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시설

Search Result 752,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제주외항 2단계 항만시설 설계

  • Han, Tae-Yeong;Lee, Jae-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163-165
    • /
    • 2007
  • 제주 외항의 2단계 항만시설 사업으로 동방파제, 동방파호안, 접안시설, 친수호안, 접속호안 등 2,374m 구간에 대해 방파제 내파 안정성과 반사파 저감을 위한 단면계획을 통해 설계에 반영하였으며 지반 침하 및 지진피해 최소화를 위한 구조물의 사용 및 내구성을 중대시켰으며, 특히 크루저 선박의 본격취항을 대비한 친수공간개념의 도입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대상 사업지는 지형적 특성상 복잡한 형태의 고파랑이 작용하므로 방파제의 설계파를 7.3m로 상향조정하였고, 방파제 제간부에 발생하는 충격쇄파압에 대한 안정을 확보하기 위해 소파블록 피복케이슨제를 적용하였다. 제주도가 가지는 국제적 위상에 맞추어 국제미항개발, 레저형 웰빙공간조성 및 제주항이 가지는 자연적 특성을 반영하여 친수 방파제와 호안 및 배후시설의 친환경적인 배려를 최대화 하였다.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하여 해조류 서식지 및 해중림 조성 등 생태복원계획도 수립하였다.

  • PDF

수산시설물의 파력특성 및 안정성 해석

  • 류청로;김현주;손병규;김소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113-116
    • /
    • 1995
  • 연안 생태환경의 창조, 복원 및 개량을 위한 생태계제어 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한 연안역의 고도이용이 강조되고 있다. 이는 어장·어항·어촌의 개발 및 관리에 대한 장기적이며 상호보완적인 계획을 기초로 한 체계적인 조사, 계획, 실시 및 평가 체제의 정립을 통해 최적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연안역(자원)의 이용을 위한 연안역 개발 개념 및 방향(김, 1995)과 요소시설물의 설계개념(Ryu and Kim, 1995) 등의 체계화와 각종 요소 시설물의 설계·배치기술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중략)

  • PDF

Comparison of Soil Carbon Storage and Soil Respiration Among Agricultural Ecosystems Typ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oil Environmental Factors (농경지 생태계 유형별 토양의 탄소 저장량과 토양호흡량 비교 및 토양환경요인과의 관계)

  • EungPill Lee;HeonMo Jeong;SungRyong Kang;Inyoung Jang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3
    • /
    • pp.298-310
    • /
    • 2024
  •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different types of agricultural ecosystems to understand how environmental factors in soils, which serve as significant carbon reservoirs within agricultural ecosystems, a type of terrestrial ecosystem, affect soil carbon storage and soil respiration. As a result, most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ddy field and facility cultivation area. And, the carbon storage in the soil and the soil's chemical properties, such as soil pH, electrical conductivity, soil organic matter content, and total nitrogen content, were higher in paddy field and orchard compared to field, facility cultivation area, and other cultivation area. The soil respiration in paddy field was also higher than in other types of agricultural ecosystems. Furthermore, soil carbon storag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oil organic matter (R2=0.7237, p=0.0000), total nitrogen (R2=0.8419, p=0.0000), and available phosphorus (R2=0.3123, p=0.0024), while soil respir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oil organic matter (R2=0.5644, p=0.0000). In this study, agricultural ecosystems were found to act as carbon sinks, with soil carbon storage measured at 49.1±8.9 tons C ha-1 in orchard, 31.8±6.9 tons C ha-1 in paddy field, and 25.3±28.0 tons C ha-1 in facility cultivation area. Therefore, agricultural ecosystems need to manage soil carbon storage and carbon emissions through proper soil nutrient management.

Analysis of Biotope Area Ratio in the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s (환경영향평가서에 나타난 개발사업의 생태면적률 검토 연구)

  • Lee, Sang-Don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4
    • /
    • pp.394-401
    • /
    • 2018
  • Tendency in ratio of biotope area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ccording to population, location, project type, and total project area was analyzed by type of the projects. According to EIA, biotope area ratio is the ratio of the weighted biotope areas and total project area. biotope area is important to resident's health and quality of their life. Ministry of Environment recommends to meet the biotope area ratio standard presented by each project type. The analysis is based on 4 types of project, urban development, industrial comlpex deveopment, tourism development, and waste and sewerage treatment facility, and 55 data extracted from them. It is needed that new standard that the population is reflected, adjustment that region and frequency are considered, and regulation strengthening according to achievement of 'the minimum achievable goals' to improve biotope area policy. The research includes more data and improvements of specific system are needed as a further research.

