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성형 모델

Search Result 81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Generative AI Technology Trends and Development Prospects for Digital Asset Creation (디지털 에셋 창작을 위한 생성형 AI 기술 동향 및 발전 전망)

  • K.S. Lee;S.W. Lee;M.S. Yoon;J.J. Yu;A.R. Oh;I.M. Choi;D.W. Kim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39 no.2
    • /
    • pp.33-42
    • /
    • 2024
  • With the recent rapid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echnology, its use is gradually expanding to include creative areas and building new content using generative AI solutions, reaching beyond existing data analysis and reasoning applications. Content creation using generative AI faces challenges owing to technical limitations and other aspects such as copyright compliance. Nevertheless, generative AI may increase the productivity of experts and overcome barriers to creative work by allowing users to easily express their ideas as digital content. Thus, various types of applications will continue to emerge. As images and videos can be created using text input on a prompt, generative AI allows to create and edit digital assets quickly. We present trends in generative AI technology for images, videos, three-dimensional (3D) assets and scenes, digital humans, interactive content, and interfaces. In addition, the prospects for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this field are discussed.

Realistic and Real-Time Modeling of Numerous Trees Using Growing Environment (성장 환경을 활용한 다수의 나무에 대한 사실적인 실시간 모델링 기법)

  • Kim, Jin-Mo;Cho, Hyung-Je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5 no.3
    • /
    • pp.398-407
    • /
    • 2012
  • We propose a tree modeling method of expressing realistically and efficiently numerous trees distributed on a broad terrain. This method combines and simplifies the recursive hierarchy of tree branch and branch generation process through self-organizing from buds, allowing users to generate trees that can be used more intuitively and efficiently. With the generation process the leveled structure and the appearance such as branch length, distribution and direction can be controlled interactively by user. In addition, we introduce an environment-adaptive model that allows to grow a number of trees variously by controlling at the same time and we propose an efficient application method of growing environment. For the real-time rendering of the complex tree models distributed on a broad terrain, the rendering process, the LOD(level of detail) for the branch surfaces, and shader instancing are introduced through the GPU(Graphics Processing Unit). Whether the numerous trees are expressed realistically and efficiently on wide terrain by proposed models are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Analysis of Dynamical State Transition and Effects of Chaotic Signal in Continuous-Time Cyclic Neural Network (리미트사이클을 발생하는 연속시간 모델 순환결합형 신경회로망에서 카오스 신호의 영향)

  • Park Cheo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6 no.4
    • /
    • pp.396-401
    • /
    • 2006
  • It is well-known that a neural network with cyclic connections generates plural limit cycles, thus, being used as a memory system for storing large number of dynamic information. In this paper, a continuous-time cyclic connection neural network was built so that each neuron is connected only to its nearest neurons with binary synaptic weights of ${\pm}1$. The type and the number of limit cycles generated by such network has also been demonstrated through simulation. In particular, the effect of chaos signal for transition between limit cycles has been tested. Furthermore, it is evaluated whether the chaotic noise is more effective than random noise in the process of the dynamical neural networks.

Shape Generation and Optimization Technique of Space Frame Structures with Ellipse and Vault Complex Type (타원형 및 볼트복합형 스페이스 프레임 구조물의 형상 생성 및 최적화 방안)

  • Kim, Ho-Soo;Park, Young-Sin
    •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Spatial Structures
    • /
    • v.10 no.4
    • /
    • pp.113-122
    • /
    • 2010
  • Space frame structures are included in the large spatial structures and can adopt various structure types. But, it is not easy to choose the optimal member size and shape because it depends on the structural engineer's experience and the repeated trial and error. Therefore, in this study, the final goal is to help the designer with the selection of the optimum shape. First, various space frame structures with ellipse dome and vault complex types are chosen and the shape generation method is considered to generate the nodes, coordinates and members. In optimal design process of space frame structure, each node coordinate changes according to height variation or the number of rings. Therefore, the auto generation technique of nodes and members is required in order to consider this phenomenon in optimal design process. Next, the shape generation module is created, base on the shape generation method. This module is connected with the analysis module and the optimization algorithm. Finally, the example model is present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optimization algorithms.

  • PDF

Development of a Regulatory Q&A System for KAERI Utilizing Document Search Algorithms and Large Language Model (거대언어모델과 문서검색 알고리즘을 활용한 한국원자력연구원 규정 질의응답 시스템 개발)

  • Hongbi Kim;Yonggyun Yu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28 no.5
    • /
    • pp.31-39
    • /
    • 2023
  • The evolution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and the rise of large language models (LLM) like ChatGPT have paved the way for specialized question-answering (QA) systems tailored to specific domains. This study outlines a system harnessing the power of LLM in conjunction with document search algorithms to interpret and address user inquiries using documents from the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KAERI). Initially, the system refines multiple documents for optimized search and analysis, breaking the content into managable paragraphs suitable for the language model's processing. Each paragraph's content is converted into a vector via an embedding model and archived in a database. Upon receiving a user query, the system matches the extracted vectors from the question with the stored vectors, pinpointing the most pertinent content. The chosen paragraphs, combined with the user's query, are then processed by the language generation model to formulate a response. Tests encompassing a spectrum of questions verified the system's proficiency in discerning question intent, understanding diverse documents, and delivering rapid and precise answers.

