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동향

Search Result 1,178, Processing Time 0.03 seconds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in Korea: A Critical Review (과학기술과 사회 연구의 현황과 과제)

  • Bak, Hee-Je
    •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 /
    • v.25 no.3
    • /
    • pp.155-195
    • /
    • 2017
  • The goal of the present study is reviewing the literature on the scientific community and also on science, technology & society to increase interactions between innovation studies and social studies of science and technology. Up until now, various empirical studies on Korean scientists and engineers have been concentrated on researchers at universities, while they have paid inadequate attention to researchers at state-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private companies. In addition, these studies have tended to use concepts in Western academia to elucidate Korean cases. On the other hand, recent empirical researches on the effects of the evaluation systems in universities, PBS system, and the network of school ties suggest that these topics may reveal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 scientific community. Empirical studies on the scientific community have also shown that Korean research institutes and researchers who are in charge of innovation in Korea have demonstrated a tendency to conform to the government's guidance due to long experiences of state-led R&D and nationalism. Research o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has viewed the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as a way toward science and technology democracy, and tended to have a strong practical orientation. However, there has been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on how citizen participation influences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lso, although, from the viewpoi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how participation of citizens in science and technology can contribute to knowledge production and innovation is a critical issue, relatively small numbers of case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been conducted. Therefore, as the scholars who have emphasized the democracy of science and technology have actually experimented with various ways of citizen participation, innovation researchers may have to design and implement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which citizens' local knowledge can contribute to technological innovation.

Mycorrhizae, mushrooms, and research trends in Korea (균근과 버섯 그리고 국내 연구동향)

  • An, Gi-Hong;Cho, Jae-Han;Han, Jae-Gu
    • Journal of Mushroom
    • /
    • v.18 no.1
    • /
    • pp.1-9
    • /
    • 2020
  • Mycorrhiza refers to the association between a plant and a fungus colonizing the cortical tissue of the plant's roots during periods of active plant growth. The benefits afforded by plants from mycorrhizal symbioses can be characterized either agronomically, based on increased growth and yield, or ecologically, based on improved fitness (i.e., reproductive ability). In either case, the benefit accrues primarily because mycorrhizal fungi form a critical linkage between plant roots and the soil. The soilborne or extramatrical hyphae take up nutrients from the soil solution and transport them to the root. This mycorrhizae-mediated mechanism increases the effective absorptive surface area of the plant. There are seven major types of mycorrhizae along with mycoheterotrophy: endomycorrhizae (arbuscular mycorrhizae, AM), ectomycorrhizae (EM), ectendomycorrhizae, monotropoid, arbutoid, orchid, and ericoid. Endomycorrhizal fungi form arbuscules or highly branched structures within root cortical cells, giving rise to arbuscular mycorrhiza, which may produce extensive extramatrical hyphae and significantly increase phosphorus inflow rates in the plants they colonize. Ectomycorrhizal fungi may produce large quantities of hyphae on the root and in the soil; these hyphae play a role in absorption and translocation of inorganic nutrients and water, and also release nutrients from litter layers by producing enzymes involved in mineralization of organic matters. Over 4,000 fungal species, primarily belonging to Basidiomycotina and to a lesser extent Ascomycotina, are able to form ectomycorrhizae. Many of these fungi produce various mushrooms on the forest floor that are traded at a high price.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benefits, nutrient cycles, and artificial cultivation of mycorrhizae in Korea.

