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산직근로자

검색결과 80건 처리시간 0.031초

생산직 근로자의 건강증진 행위, 생활만족도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연구 (The Correlational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and Self-esteem of the Blue Color Workers)

  • 최연희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92-200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scribe the correlation among the blue color worker's health-promoting behavior,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and self-esteem. Method: The subjects consisted of 190 industrial workers employed in one electronics manufacturing plant in Gumi and were obtained by a convenience sample.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6th to 17th, 2002 by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instruments for this study wer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47 items),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Scale(20 items) and Self-esteem Scale(10 item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Duncan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SAS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1)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 was 3.01; the highest score on the subscale was self-actualization(M=3.39) with the lowest being exercise(M=2.37). 2)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was 2.96. 3) The average item score for the self-esteem was 2.83. 4) Health-promot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and age. 5) Occupational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and religion. 6) Self-esteem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7) Health-promot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esteem. Conclusion : It follows from this study that there is a very correlation among the blue color worker's health-promoting behavior, occupational life-satisfaction and self-esteem. Therefore health promoting programs that increase occupational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should be developed to promote a healthy lifestyle of the blue color workers.

  • PDF

남성 근로자의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Problem Drinking of Male Workers according to Occupational Classes)

  • 이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75-382
    • /
    • 2015
  • 본 연구는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을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수집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자 중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사무직 391명, 생산직 707명, 서비스직 309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자료는 Rao-Scott 카이제곱 검정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알코올사용장애 선별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8점 이상을 문제음주군, 8점 미만은 정상음주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문제음주율은 사무직이 45.1%, 생산직 39.1%, 서비스직 42.3%로 나타났으나 직종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제음주 관련 요인은 직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사무직은 흡연만이 관련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흡연자의 문제음주 위험이 4.44배 높았다. 생산직은 배우자가 있는 경우 문제음주 위험이 0.46배 낮고 흡연자는 4.07배 높았다. 서비스직은 20대에 비해 60대 이상의 문제음주 위험이 0.02배 낮은 반면 흡연자는 11.17배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직종별 문제음주 관련 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였으며 향후 본 결과가 음주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자동차공장 교대작업 근로자들의 건강상태평가 (Health Assessment of Shift Workers in a Automobile Manufacturing Plant)

  • 이중정;정종학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8권1호
    • /
    • pp.103-121
    • /
    • 1995
  • 교대작업이 근로자의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1993년 5월 한 달간 경상남도 울산시 소재 모 자동차 공장 생산직 근로자 659명(교대작업자 : 544, 주간작업자 : 115)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시점에서 현재 교대작업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근무기간 중 80% 이상을 교대작업에 참여한 근로자를 지속적인 교대작업자로 간주하였으며, 조사 당시 교대작업에 참여하고 있지 않고 과거에도 교대 작업에 참여한 경험이 전혀 없었던 근로자룰 주간작업자로 하였다. 교대작업군과 대조군의 일반적인 특성 및 작업과 관련된 특성은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교대작업에 관련된 내용은 면접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수면양상과 식사형태에 관한 설문은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에서 개발된 항목을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위장관계질환의 자각증상에 관하여서도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미국의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에서 개발된 자기기입식 설문인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다. 교대작업자에서 자신이 원하는 수면시간보다 1시간 이상 수면이 모자란다고 호소한 근로자가 56.8%로 주간작업군의 50.0%보다 높았으며, 수면 중 2회 이상 잠을 깨는 근로자의 비율, 잠에서 깨었다 다시 잠들기가 힘들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 중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 일주일에 2일 이상 작업이 끝난 후에도 피곤하거나 졸리다고 호소한 근로자의 비율은 주간 작업자보다 교대작업자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p<0.01), 교대작업자에서 자고 일어난 후에도 피로감을 호소하는 율도 교대작업군에서 53.1%로 주간작업자의 40.0%보다 높았다(p<0.05). 수면의 형태를 보면 교대작업자에서는 각 교대작업 때마다 다른 형태의 수면을 취하는 근로자가 35.9%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잠을 잘 못 잔다고 호소하는 근로자도 12.3%로 주간작업자의 6.1%보다 훨씬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잠을 자기 위해 약물을 상습적으로 복용하는 근로자도 주간작업자에서 1.7%, 교대작업자에서 2.8%를 차지하였다. 교대작업자들과 주간작업자는 다른 형태의 식사형태를 보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식욕은 주간작업자의 13.0%에서 아주 좋다라고 응답한 반면 교대작업자에서는 6.6%만이 식욕이 아주 좋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식욕이 매우 나쁘다라고 응답한 비율도 5.0%로 주간작업자의 2.5%보다 높았다. 교대작업자와 주간작업자의 위장관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교대작업군에서 높았으며(p<0.01), 배변습관의 변화와 체중감소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주간작업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근로자의 일반적인 안녕 상태와 장해는 HANES I에서 개발된 General Well-Being Schedule(GWB)에 의해 측정되었는데 불안척도, 우울척도, positive well-being척도, 활력척도에서는 교대작업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자기제어력척도, 일반건강척도도 교대 작업자에서 낮았으나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대작업자에서 생체리듬의 부조화로 인한 수면, 식사, 위장관계장해 등의 일련의 자각증상에 대한 호소율이 주간작업자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일반적인 건강 장해 호소율도 교대작업자에서 높았다.

