attacks (화학침식에 의해 열화된 하수관로 갱생 공법에 관한 연구)

  • Lee, Hee Won
    • The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for Advanced Composite Structures
    • /
    • v.5 no.3
    • /
    • pp.38-52
    • /
    • 2014
  • 도시주민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한 사회간접자본시설인 하수도, 하수도처리시설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부식열화는 현재 세계 각국에서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은 반영구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열화 인자에 의해 구조물의 사용수명은 급속히 단축된다. 하수시설 내에서는 황산이외에도 다양한 염류에 의하여 콘크리트구조물이 부식될 가능성이 있지만 황산에 의한 부식이 가장 대상범위가 넓고 부식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부식현상이 발견되면 급속하고 적절한 대응조치가 필요하다. 열화예측결과 및 구조물의 공용연수를 감안한 신뢰성이 높은 공법의 도입이 필요하며 이러한 조건에 적합한 유기재료와 무기재료의 복합 특성을 발휘하는 갱생공법에 사용되는 주요 소재의 실험적 특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그 결과 경질염화비닐(이하 프로파일)은 내외수압 저항성에서 3분간 $1kgf/cm^2$의 압력에도 누수 및 압력의 이동이 없었으며 약품침지에 따른 중량변화량이 $0.2mg/cm^2$이하로 산에 대한 변화량은 거의 없었다. 주입재인 모르타르의 산성에 대한 저항성은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기존 모르타르에 비해 비확선성 또한 우수하였다. 장거리압송시험은 200m까지 안정적인 압송이 가능하여 이 기술에 필요한 요구 성능을 확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ewage Treatment Using a Double Media Reed Constructed Wetland (복층여재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 Seo, Jeoung-Y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6 no.4
    • /
    • pp.379-388
    • /
    • 2014
  • A sewage was treated using a serially combined vertical(VFCW) and horizontal flow double media (sand and zeolite for VFCW and sand and waste oyster-shell for HFCW) reed constructed wetland(HFCW) with intermittent feeding (see Fig. 1). The sewage was fed into the reed constructed wetland for 10 minutes every 6 hours at the hydraulic load of $314L/m^2{\cdot}day$. The summarized results were as follows: pH values in the effluent depended very heavily on oyster-shell height filled in the HFCW. They were maintained at less than pH 6.24 when the height of the oyster-shell layer was 200 mm. Influent DO(oxygen demand) values(average 0.19 mg/L) were increased in the VFCW(average 7.65 mg/L) and decreased again in the HFCW(average 6.49 mg/L). They were higher in the winter than in the summer. The OTR(oxygen transfer rate) was $57.15g\;O_2/m^2{\cdot}day$ in the VFCW and $5.65g\;O_2/m^2{\cdot}day$ in the HFCW. The removal efficiency of $NH_4{^+}$-N was 80.17%(6.01 $NH_4{^+}$-N mg/L in the effluent). It was lower than that in the case where only zeolite was filled in the reed constructed wetland. But it was expected that treated sewage effluent using a double media reed constructed wetland with 300 mm zeolite layer could stably meet the Korean treated sewage effluent standard(20 mg T-N/L).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were SS 88.09%, BOD 88.12%, $COD_{Cr}$ 83.11%, $COD_{Mn}$ 85.58%, T-N 57.21%, $NH_4{^+}$-N 80.17%, T-P 86.73%. Nearly, The concentration of $NO_3{^-}$-N in the effluent of the VFCW was decreased in that of the HFCW. More than half of T-N in the effluent was $NO_3{^-}$-N(7.92 mg/L) but the concentration of $NO_2{^-}$-N in the effluent was average 0.90 mg/L.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P were 93.24%, 86.30% and 55.44% at the height of the oyster-shell-filled constructed wetland of 800 mm, 500 mm and 200 mm, respectively and therefore, they were proportional to oyster-shell height filled in the HFCW.

