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화학적 지표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43초

옻나무 목부로부터 분리한 Favonoids가 Paraquat 독성의 경감기전 검색 (Protective Mechanism of Flavonoids Isolated from Rhus Vernicifiua on the Paraquat Toxicity Reducing Agent and its Inhibition Mechanism)

  • 김정수;조희숙;강혜옥;한갑이;정민화;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75-781
    • /
    • 2003
  •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로부터 제초제인 paraquat(PQ)의 독성 경감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ethylacetate 분획에서 분리한 fustin 및 sulfuretin을 실험동물에 투여하고서 혈액학적 변화 및 간장 중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검토한 결과 혈액 생화학적 인자 분석을 종합해 보면 옻나무의 메탄을 엑스(250 mg/kg), 에틸아세테이트 엑스(250 mg/kg), fustin(10 mg/kg) 및 sulfuretin(10 mg/kg)을 2주간 각각 경구투여 하고서 PQ를 투여하므로서 PQ의 독성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in vivo에서 옻나무의 분획 및 성분의 투여는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PQ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지표인 s-GPT, s-GOT치, 신장독성지표인 BUN, creatinine치 및 조직손상의 지표인 ALP, MDA치를 억제하였다 폐조직중의 MDA함량, ALP활성 및 collagen함량도 억제하였다. 이로써 옻나무에는 PQ의 폐독성 및 각 장기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난소적출 수술을 받은 흰쥐에서의 골밀도, 골강도 및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에 대한 한방요법의 효과 (Effects of Alternative Medicine Extract on Bone Mineral Density, Bone Strength and Biochemical Markers of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이주원;김현진;지옥화;원해단;유영조;이민호;김태화;엄애선;강주섭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72-80
    • /
    • 2005
  • 본 실험은 칼슘 결핍과 난소 제거로 유발한 골다공증에 대한 한방요법의 효과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1) 난소 제거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결핍 및 칼슘 결핍은 폐경여성에서 관찰되어지는 것처럼 골강도 및 골밀도의 손실을 일으켰다. 2) 한방 추출물의 투여는 에스트로겐 결핍 및 칼슘 결핍으로 유도된 골강도 및 골밀도 손실에 대한 예방효과가 관찰되었다 3) 난소제거로 인한 에스트로겐의 결핍 및 칼슘 결핍은 골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들(혈청 중 alkaline phosphatase, acid phosphatase, osteocalcin, 그리고 뇨중 deoxyopyridinoline 농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한방 추출물의 투여 또한 골 대사의 생화학적 지표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한방 추출물의 골손실에 대한 예방효과는 한방 추출물의 골다공증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며, 새로운 골다공증 치료제 개발 일환으로 한방추출물의 적용기간 및 농도 변화를 통한 계속적인 연구가 요구되어진다.

한국인 성인 여성의 생화학적 골대사지표 및 골밀도와 일반적 특성과의 관계 (Biochemical Bone Turnover Markers, Bone Mineral Density, and General Characteristics in Korean Women)

  • 김화영;허영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5-202
    • /
    • 2013
  • 본 연구는 20대부터 50대까지의 광주, 전남에 거주하는 180명의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골대사지표로 골형성지표인 BAP와 OC, 골흡수지표인 NTx를 측정하였으며 골밀도로는 T-score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징으로 영향 요인으로 연령, 음주, 신체 활동량,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 폐경, 건강기능성식품 섭취 여부, BMI, 체지방률을 분석하였다. 연령에 따라 비교했을 때 BAP와 OC는 20대가 다른 나이군에 비해 낮았고 음주군은 비음주군에 비해 BAP가 더 높았다. 활동 정도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고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이 있는 군은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이 없는 군에 비해 BAP가 더 높았다. 또한 폐경군은 폐경전군에 비해 BAP가 더 높았으며 건강보조식품 섭취 여부에 따라서는 생화학적 골대사지표나 골밀도의 차이가 없었다. BMI에 따라서는 생화학적 골대사지표 및 골밀도의 차이가 없었지만 체지방률에 따라 분류했을 때는 정상군에 비해 비만군의 BAP가 더 높았고 골밀도는 더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령군, 음주, 골다공증에 대한 가족력, 폐경, 비만이 있는 경우 골형성지표가 증가하였고 특히 비만군에서 골밀도가 낮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골대사지표로 보았을 때, 한국인 여성들은 골 건강을 위해서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음주 및 비만 관리가 중요함을 시사하였다.

흰쥐의 간장 및 혈청 지질농도와 임상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식이섬유 및 식이지방 급원을 달리한 식이 투여의 영향 (Effects of Different Dietary Fats and Fibers on the Lipid Concentrations of Liver and Serum and Biochemical Index in Rats)