  • PDF

다수준 분석을 이용한 한국 생산직 근로자의 심혈관질환 위험에 대한 생태학적 요인 (Ecological Correlate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Blue-collar Workers: A Multi-level Study)

  • 황원주;박윤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857-86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of cardiovascular disease (CV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CVD risk in Korean blue-collar workers working in small sized companies. Methods: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blood sampling for lipid and glucose were collected from 492 workers in 31 small sized companies in Korea. Multilevel modeling was conducted to estimate effects of related factors at th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level. Results: Multilevel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workers in the workplace having a cafeteria had 1.81 times higher CVD risk after adjusting for factors at the individual level (p =.022). The explanatory power of variables related to organizational level variances in CVD risk was 17.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ces in the CVD risk were related to organizational factor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not only individual factors but also organizational factors when planning a CVD risk reduction program. The factors caused by having cafeteria in the workplace can be reduced by improvement in the CVD-related risk environment, therefore an organizational-level intervention approach should be available to reduce CVD risk of workers in small sized companies in Korea.

일부 산업장 생산직 근로자와 관리사무직 근로자의 피로자각증상 비교 (The Comparison of the Industrial Fatigue Between Labor Workers and Managerial Workers)

  • 강현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5-13
    • /
    • 1997
  •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ubjective symptom of industrial fatigue,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282 labor workers and 189 managerial workers who were employed at the manufacture of electronic products in two small scale industries. Checklist of industrial fatigue was composed of physical symptoms(10 items), mental symptoms(10 items), and sensory neurotic symptoms(10 item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Complain rate of fatigue was the highest in "eye strain" of physical symptom, "feel anxious about things" of mental symptom, and "feel stiffness in the neck or the shoulders" of sensory neurotic symptom in labor workers and managerial workers. 2. Managerial workers demonstrated II dominant type (mental or night work type), while labor workers demonstrated I dominant type of fatigue (general type). 3. Mean weighted score of fatigue complaints in labor workers (23.1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managerial workers (20.34). 4. Mean weighted scores of fatigue complaints in male, 5~9 years of work duration, married, 4~5 hours of sleeping time, graduation of high school and college, and large of workload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labor workers than in managerial workers. 5. In poor work condition with temperature, ventilation, illumination and noise, the average weighted sco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labor workers than in managerial workers.

  • PDF

남성 생산직과 사무직 근로자의 운동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Pender의 건강증진 모형을 활용 (Factors Influencing Exercise Behavior of the Male Manual Worker and Office Worker 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 양승경;하영미;정미라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5-244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exercise behaviors of the male manual workers and office workers based on health promotion model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and then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exercise program. Methods: The 97 laborers and 99 officiers were collected from two worksit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ale laborers' exercise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social support and exercise experience over 3 months, and these factors explained 50.2% of the total variance. Male officiers' exercise behavio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ercise self-efficacy, subjective health status, perceived exercise barriers and exercise social support, and they explained 47.3% of the total variance. Conclusions: Based on the findings that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ocial support commonly influence exercise behavior of male laborers and offici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exercise program to improve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social support.