유지산업

  • 임재각
    • Food Industry
    • /
    • s.181
    • /
    • pp.10-37
    • /
    • 2004
  • 식용유지는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가시적인 상태의 액상(oil) 또는 고체상(fat)의 식용기름을 말하지만 식품산업 측면에서는 가시적인 상태의 유지(가시지방)뿐만 아니라 유지가공 식품이나 기타의 식품에 함유되어 섭취되는 비가시적인 상태의 유지(비가지 지방)도 포함될 수 있다. 식용유지는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영양소로서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3대 영양소 중의 하나이며 1g당 9kcal를 내는 고도로 농축된 에너지원이면서 필수지방산의 공급원이고 비타민 A, D, E 등의 지용성 비타민과 기타 특수한 영양성분의 운반체로서 높은 영양적 가치를 갖는다. 지방성분은 음식물로부터 섭취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체내에서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기질로 하는 대사과정에서 합성되어 지질 또는 필수지방산과 지용성 비타민은 식품으로 지방질과 함께 흡수되어야 하므로 식품의 한 성분으로 지방의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1960년대 이후 국민소득의 증가와 함께 식생활도 다양화되고 서구화 간편화되면서 지방 함량이 높은 식품과 유지를 이용한 식품의 소비가 증가하였고 전체적인 유지 소비량도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60년대 초에는 총열량 중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6\%$ 정도였으나 최근에는 급격히 증가되어 2000년말 현재 $25.5\%$로 증가하였다. 97년까지 계속 증가하던 공급 에너지량은 98년 IMF의 영향으로 2,799 kcal까지 감소했으나 99년 들어 IMF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또한 연간 일인당 순 식용유지류 공급량은 1990년대 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이후로는 소폭 증가하는 추세이다. 2000년말 현재 식용유지 총 공급량은 76만2 천톤으로써 99년 73만5 천톤에 비해 2.7만톤이 증가하였다. 1998년 IMF 시기를 제외하고는 공급물량은 계속해서 증가 추세이다. 특히 1998년도에 비하여 2000년도에 식물성 유지는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나, 동물성 유지는 절반 이하로 감소되는 추세이며 공급물량으로 보면 대두유, 팜유가 주요 유종으로 식물유지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72.3\%$로 압도적이다. 라면용 튀김기름과 마가린 쇼트닝의 원료로서 대부분 사용되는 팜유를 제외하고 가정용 식용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대두유가 이처럼 식용유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된 이유는 첫째, 90년대 초반 수입 자유화 이후 타 유종 대비 낮은 가격을 형성하여 유지업체가 수입을 늘린 것이고 둘째로는 국내에서 대두유와 대두박을 생산하는 대두가공업체의 안정적 대두유 공급이 주요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식용유지의 시장규모는 식품공전상 식용유지로 분류된 제품들의 2000년도 출하액으로 보면 약 6,616 억원 정도이다. 한편 유종이 단순했던 가정용 식용유지 시장이 최근 새로워지고 있다. 주로 조리용으로 사용했던 것에서 건강을 생각하는 품목으로 바뀌는 경향이다. 아직은 가정용에서 대두유가 가장 많지만 옥배유나 채종유 더 나아가 건강이미지의 식용유인 홍화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등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기존 식용유가 비만의 원인인 것 때문에 기피되던 것에서 새롭게 다이어트용 식용유 제품이 출시되어 시장에 새 바람이 불고 있다. 일본 식용유지 시장규모는 물량으로 172 만톤, 금액으로는 2,786 억엔(약 2조7860 억원) 수준이다. 지난 10년간 증가율은 물량 측면에서 약 $5\%$정도 신장하고 금액으로는 큰 증감이 없었다. 식용유는 조리의 기초 소재로서 안정한 수요를 갖고 있지만 주요 유종인 샐러드유의 가격이 하락하여, 전체적으로 시장이 물량이 증가하면서도 매출액이 신장하지 못하여 시장규모는 축소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일본 식용유지 업계의 제품동향을 보면 거의 모든 업체가 가정용 시장에서 건강 기능성 식용유지를 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일본은 건강기능성 식품에 대한 제도적인 뒷 받침이 되어 있어 기능성 식품의 시장출시가 용이한 점이 가정용 시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유지 산업의 고부가가치화를 위해서는 전통적인 산업의 제품과 기술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국내와 일본 식용유지 업계의 경향을 참고해 볼 때 차별화된 식용유지 제품과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서 언급한 고부가가치 제품과 기술 관련 사향을 바탕으로 국내 유지분야가 중점적으로 연구할 분야를 선정해 보면 리파제의 고정화 연구, 생물공학 기술을 활용한 효소의 개발과 이를 이용한 유지 가공 기술 연구, 유지성분의 유화 안정화 기술 연구, 식용유지의 선택적 수소경화 기술 연구 트랜스 지방산 저감기술연구, 효소 반응조 설계기술 연구, 지질 분자구조 분석기술 연구 분야 등이 유망하다. 상기와 같은 연구 분야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유지 전문 인력의 육성, 해외 네트웍의 구축, 산학연 공동연구 추진, 국가적 차원의 정책 및 지원 등이 절실하다.