  • 차재영;홍상식;조영수;김대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77-1384
    • /
    • 2003
  • 본 실험에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의 간장 및 혈청 지질 농도와 임상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식이지방원 및 식이섬유원을 달리한 식이를 급여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실험 식이군은 5% corn oil +5% cellulose 함유 CO군, 10% corn oil +10% 차전자피 함유 CO +PH군 및 10% lard+10% 차전자피 함유 LA+PH군인 3군으로 나누었으며 실험식이와 물은 6주간 자유급여 시켰다. 체중 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CO군에 비해 LA+PH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CO+PH군에서는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보였다. 식이 섭취량 및 장기 중량은 실험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청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CO군에 비해 CO+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LA + PH군과는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성지방 및 인지질 농도는 CO군에 비해 CO +PH군 및 LA+ 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장 콜레스테롤 농도는 LA +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임상생화학적 지표 중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활성 은 LA+PH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lactate dehydrogenase 활성 및 blood urea nitrogen은 오히려 LA + PH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다른 혈청 임상생화학적 지표중 총 단백질, 알부민, 포도당,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및 lactate dehydrogenase활성은 각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식이 차전자피에 의한 혈중 지질 농도의 저하효과는 식이지방원 lard 첨가군에 비해 corn oil 첨가군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에서의 우울증 위험요인 연구 (Study of depression risk factors in simple labor occupation group)

  • 이범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53-258
    • /
    • 2020
  • 우울증은 전 세계적으로 유병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고혈압과 같은 여러 질병들뿐만 아니라 사망률과도 연관성이 높은 질병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 성인 중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에서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임상학적 위험지표를 발굴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한 데이터로는 질병관리본부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2016-2018) 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우울증과 인구학적 정보와의 연관성에서는 나이, 성별, 스트레스 인지정도, 스트레스 인지율 지표들이 우울증과 매우 높은 통계적 연관성이 나타났고, 교육과 결혼유무도 우울증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둘레 및 체질량지수와 같은 비만 지표들은 우울증과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액정보 중 hemoglobin과 hematocrit은 우울증과 연관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과 나이로 보정한 분석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이 유지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단순노무종사자 직업군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정보로 활용가능할 것이다.

여성의 갱년기 증상과 혈중 총항산화능 및 식이섭취와의 관련성 분석

  • 김순경;연보영;선우재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22.2-423
    • /
    • 2004
  • 폐경을 전ㆍ후한 여성들의 갱년기 증상과 혈중 총항산화능과의 관련성 및 총항산화능에 영향을 미치는 식사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45-55세 여성(평균 연령 48.89 $\pm$ 3.64세, 신장 156.27 $\pm$ 4.77 cm, 체중 60.90 $\pm$ 6.89 Kg, BMI 24.96 Kg/$m^2$) 105명을 대상으로 갱년기 증상의 유ㆍ무에 관한 사항, 신체계측 및 식이섭취 상태등에 관한 조사와 혈중 총항산화능을 비롯한 생화학적 지표들을 측정하였다.(중략)

  • PDF

빈산소 노출에 의한 넙치, Paralichthys olivaceus의 혈액화학적 변화

  • 강주찬;이정식;조규석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308-309
    • /
    • 2000
  • 천연해역 및 양식장 등의 환경변동은 수산동물에 많은 저해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최근 환경변화에 대한 수산동물의 생리 및 생화학적 지표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McCin et al., 1996). 이들 중에 어류의 혈액 구성은 일반적으로 환경수 중에 존재하는 stress를 유발하는 물질에 의해 변동하기 때문에 적혈구수, 혈색소농도 및 상대혈구용적 등의 혈액성상, 혈청내의 무기 및 유기성분의 변화는 환경변화를 감시하는 유용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Ma et al., 1995; Khattak and Hafeez, 1996). (중략)

  • PDF

CLM-FATES 모델을 이용한 습지 모의 (Wetlands Simulation using CLM-FATES)

  • 오현영;김연주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191-191
    • /
    • 2023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탄소 중립의 중요성이 대두되는 요즘, 생태계의 가장 큰 메탄 저장소로서 지구의 탄소 순환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습지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전지구 지면 모델인 Community Land Model(CLM)에 Functionally Assembled Terrestial Ecosystem Simulator(FATES) 외부 모듈을 함께 구동한 지면 생태계 모델 CLM-FATES는 지면 heterogeneity와 다양한 식생 종류를 고려하여 에너지 플럭스, 토양 수문, 생화학적 과정 등을 모의함으로써 탄소 동태 변화를 포함한 장기적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를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CLM-FATES 모델을 미국 캘리포니아주 Mayberry Wetland (US-Myb)와 Twitchell East End Wetland (US-Tw4)에 적용하였다. 모델의 대기 입력 자료로는 FLUXNET-CH4에서 제공하는 에디 공분산 기반 플럭스 관측 자료를 사용하였다. 기존 CLM-FATES 모델은 토양이 장기간 포화 혹은 침수되어 지표 위 혹은 지표면 가까이 발달한 지하수면을 가지고 있는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잘 반영하지 못해 정밀한 습지 생태계 동태 변화 모의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LM-FATES를 통한 보다 정확한 습지 생태계 모의를 위해 모델 내 토양 수문 관련 모듈을 수정하여 모델이 습지의 수문학적 특성을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모델 구동 결과 도출한 잠열,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과 순생태계생산량(Net Ecosystem Production, NEP) 플럭스, 메탄 플럭스, 엽면적지수(Leaf Area Index; LAI)와 지표수 높이에 대해 관측값 대비 RMSE 및 R2 값을 계산하여 모의 결과의 적절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모델 개선 경험을 바탕으로 추후 우리나라 습지 사이트에 모델을 적용하여 습지 탄소 동태 예측에 활용할 계획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