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보전

Search Result 1,283,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the Diagnosi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of Cheongok - Cave (천곡동굴의 환경보전 진단에 관한 연구)

  • 유영준;변태근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6 no.47
    • /
    • pp.49-58
    • /
    • 1996
  • 동굴 안전진단의 목적은 동굴의 생태환경보전, 그리고 동굴 내부시설들에 대한 안전진단 확인에 있음은 재언을 요하지 않는다. 천곡동굴의 경우는 한 마디로 말한다면 동굴 내부의 생태환경이 동굴 외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동굴이라고 하겠다. 그것은 첫째 동굴의 입구 공간이 너무 쉽기 때문이다. 둘째 지표면과 동굴과의 지작 두께가 비교적 얕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셋째로 동굴 길이에 비해 동굴 공간이 넓은 동굴이므로 다른 동굴보다도 붕락, 파괴가 용이하다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천곡동굴은 그 동굴을 배태하고 있는 지층과 지질구조가 매우 불안정하고 동굴의 성장과 파괴가 다른 동굴보다도 빨리 진전되고 있는 동굴이라고 본다. 따라서 천곡동굴은 계속적인 환경보전과 동굴 관리대책을 강구해야 할 동굴이라고 판단된다.

  • PDF

한강사랑 환경생태 탐방

  •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v.26 s.354
    • /
    • pp.25-26
    • /
    • 2004
  • •한강발원지부터중류까지의자연·지리·사회·환경등다양한문화체험기회마련 •한강과환경에대한 보전의식함양을한강사랑운동으로승화·발전

  • PDF

Analysis of Ecological Network According to Invalidation of Decision on Urban Parks: Focused on Busan (도시공원 일몰제에 따른 생태네트워크 변화 분석: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 Kang, Jung-Eun;Choi, Hee-Sun;Hwang, Hee-Soo;Lee, Sanghyeo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7 no.6
    • /
    • pp.618-634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ecological network change affected by the 2020 invalidation of decisions on urban parks with a focus on Busan. The analyses were conducted to five scenarios using FRAGSTATS. The green space in scenario 1 assuming all development for unexecuted urban park would decrease by 7,339.75 ha compared to scenario 5, which assumes the entire conservation of unexecuted urban parks, and the fragmentation of the ecological space in scenario 1 increased. In scenario 1, 8.06% of the total area of core habitats and 28.23% of connectivity would decrease. However, scenario 3, which assumes the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of unexecuted urban parks, can achieve 94% of green space and 95.6% of the connectivity of the scenario 5. Scenario 3 has effects similar to scenario 5 in terms of defragmentation. Thus,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in parks is critical and effective in maintaining ecological network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nvironmental Geoinformation System Based on Internet (인터넷 기반 환경 지정보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황재홍;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431-437
    • /
    • 2003
  • 최근 국가산업 발달과 함께 자연 생EH계 파괴, 환경 오염 및 자연 훼손과 같은 문제점들이 야기되고 있으며,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자연환경 보전과 관리에 대한 인식이 날로 부각되고 있다. 정보 시스템 분야에서도 다차원 지리정보를 이용한 자연 생태계 연구 및 환경오염원 관리와 같은 연구가 현재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논문은 자연환경과 생태계 관리를 위한 방법으로, 인터넷 GIS 기술을 이용한 지리정보 시스템을 구축하여 그 활용을 연구하였고, 연구 대상지로는 지리산 일대로 정하였으며, 환경의 범위는 자연환경 및 생태계로 정하였다. 공간정보 분석 및 관리를 위해 적지분석, 사용자 질의 처리 및 지리정보 가시화 모듈. 등을 개발하여 자연 환경정보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핵심 기능을 마련하였다. 각 모듈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특정 요구목적에 따라 공간분석을 통한 자연환경 및 생태계 접근에 대한 의사결정을 돕도록 하였다. 또한 환경상태 및 여러 목적에 따른 분류가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생태계, 야생 생물의 서식지를 보호 및 환경 오염원 관리분야의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현된 웹 기반 지리정보 시스템은 국립공원, 야생동물 보호 단체 및 환경단체를 통해 환경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하여 서비스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향후 생태계 보전 및 자연환경 보전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 PDF

하천의 생태보전과 수량확보

  • Choe, Ji-Yong
    • River and Culture
    • /
    • v.2 no.4
    • /
    • pp.113-119
    • /
    • 2006
  • 우리나라의 하천의 경우에도 환경생태 평가지수 방법과 같은 하천의 생태를 평가하고 분류할 수 있는 방안을 도입하여 하천의 상태에 따라 하천의 환경 상태를 분류하고 각 상태에 적정한 하천유지유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다.