  • PDF

Change of Perception and New Methodology of Korean Cartoon Exhibition (한국만화전시의 인식변화와 새로운 방법론)

  • Kim, Jeung-Yeun
    • Cartoon and Animation Studies
    • /
    • s.39
    • /
    • pp.413-450
    • /
    • 2015
  • Although cartoons have been recognized for their great potential and value, they have failed to bloom in Korea. This is because wrong perception and irregular distribution of cartoons have been repeated for the last several years. Presently, however, cartoons are escaping from chronic problems they have had for long and welcoming splendid chances now. From the mid- and late-1990's, there have been large-scale events having cartoons as their theme, and social recognition on cartoons is becoming more and more positive. Their contents are diversified, readers are increased, and they are escaping from stereotypes through harmony with other media. Lately, either large or small exhibitions for cartoons are being planned, and Korean cartoons are going overseas and producing exhibitions there. Particularly, visitors' appreciative eye is getting keener, and they begin to see them not as a genre underestimated as low culture like in the past but as a kind of art on which independent research is being actively conducted. One of the biggest factors that have allowed cartoons to be positioned as visual art is the form of exhibitions that combine them with other genres artistically. Especially the cartoon exhibitions being held these days are aggressively introducing various elements of the cartoon genre through the medium of exhibitions not just as a mere tool of seeing to help understand cartoon writers or works. The genre of cartoons is now regarded as an active subject that can reflect its own unique essence in this rapidly changing cultural environment and extend the range of it itself. The latest cartoon exhibitions are characterized by trans-genre and complex aspects in terms of their direction or organization according to the contents, space, or theme. This trend of cartoon exhibitions implies that they are subdividing, analyzing, and planning various factors not in a horizontal way that was centered around image as in the past. It means that cartoon exhibitions are evolving as a form of mobilizing, combining, and reproducing various methods. Although a number of cartoon exhibitions are being held with a variety of themes, there is still lack of research on cartoon exhibitions concerning their forms and contents. Therefore, this researcher sees cartoon exhibitions as a factor that allows cartoons to escape from negative recognition and examines various cartoon exhibitions, from Seoul International Cartoon Animation Festival to the ones that are recently held, to figure out the meaning of Korean cartoon exhibitions. Furthermore, this researcher will find out the factors of planning and popularity in international exhibitions or personal cartoon exhibitions being presently held and figure out new directions and potentials for Korean cartoon exhibitions based on that. To meet the needs of visitors whose expectations have become even higher, it is needed to try not just previous methods but experimental and original planning as well constantly. To realize that, it is necessary to keep providing a field of opportunity where cartoon works, cartoon writers, and visitors can communicate as in an exhib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trigger research on cartoon exhibitions to be performed multilaterally and produce new discourse on cartoon exhibitions afterwards.

An Analysis of Ginseng Advertisements in 1920-1930s Newspapers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일제강점기 중 1920-1930년대 신문에 실린 인삼 광고 분석)

  • Oh, Hoon-Il
    • Journal of Ginseng Culture
    • /
    • v.4
    • /
    • pp.103-127
    • /
    • 2022
  • The influx of modern culture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Korea led to numerous changes in the country's ginseng industry. With the development of ginseng cultivation technology and commerce,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ginseng increased, and various ginseng products were developed using modern manufacturing technology. Consequently, competition for the sales of these products became fierce. At that time, newspaper advertisements showed detailed trends in the development and sales competition of ginseng products. Before 1920, however, there were few advertisements of ginseng in newspapers.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newspapers had not yet been generalized, and the ginseng industry had not developed that much. Ginseng advertisements started to revitalize in the early 1920s after the launch of the Korean daily newspapers Dong-A Ilbo and Chosun Ilbo. Such advertisements in this period focused on emphasizing the traditional efficacy of Oriental medicine and the mysterious effects of ginseng. There were many advertisements for products that prescribed the combination of ginseng and deer antler, indicating the great popularity of this prescription at the time. Furthermore, advertisements showed many personal experience stories about taking such products. Mail order and telemarketing sales were already widely used in the 1920s . In 1925, there were advertisements that ginseng products were delivered every day. The advertisements revealed that ginseng roots were classified more elaborately than they are now according to size and quality. Ginseng products in the 1920s did not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scope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formulations such as liquid medicine, pill, and concentrated extract. In the 1930s, ginseng advertisements became more active. At this time, experts such as university professors and doctors in medicine or in pharmacy appeared in the advertisements. They recommended ginseng products or explained the ingredients and medicinal effects of the products. Even their experimental notes based on scientific research results appeared in the advertisements to enhance the reliability of the ginseng products. In 1931, modern tablet advertisements appeared. Ginseng products supplemented with vitamins and other specific ingredients as well as ginseng thin rice gruel for the sick appeared at this time. In 1938, ginseng advertisements became more popular, and advertisements using talents as models, such as dancer Choi Seunghee or famous movie stars, models appeared. Ginseng advertisements in the 1920s and 1930s clearly show a side of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at the time.