수도권 지역 산업체 근로자들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과 치과치료가 근로 손실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요인 (A Study on the Effect and Related Factors of Self-Perceived Oral Health Awareness and Dental Care on Work Loss of Workers in the Capital Region)

  • 윤미숙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89-397
    • /
    • 2018
  •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들이 주관적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구강질환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요인과 치과치료로 인한 근로 손실에 대한 영향 및 요인을 연구하여 산업체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 정책 마련과 구강병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서울, 경기 인천 등 수도권 지역의 근로자 총 284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산업체 근로자들의 주관적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은 건강한 편이라고 느끼는 대상자가 36.9%로 건강하지 못한 편(18.7%)보다 많았다. 구강병 치료경험이 있는 근로자가 82.0%, 치료가 필요한 구강증상이 있는 근로자가 63.7%, 치과치료로 인한 근로 손실 경험은 있다가 81.0%로 나타났다. 성별로는 여자가 남자보다, 연령이 많을수록, 미혼보다 기혼이 치과치료로 인해 결근이나 조퇴를 한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p<0.05). 근무기간별로는 20년 이상인 근로자와 하루 평균 근무시간이 많은 근로자일수록, 일주일에 초과 근무를 5~9시간 하는 근로자가 경험이 높게 나타났고, 비제조업보다 제조업 근로자가, 사무직보다는 생산직이, 정규직보다 비정규직이 치과치료로 인한 결근이나 조퇴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에서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할수록 근로 손실이 높게 나타났고(p<0.001), 구강병 치료경험이 있는 근로자가 그렇지 않은 근로자보다 높게 나타났다(p<0.001). 치료가 필요한 구강증상이 있는 근로자가 그렇지 않은 근로자보다 높게 나타났다(p<0.01). 산업체 근로자의 치과치료로 인한 근로 손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 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건강하지 못하다고 인식할수록 치과치료로 인한 결근이나 조퇴의 경험이 많았다(p<0.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산업체 근로자들의 구강질환으로 인한 치과치료가 근로 손실로 이어지지 않도록 구강보건교육을 통해 구강건강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조기 치료와 예방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과 근로자들의 지속적인 구강건강증진정책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된다.

비철금속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Male Workers in a Nonferrous Manufacturing Industry)

  • 정연옥;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52-3560
    • /
    • 2012
  • 본 연구는 한 비철금속 제조업 생산직 남성 근로자들의 인구사회학적특성, 건강관련행위 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호소율을 파악하고 그의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대전광역시 소재한 비철금속 제조업체 근로자 30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11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화된 무기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대상자의 근골격계 질환 발생부위별 증상 호소율은 어깨부위의 증상이 42.7%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허리부위 36.8%, 목 부위와 손/손목/손가락 부위가 각각 30.5%, 다리/발 부위 30.1%, 팔/팔꿈치 부위 20.9%의 순위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근골격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연령, BMI가 낮을수록,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좋지 않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관련 행위 특성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질병으로 인한 결근한 적이 있다는 군, 외래 진료를 받은 적이 있다는 군, 입원진료를 받은적이 있다군, 규칙적인 운동이 비운동군, 수면시간이 부적당한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직업관련 특성별 자각증상 호소율은 업무의 신체적 부담정도가 힘들다는 군,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을 하는군, 직장생활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군, 근속기간이 10년 이상인 군, 허리를 구부리는 작업을 한다는 군, 반복 작업을 한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적으로, 생산직 남성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자각증상은 여러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 행위특성 및 직업관련 특성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건강신념모델을 기반한 소규모 산업장 생산직 남성근로자의 대사증후군 감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사정 (Health Belief Model-based Needs Assessment for Development of a Metabolic Syndrome Risk Reduction Program for Korean Male Blue-collar Workers in Small-sized Companies)

  • 박윤희;김두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35-246
    • /
    • 2018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d the real context of metabolic syndrome-related factors of Korean male blue-collar workers from small-sized companie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Methods: A total of 37 workers from three companies were interviewed, and three series of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duc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Data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knowledg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and beliefs. Knowledge referred to low knowledge level;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severity referred to unawareness of susceptibility and severity; perceived barriers referred to shift work, overtime work, and a social context including having no choice but to drink; and beliefs referred to believing that health promotion behaviors do not relate to preventing metabolic syndrome, believing that one cannot prevent metabolic syndrome oneself, and believing that professional help is required. Conclusion: To prevent and reduce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male blue-collar workers,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strategies to increase metabolic syndrome-related knowledge and perception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for practicing health behavior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licies for establishing a healthy drinking culture in companies.

자동차부품 생산직 근로자의 피로도가 건강증진행위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tigu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of Automotive Manufacturing Workers)

  • 이경희;이경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3-152
    • /
    • 2011
  •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o relationship of fatigue,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in automotive manufacturing workers. Methods: 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98 workers in a city. It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12.0. Results: The level of fatigue was beyond moderate,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low, mental health was slightly unhealthy. The fatigu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global fatigue, job satisfaction and drinking explained 22.3%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Conclusion: It is necessary for the automotive manufacturing workers and their companies to reduce level of fatigue and mental health and to increase lev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