'Collective intelligence Structure' Analysis (지식 생산 방식에 따른 집단지성 구조 분석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를 중심으로-)

  • Han, Chang-Ji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1363-1373
    • /
    • 2009
  • 본 연구는 두 집단지성의 가장 대표적인 서비스인 네이버 지식iN과 위키피디아의 구조적, 경험적 차이를 바탕으로 생산의 차원에서 생산 주기, 생산 참여자, 생산물의 모델을 설정하고, 새롭게 탄생하는 지식을 중심으로 검증함으로써 최종 지식 소비 행위를 반영한 각각의 종합모델을 도출하였다. 우리는 웹에서 집단지성의 일상화를 확인할 수 있다. 지식 획득 매체가 매스미디어에서 인터넷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등장한 포털 및 검색사이트는 지식의 생산이 전문가패러다임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재편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그리고 이러한 생산 방식의 변화는 '지식'의 개념 역시 변화시키고 있다. 즉, 집단지성이라는 새로운 웹2.0의 현상이 지식생산방식을 변화시키고 변화된 지식생산방식은 '지식'자체를 변화시킨다는 이론적 가설을 도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새로운 현상들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먼저 보다 엄밀하게 집단지성의 개념을 규정할 필요성에 출발하였다. 현재 집단지성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면서 급격히 성장하고 있는 위키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와 지식검색 방식의 인터넷 서비스를 비교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집단지성의 모델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위키형 집단지성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의 차이점은 경험적으로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험적 차이와 기존의 문헌에서 밝혀진 사실들을 바탕으로 두 서비스의 지식생산 방식을 생산플로우, 생산참여자 성향, 생산물(지식)의 성향과 같이 세 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가설 모델을 설정하고 이 모델을 선정된 질의어를 바탕으로 검증한 뒤에 최종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은 '질문-답변-채택'의 구조이고, 그 구조 속에서 '질문기-답변기-순서화기'를 거쳐 하나의 지식 덩어리인 'K-let'을 생산한다. 생산된 'K-let'들은 지식검색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는 공통된 질의어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에 의해서 검색되어 소비된다. 하나의 질문에 대해 여러 개의 답변들이 존재하고, 답변자의 성향은 크게 전문성과 체계성을 바탕으로 한 전문가형 답변자와 경험적이고 의견지향적인 대화형 답변자로 나눠진다. 다수의 네티즌들의 참여에 의해서 지식의 생산이 진행되므로 질문의 성향 역시 사실, 의견, 경험 등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은 개방형 플랫폼을 바탕으로 한 백과사전의 형식이며, 이러한 형식 속에서 최초의 개념어 등록과 다수의 편집활동을 거치면서 완성되지 않는 하나의 아티클인 'W-let'을 생산한다. 이러한 'W-let'은 생성 초기에 소수에 의한 활발한 내용 입력 활동으로 어느 정도의 안정화를 거친 후에는 꾸준한 다수의 수정활동을 통해서 'W-let'의 생명력을 유지함으로써 지식의 실제적인 변화를 반영한다. 생산된 'W-let'들은 위키형 집단지성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되고, 이것들은 내부링크를 통해서 모두 연결되어 있다. 백과사전 형식으로 하나의 개념어를 설명하는 하나의 아티클은 오로지 사실적인 지식들로만 구성되나 내부링크와 외부링크를 통해서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는 모델로 설정하였다. 위와 같이 설정된 모델을 바탕으로 공통된 질의어 및 개념어를 선정하여 각각의 서비스에 노출시켰다. 이를 통해서 얻어진 각 서비스의 데이터베이스에 축적된 모든 데이터들 중에서 일정한 기간을 기준으로 각각의 모델 검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여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에서는 '질문-답변-채택'의 생산 구조 속에 다수가 참여하여 질문-채택답변-기타답변으로 배열되어 있는 완성된 형태의 K-let들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비슷한 성향을 가진 K-let들이 반복적으로 생산되어 지식검색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다. 지식 소비자들은 질의어 검색을 통해서 다양한 K-let들을 선택하여 비교, 검토한 후에 선택된 K-let들의 배열은 해체되어 소비자들에 의해서 재배열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지식검색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누적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선택에 의해 해체되어 재배열되는 지식의 맞춤화 과정이라고 정의내릴 수 있었다. 반면에 위키형 집단지성에서는 '내용입력-미세수정' 구조 속에서 생명력 있는 W-let을 생성한다. W-let은 백과사전처럼 정리되어 내부링크를 통해서 서로 연결되고, 외부링크를 통해 확장되고, 지식소비자들은 검색을 통해 최초의 W-let에 도달한 후에 링크를 선택함으로써 지식을 확장시킴을 검증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키형 집단지성이란 다수의 의해서 생산되고 정리된 지식들이 소비자의 검색과 링크에 의해 무한히 확장되는 지식의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이라고 정의 내릴 수 있다. 결국, 현재의 집단지성이란 지식이 다수의 참여로 생산됨으로써 개인에게 맞춤화되고, 끊임없이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집단지성의 방식은 지식이라는 현재의 차원을 넘어서 정치, 경제를 비롯한 사회의 전 영역으로 점차적으로 확대되어갈 것이다. 앞으로 연구들은 두 가지 모델이 혼재되어 있는 현재의 집단지성이 어떠한 새로운 모델을 만들면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되어갈 것인지에 대해서 초점을 맞춰 나가야할 것이다.