A Study on Intelligent Value Chain Network System based on Firms' Information (기업정보 기반 지능형 밸류체인 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연구)

  • Sung, Tae-Eung;Kim, Kang-Hoe;Moon, Young-Su;Lee, Ho-Shin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4 no.3
    • /
    • pp.67-88
    • /
    • 2018
  • Until recently, as we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sustainable growth and competitiveness of small-and-medium sized enterprises (SMEs), governmental support for tangible resources such as R&D, manpower, funds, etc. has been mainly provided.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inefficiency of support systems such as underestimated or redundant support has been raised because there exist conflicting policies in terms of appropriateness,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business suppor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overnment or a company, we believe that due to limited resources of SMEs technology development and capacity enhancement through collaboration with external sources is the basis for creating competitive advantage for companies, and also emphasize value creation activities for it. This is why value chain network analysis is necessary in order to analyze inter-company deal relationships from a series of value chains and visualize results through establishing knowledge ecosystems at the corporate level. There exist Technology Opportunity Discovery (TOD) system that provides information on relevant products or technology status of companies with patents through retrievals over patent, product, or company name, CRETOP and KISLINE which both allow to view company (financial) information and credit information, but there exists no online system that provides a list of similar (competitive) companies based on the analysis of value chain network or information on potential clients or demanders that can have business deals in future. Therefore, we focus on the "Value Chain Network System (VCNS)", a support partner for planning the corporate business strategy developed and managed by KISTI, and investigate the types of embedded network-based analysis modules, databases (D/Bs) to support them, and how to utilize the system efficiently. Further we explore the function of network visualization in intelligent value chain analysis system which becomes the core information to understand industrial structure ystem and to develop a company's new product development. In order for a company to have the competitive superiority over other companie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who are the competitors with patents or products currently being produced, and searching for similar companies or competitors by each type of industry is the key to securing competitiveness in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target company. In addition, transaction information, which becomes business activity between compani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potential customers when both parties enter similar fields together. Identifying a competitor at the enterprise or industry level by using a network map based on such inter-company sales information can be implemented as a core module of value chain analysis. The Value Chain Network System (VCNS) combines the concepts of value chain and industrial structure analysis with corporate information simply collected to date, so that it can grasp not only the market competition situation of individual companies but also the value chain relationship of a specific industry. Especially, it can be useful as an information analysis tool at the corporate level such as identification of industry structure, identification of competitor trends, analysis of competitors, locating suppliers (sellers) and demanders (buyers), industry trends by item, finding promising items, finding new entrants, finding core companies and items by value chain, and recognizing the patents with corresponding companies, etc. In addition, based on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s from transaction deals information and financial data, it is expected that value chain network system will be utiliz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information support for business evaluation, R&D decision support and mid-term or short-term demand forecasting, in particular to more than 15,000 member companies in Korea, employees in R&D service sectors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s and public organiz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business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echnology, patent and market information have been provided so far mainly by government agencies and private research-and-development service companies. This service has been presented in frames of patent analysis (mainly for rating, quantitative analysis) or market analysis (for market prediction and demand forecasting based on market reports). However, there was a limitation to solving the lack of information, which is one of the difficulties that firms in Korea often face in the stage of commercialization. In particular, it is much more difficult to obtain information about competitors and potential candidates. In this study, the real-time value chain analysis and visualization service module based on the proposed network map and the data in hands is compared with the expected market share, estimated sales volume, contact information (which implies potential suppliers for raw material / parts, and potential demanders for complete products / modules). In future research, we intend to carry out the in-depth research for further investigating the indices of competitive factors through participation of research subjects and newly developing competitive indices for competitors or substitute items, and to additively promoting with data mining techniques and algorithm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VCNS.

Philosophical Stances for Future Nursing Education (미래를 향한 간호교육이념)