  • PDF

The Study for Estimation of Instream Flow to Improve Natural & Social Environment (자연.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연구)

  • Ko, Ick-Hwan;Kim, Gee-Hyoung;Woon, Seok-Young;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414-418
    • /
    • 2008
  • 하천유지유량에 대한 인식과 개념은 시대와 사회, 경제의 발전에 따라 변화되어 새로운 물 배분 패러다임에 입각한 하천유지유량이 정립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하천유지유량의 필요성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댐 건설 이후부터이며, 하구의 염수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하천에서 기본적으로 유지되어야 할 필요수량을 정하면서 부터이다. 실제적인 하천유역의 관리에서 댐 건설 이전에는 하천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하천유지유량의 설정 자체가 크게 의미를 갖지 못하였다. 우리나라 하천유지유량의 주요 기능은 1960년대 이전에는 하천의 주운기능, 1970년대는 하구의 염수침입방지 기능, 1980년대는 수질보전을 위한 희석용수의 기능으로 인식되었으며, 1990년대 이후 환경에 대한 인식 변화로 수질과 함께 하천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이 증가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고, 2000년대에 들어서는 자연환경을 중심으로 하는 하천유지유량과는 별도의 용수개념인 사회환경 개선을 위한 환경개선용수의 도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천유지유량에서 고려하는 항목은 갈수량을 기준으로 하고 하천기능 유지에 필요한 하천생태 및 하천수질 보전을 기본항목으로 하여 고려하도록 하며, 현실적으로 하천유지유량 산정 검토시 부수적인 미미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하천경관, 하구막힘 방지, 지하수위 유지, 하천시설물 보호, 염수침입 방지 등의 항목은 필요항목으로 구분하되 하천 상황에 따라 추가적인 항목에 대한 검토가 필요한 경우 감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갈수량의 산정은 반드시 유역 개발과 각종 유수사용, 수공구조물에 의한 유량 조절 효과가 없는 자연상태를 기준으로 산정하도록 하고 어류생태를 고려한 필요유량 산정 시 대표어종은 하천의 특성을 고려하고 지역사회의 의견을 수렴하여 단일어종보다는 생태적 군(Guild, 군(群))을 고려하여 선정하고 최소유량의 개념보다는 계절별 유량변동성을 고려하도록 하였다. 수질보전에 필요한 필요유량 산정 목표는 생태계 서식 및 생육 환경의 보전과 인간의 물 이용 측면에서 요구되는 목표수질을 구분하여 적용하도록 하였다. 하천유지유량 이외에 친수공간 확보, 물놀이, 관광, 하천문화행사 등 사회환경 개선을 위해 하천의 일부구간 또는 일부지역에 필요한 수량은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수혜대상 집단(지자체, 특정 기관 또는 개인 등)의 요구에 의해 발생되는 수량이므로 환경개선용수로 분류하여 별도로 산정하도록 하였다.

  • PDF

환경정책 -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 정책과 방향

  • Kim, Jong-Ryul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411
    • /
    • pp.4-7
    • /
    • 2014
  • 환경부에서는 지난 3월 제3차 국가 생물다양성 전략을 수립하였다. 2050년까지 "생물다양성을 풍부하게 보전하여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는 대한민국을 구현"하는 장기 비전과, 2020년까지 "생물다양성 보전과 생태가치 제고를 통한 창조경제 견인"하는 중기 비전을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6대 전략과 18개 실천목표를 마련하였다.

  • PDF

Estimating Willingness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Mt. Jiri: Focusing on Visitors to Mt. Jiri (지리산의 생물다양성 보전에 대한 지불의사 추정: 지리산 방문객을 대상으로)

  • Park, So-Hee;YOUN, Yeo-Ch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108 no.1
    • /
    • pp.77-87
    • /
    • 2019
  • While the expansion of protected areas in accordance with Korea's National Biodiversity Strategy contributions to the conservation of biological diversity, it incurs economic losses and poses threats to the livelihoods of local residents. Payment for ecosystem services (PES) compensates local residents for their economic damages in a sustainable manner. To assess feasibility of PES, there is a need to estimate the general public's benefits from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protected areas. This study attempted to estimate visitors' willingness to pay (WTP)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in Mt. Jiri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he WTP of respondents for the expansion of protected areas to increase biodiversity conservation was estimated at 16,103 KRW per household per year and this equates to a total of 316.8 billion KRW for all the households in Korea. The higher a respondent's age, education level and household income level, the more willing he or she is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Likewise, respondents who are aware of Mt. Jiri's designation as an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are more willing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Moreover, the higher the importance placed on biodiversity conservation policy, the higher the willingness to pay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To enhance the feasibility of PES schem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general public's knowledge and awareness of biodiversity by providing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more information on biodiversity and biodiversity policies.

The Establishment of Conservation Area and Conservation Strategy in Ulleung Island (I) -Flora- (울릉도의 보전지역 설정 및 보전전략(I) - 울릉도 지역의 식물상 -)

  • 신현탁;김용식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2
    • /
    • pp.195-216
    • /
    • 2002
  • The flora of Ulleung island was summarized as 975 taxa with 122 families, 465 genus, 762 species, 5 sub-species, 178 varieties, 21 forms, and 9 hybrids. This extent of plant diversity of the island ecosystem was modified from the field surveys by the authors adding the number of 627 taxa; 109 families, 355 genus, 526 species, 2 sub-species, 89 varieties and 10 forms, and Considering the aspect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e island, the flora showed much closer to the Korean penninsula than that of the Japanese Archipelago. An action plan including intens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both for habitat and plant to conserve the island ecosystem should be prepared. The naturalized plants is expanding gradually due to the increase of the tourist. The Ulleung island ecosystem should be conserved as the Protected Area, which is enlarged habitat compared with the present legal conservation a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