Review of the Natural Park Act for the Pro-environ-mental Improvement of Park Facilities (공원시설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자연공원법제 고찰)

  • 신익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39-153
    • /
    • 2000
  • 자연공원시설의 정의와 친환경성의 개념을 정립하고 자연공원내 시설과 관련된 기본법인 자연공원법과 기타공원시설물의 관련법규들 중에서 용도지구 내 시설설치 허용기준과 공원시설의 정의 시설물의 종류 및 시설물의 설치.관리 등 관련 법제도를 친환경성 측면에서 검토하여으며 미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의 친환경적인 자연공원시설물 관련법규를 살펴보고 국내.외 법제를 비교분석하였다 친환경적 측면에서의 자연공원시설의 설치 및 관리상의 문제점을 종합해 보고 이에 따른 친환경성을 고려한 자연공원시설의 법.제도와 관련하여 공원 시설종류의 일부 삭제 및 추가와 시설기능 변경안이 포함된 공원시설물의 친환경성 증진을 위한 현행 자연공원 법령(법.시행령.시행규칙)의 개정안과 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 취락지구 등의 용도지구 내에서의 허용행위기준과 집단시설지구 내 녹지기준의 개정안을 제시하고 시행규칙상 시설물의 신설을 권고하였다.

  • PDF

수중보 철거의 타당성 검토 - 섬진강 수중보를 대상으로 -

  • Kim, Jin-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8-932
    • /
    • 2008
  • 본 연구는 국가하천인 섬진강 내에 하상세굴 방지를 위하여 설치한 섬진강 수중보가 하천의 수질오염 가중, 하천 생태통로 차단, 홍수 소통능력 저해 등의 문제점에 따른 방안으로 이를 철거하자는 의견이 제시되어, 수중보(낙차공)의 철거 여부에 대한 타당성 검토를 수행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 철거시 고려할 사항으로서 보의 철거 기준, 하천의 물리적 및 수질특성 변화, 하천의 생물상 변화를 검토하였다. 섬진강 수중보를 철거함으로써 기대되는 가장 큰 장점은 생태이동 확보와 수질 개선 및 홍수소통 능력 향상이었다. 그러나 섬진강 수중보는 보의 기능 외에도 낙차공의 기능까지 겸하고 있으며, 만약 수중보를 철거할 경우 하천의 급경사에 따른 과다한 하상세굴, 상수도 취수시설의 용수수급 불가능, 문척교 교각의 세굴 발생 및 기초의 안정성 문제점, 지류와의 단차, 서시천 농업용수 취수시설의 용수 수급 불가능이 발생되며, 이를 해결해야지만 섬진강 수중보를 철거하는 단계로 진전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 PDF

Condition Analysis of Biotope Area Rate in Certified Environmental-Friendly Schools (친환경인증학교의 생태면적률 실태분석에 관한 연구)

  • Kang, Eun-J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ducational Facilities
    • /
    • v.16 no.2
    • /
    • pp.47-58
    • /
    • 2009
  • Biotope area rate and ecological environment planning for school campuses are closely related, and we can say that ecological environment of a school that has high biotope area rate is of high ecological value. Taking that into account,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have a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ements of ecological environment plan for environment-friendly schools and the biotope area rate, and we are going to come up with a method how we can increase ecological value of ecological environment and biotope area rate in a school campus through analyzing the actual biotope area rate of certified environmental-friendly schools.

남해 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 - 광양만 중심 연구에서의 현황과 전망

  • 장만;신경순;최진우;최동림;이택견;현상민;오재룡;심원준;권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9-14
    • /
    • 2002
  •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과 같이 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강의 하류 부분에 위치한 연안 해양은 육지로부터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강 하류에 위치한 항만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와 각종 산업시설과 대규모 부두 시설에 의해 직접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반 폐쇄적인 지리적인 조건으로 오염 물질의 외부 확산이 적게 일어남으로써 각종 유해 오염물질의 최종 종착지이자 오염물질의 보유고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과제의 주요 목표는 오염지역의 오염물 이동 및 생태계 구조 변화에 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오염우심해역 관리를 위한 오염과 생태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지침서 (오염물 분포, 이동, 순환 등) 제시하고, 오염물질의 순환과정에서 수생-저서생태계의 연계성 규명하며, 더 나아가서 국가실천계획 (NPA) 이행을 위한 기반 확립이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는 항상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연안역관리를 위한 지표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국제적으로 규제될 각종 유기오염물질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