  • Hong Yeo Shin
    • The Korean Nurse
    • /
    • v.20 no.4 s.112
    • /
    • pp.27-38
    • /
    • 1981
  • 오늘 저희에게 주어진 주제, 내일에 타당한 간호사업 및 간호교육의 향방을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의 논의는 오늘날 간호계 주변에 일어나고 있는 변화의 실상을 이해하는 데서 비롯되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먼저 세계적으로 건강관리사업이 당면한 딜레마가 어떠한 것이며 이러한 문제해결을 위해 어떠한 새로운 제안들이 나오고 있는가를 개관 하므로서 그 교육적 의미를 정의해 보고 장래 간호교육이 지향해야할 바를 생각해 보려 합니다. 오늘의 사회의 하나의 특징은 세계 모든 나라들이 각기 어떻게 전체 국민에게 고루 미칠 수 있는 건강관리체계를 이룩할 수 있느냐에 관심을 모으고 있는 사실이라고 봅니다. 부강한 나라에 있어서나 가장 빈궁한 나라에 있어서나 그 관심은 마찬가지로 나타나고 있읍니다. 보건진료 문제의 제기는 발달된 현대의학의 지식과 기술이 지닌 건강관리의 방대한 가능성과 건강 관리의 요구를 지닌 사람들에게 미치는 실질적인 혜택간에 점점 더 크게 벌어지는 격차에서 발생한다고 봅니다. David Rogers는 1960년대 초반까지 갖고 있던 의료지식의 축적과 민간인의 구매력 향상이 자동적으로 국민 건강의 향상을 초래할 것이라고 믿었던 순진한 꿈은 이루어지지 않았고 오히려 의료사업의 위기는 의료지식과 의료봉사간에 벌어지는 격차와 의료에 대한 막대한 투자와 그에서 얻는 건강의 혜택간의 격차에서 온다고 말하고 있읍니다. 균등 분배의 견지에서 보면 의료지식과 기술의 향상은 그 단위 투자에 대한 생산성을 낮춤으로서 오히려 장애적 요인으로 작용해온 것도 사실이고 의료의 발달에 따른 일반인의 기대 상승과 더불어 의료를 태성의 권리로 규명하는 의료보호사업의 확대로 야기되는 의료수요의 급증은 모두 기존 시설 자원에 압박을 초래하여 전래적 의료공급체제에 도전을 가해 왔으며 의료의 발달에 건 기대와는 달리 인류의 건강 문제 해결은 더욱 요원한 과제로 남게 되었읍니다. 현시점에서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기아, 영양실조, 안전한 식수 공급 및 위생적 생활환경조성의 문제에서부터 가장 정밀한 의료기술발달에 수반되는 의료사회문제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지니고 있으며 주로 각개 국가의 경제 사회적 여건이 이 문제의 성격을 결정짓고 있다고 볼수 있읍니다. 그러나 건강 관리에 대한 요구는 영구히, 완전히 충족될 수 없는 요구에 속한다는 의미에서 경제 사회적 발달 수준에 상관없이 모든 국가가 공히 요구에 미치지 못하는 제한된 자원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또 하나의 공통된 관점은 각기 문제의 상황은 달라도 오늘날의 건강 문제는 주로 의료권 밖의 유전적 소인,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인 환경여건과 각기 선택하는 삶의 스타일에 깊이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오늘과 내일의 건강관리 문제는 의학적 견지에서 뿐 아니라 널리 경제, 사회, 정치, 문화적 관점에서 포괄적인 접근이 시도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료의 고급화, 전문화, 일변도의 과정에서 소외되었던 기본건강관리체계 강화에 역점을 둔 다양하고 탄력성 있는 사업전개가 요구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다양한 건강관리요구에 적절히 대처할 수 있기 위한 그간 세계 각처에서 시도된 새로운 건강관리 접근과 그 제안을 살펴보면 대체로 4가지의 뚜렷한 성격들로 집약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 첫째는 건강관리사업계획 및 그 수행에 있어 지역 사회의 적극적 참여를 유도하는 일, 둘째는 지역단위의 일차보건의료에서 부터 도심지 신예 종합병원, 시설 의료에 이르기까지 건강관리사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는 일. 셋째로 의료인력이용의 효율화 및 비의료인의 훈련과 협조 유발을 포함하는 효과적인 인력관리에 대한 제안과 넷째로 의료보험 및 각양 집단 의료유형을 포함하는 대체 의료재정 운영관리에 관련된 제안들을 들 수 있읍니다. 건강관리사업에 있어 지역사회 참여의 의의는 첫째로 사회 경제적인 제약이 모든 사람에게 가능한 최대한의 의료를 모두 고루 공급하기 어렵게 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한된 정부재정과 지역사회가용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자조적이고 자율적인 지역사회건강관리체제의 구현에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둘때로는 개인과 가족 및 지역민의 건강에 영향하는 많은 요인들은 실질적으로 의료권 외적 요인들로서 위생적인 생활양식, 식사습관, 의료시설이용 등 깊이 지역사회특성과 관련되어 국민보건의 실질적 향상을 위하여는 지역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수여건이 된다는 점 입니다. 