  • PDF

Design of synchronous VHDL Code Generator from Synchronous SpecCharts (Synchronous SpecCharts로부터 Synchronous VHDL 코드 생성기 설계)

  • 윤성조;안성용;이정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c
    • /
    • pp.54-56
    • /
    • 1999
  • 현재 많은 내장형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론으로 가상 프로토타입(VP)을 이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가상 프로토타입을 이용하여 내장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을 위해 사용되는 시스템 명세 언어인 SpecCharts로 명세된 시스템을 동기적 의미론에 만족하는 SpecCharts의 Subset을 규명하여 동기화 형태로 해당명세를 변환시키고 이로부터 synchronous VHDL 코드로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설계하였다. 동기적 의미론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비결정적인 추상적인 모델(NDAM)을 이용하여 SpecCharts로부터 VHDL ?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변환된 VHDL 코드를 동기적 VHDL 코드로 변환하기 위하여 W. Baker에 의해 규명된 동기적 VHDL subset 적용하여 synchronous VHDL 코드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Mapping Technique of XML hierarchical structure from Relational Model (관계형 모델에 대한 XML계층 구조 사상 기법)

  • 안영희;황부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196-198
    • /
    • 2002
  • 웹 상에서 다양한 데이터를 표현하고 정보교환을 위한 수단으로 등장하는 XML문서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XML 문서 저장기법에 대한 많은 연구가 현재 진행되고 있다. XML 문서의 구조 정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문서와는 다른 계층적인 트리 방식으로 처리되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XML문서를 저장할 때 XML이 지니는 구조정보를 효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에 표현할 수 있도록 스키마를 생성하는 사상 기법을 제안한다. XML 문서를 엘리먼트 타입에 따라 분류하여 효과적으로 스키마를 생성하고, XML문서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레코드(record)단위로 ID를 생성한다. 또한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동적인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XML문서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고 빠른 검색이 가능하도록 스키마를 설계한다.

  • PDF

Generating automatic results of LLM-based portfolio asset management in Capital Market (Capital Market 에서 LLM 기반의 포트폴리오 자산운용 자동 결과 생성)

  • Gun-Mu Lee;Yun-jae Kwon;Jung-Eun Oh ;Da-hyun Ryu;Jun-Hyuk Ja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4.10a
    • /
    • pp.409-410
    • /
    • 2024
  • 본 연구는 Capital Market 에서 LLM 기반의 포트폴리오 자산운용 중 ETF, MMF, TD, 자산배분형 상품, 채권형펀드 등 고객에게 제공하는 자산운용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평가했다. GPT-4, M2M-100, KoBART 모델을 결합해 번역, 요약, 보고서 작성 과정을 자동화했으며, 생성된 보고서와 원문 자산운용 보고서 간 평균 코사인 유사도는 90% 이상을 기록했다. 이 AI 시스템은 기존 방식 대비 효율성을 향상시켰으며, 금융 분야에서의 실용적 가치를 확인하였다.

순서형 대설 예보를 위한 통계 모형 개발

  • Son, Geon-Tae;Lee, Jeong-Hyeong;Ryu, Chan-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01-105
    • /
    • 2005
  • 호남지역에 대한 대설특보 예보를 위한 통계모형 개발을 수행하였다. 일 신적설량에 따라 세법주(0: 비발생, 1: 대설주의보, 2: 대설경보)로 구분되는 순서형 자료 형태를 지니고 있다. 두가지 통계 모형(다등급 로지스틱 회귀모형, 신경회로망 모형)을 고려하였으며, 수치모델 출력자료를 이용한 역학-통계모형 기법의 하나인 MOS(model output statistics)를 적용하여 축적된 수치모델 예보자료와 관측치의 관계를 통계모형식으로 추정하여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군집분석을 사용하여 훈련자료와 검증자료를 구분하였으며, 예보치 생성을 위하여 문턱치를 고려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