Phylogenetic diversity of marine bacteria dependent on the port environment around the Ulleng Island (울릉도 항구의 해양환경에 따른 해양미생물의 분포 변화)

  • Khang, Yongho;Ahn, Minkyung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51 no.3
    • /
    • pp.312-317
    • /
    • 2015
  • Pyrosequencing of 16S rDNA tags was used to obtain the bacterial diversity and community structure in the uncultured seawaters as well as in the cultured seawaters, which were collected from the 7 ports (Cheonbu, Hyunpo, Taeha, Namyang, Sadong, Dodong, and Jeodong) and 1 seashore (Guam) around the Ulleng island, Korea. Alphaproteobacteria were the most abundant group in the clean seawaters such as seawaters of Taeha and Sadong ports. Gammaproteobacteria proportion increased depending upon the wastewater amounts mixed with the seawaters such as seawaters of Namyang, Dodong, and Jeodong ports. The genuses of Alteromonas (from samples of Cheonbu, Taeha, Guam, Namyang, Sadong), Shewanella (from sample of Jeodong), and Vibrio (from samples of Hyunpo and Dodong) were dominant group in each of the cultured seawaters incubated in marine broth (Difoco).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ncoming wastewaters to the port seawaters contribute to the dynamic change of the marine bacterial community around the Ulleng island.

Lake Water Treatment Using a Ultrafiltration Membrane Process of Hollow Fiber Type (중공사형 한외여과 막분리 공정에 의한 하천수 처리)

  • 박진용
    • Membrane Journal
    • /
    • v.7 no.1
    • /
    • pp.39-47
    • /
    • 1997
  • The self-designed membrane system was tested to examine the performance of the hollow fiber type polysulfone ultrafiltration(UF) membrane for the treatment of pure water(the 3rd treated water). The molecular weight cut-off's (MWCO) of the membranes used in this study were 5, 000 and 10, 000, respectively. The recovery rate, the ratio of permeate flow rate to the feed flow rate,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rose. The values of MWCO obtained in this study, using 2, 000 ppm polyethylene glycol and dextran solutions with various molecular weight, showed higher values than those suggested by SK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imary experiments, the water of the Gongji-stream, in which water quality is deteriorated by the inflow of domestic wastewater, was selected for the UF membrane test. Biological oxygen demand(BOD), total solids, and turbidity of the treated water had much lower values than those of the source water. Therefore,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the domestic water treatment using the hollow fiber type UF membrane.

  • PDF

Study on Water quality and Release Rate of Sediment in Gul-po Stream (굴포천 유역의 수질 및 퇴적물 용출 특성에 관한 연구)

  • Jung, Jae-Hoon;Ahn, Tae-Woong;Choi, I-Song;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66-970
    • /
    • 2010
  • 본 연구의 대상지인 인천광역시, 부천시, 서울특별시, 김포시를 걸쳐서 흐르는 굴포천은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생활하수 및 공장폐수의 유입, 느린 유속과 하천 복개 등과 같은 유입오염원과 하천 구조적 문제로 인하여 수질이 악화되어 왔다. 특히 하천변의 소규모 영세 공장, 중 상류에 형성된 대규모 공업단지, 지역개발에 따른 인구증가로 인한 생활하수 등은 굴포천의 주 오염원이다. 또한 직강화된 하도와 느린 유속 등 하천의 구조적인 문제점 등은 하천의 자정능력을 저하시키고 있어 현재 굴포천의 수질수준은 전국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 더욱이 입자상 오염물질의 퇴적으로 인하여 굴포천의 하상은 대부분 퇴적오니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퇴적오니는 다량의 유기 물질 및 중금속 등을 흡착하고 있고, 재용출에 의한 내부오염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오염원이 제거된 후에도 계속적인 수질오염을 일으킬 수 있다(Alloway et al, 198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굴포천 본류 전 구간 및 유입지천에 대하여 수질 오염도와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으며, 본류 하상 퇴적물의 오염도 및 퇴적물의 용출특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굴포천 본류 구간을 최상류(GP-1)부터 최하류(GP-7)구간까지 총 7개 구간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각 지점별 수질 및 퇴적물 오염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3개의 유입지천에 대하여 수질 오염도 및 오염부하량을 산정하였다. 굴포천 하상의 경우 최상류의 GP-1지점을 제외하고는 전 구간이 대부분 오염된 오니가 퇴적되어 있으며, 이러한 퇴적오니의 퇴적물 오염도를 분석해본 결과 상류부인 GP-1, GP-2와 유속이 비교적 빠른 GP-7지점에 비하여 나머지 지점들의 오염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하상퇴적물의 영양염류 용출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호기 및 혐기조건에서 용출실험을 실시한 결과 호기와 혐기 조건에서 T-N은 각각 34.84 $mg/m^2/day$, 66.93 $mg/m^2/day$의 용출속도를 보였고, T-P의 경우 호기 조건 시 5.33 $mg/m^2/day$, 혐기 조건 시 6.84 $mg/m^2/day$의 용출속도를 보임으로서 퇴적물 용출에 의한 내부오염의 가능성이 있음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