지역 단위별 체계적인 의료사업의 전개는 제한된 의료자원의 보다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하며 요구가 있을때 언제나 가까운 거리에서 경제 사회적 제약을 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는 일차건강관리망을 통하여 건강에 관련된 정보를 얻으며 질병예방, 건강증진 및 기초적인 진료의 도움을 얻을 수 있고 의뢰에 대한 제2차, 제3차 진료에의 길은 건강관리사업의 질과 폭을 동시에 높고 넓게 해 줄 수 있는 길이 된다는 것입니다. 인력 관리에 관련된 두가지 기본 방향으로서는 첫째로 기존보건의료인력의 적정배치 유도이고 둘째는 기존인력의 역할확대, 조정 및 비의료인의 교육훈련과 부분적 업무대체를 들수 있으며 이러한 인력관리의 기본 방향은 부족되는 의료인력의 생산성을 높이고 주민들의 자조적 능력을 강화시킨다는 데에 두고 있음니다. 대체적 의료재정운영안은 대체로 의료공급과 재정관리를 이원화하여 주민의 경제능력이 의료수혜의 장애요소로 작용함을 막고 의료인의 경제적 동기에 의한 과잉치료처치에 의한 낭비를 줄임으로써 의료재정의 투자의 효과를 증대하는 데(cost-effectiveness) 그 기본방향을 두고 있다고 봅니다. 이러한 주변의료 사회적인 동향이 간호교육의 미래상에 끼치는 영향은 지대한 것이라 봅니다. 첫째로 장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정치, 사회, 경제, 환경적인 의료권 밖의 요인들에 의해 더욱 크게 영향 받는다고 전제한다면 건강문제해결에 있어서도 전통적인 의료사업의 접근에서 더나아가 문제발생의 근원이 되는 생활개선이라는 차원에서 포괄적 접근을 생각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선 정치, 경제, 사회전반에 걸친 깊이있는 이해과 주민의 생활환경에 직접 영향하는 교통수단, 통신망 mass media, 전력문제, 농업경영방법 및 조직적 사회활동 등 폭넓은 이해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둘째로, 지역사회참여의 의의를 인정한다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킬수 있고 의료집단과 각종 주민조직과 일반주민들 사이에서 협조적으로 일할수 있는 역량을 기르기위한 교육적 준비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셋째로, 지역주민의 건강관리 자조능력 강화를 하나의 목표로 삼는다면 치료자에서 교육자로, 지도자에서 촉진자로, 제공자에서 지원자료의 역할의 변화 내지 다양화를 요구하게 될 것이므로 그에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넷째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건강관리사업을 지향하는 보건의료의 이념적 방향과 그에 상응하는 구체적 접근방법을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종횡으로 연결되는 의사소통체계의 정립과 민활한 정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사소통의 구심체로서 역할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해야 할 교육적 과제가 있다고 봅니다. 마지막으로 생각되어야 할 점은 지역중심으로 전개될 건강관리사업은 건강증진 및 질병예방적 측면과 질병진료 및 회복과 재활에 이르는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사업이어야 한다는 점에서 종래 공공 의료부문과 사설의료기관 사이에 나누어져 있던 예방의학과 치료의학의 통합 뿐 아니라 정부주축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역사회개발사업 및 농촌지도사업과 종교 및 각종 민간인 집단이 벌이고있는 사업들과의 전체적인 통합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종래 간호교육이 강조하지 않던 진료의 의무와 대외적 조직활동에 대한 보완적인 교육조치가 요구된다고 봅니다. 간호의 학문체계로서의 입장은 오랜 역사를 두고 논의의 대상이 되어왔으나 아직까지 뚜렷이 어떤 것이 간호 특유의 지식체계이며 건강문제에 관련하여 무엇이 간호특유의 결정영역이며 이 결정과 그 결과를 어떠한 방법으로 치료적 행위로 옮길 수 있는가에 대한 확실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봅니다. 다만 근래에 제시된 여러 간호이론들 속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어지고 있는 개념들로선 우선 간호학문을 건강과 질병에 관련된 인간의 전인적이고 전체적인 상황을 다루는 학제적 과학으로서보는 입장이 있고 따라서 생물신체적인 면 외에 정신심리적, 사회경제적, 정치문화적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인간의 건강과 질병문제를 생각한다는 지향을 갖고 있다고 말할 수 있겠읍니다. 간호교육은 간호계 내적인 학문적, 이론적 체계화의 요구에 못지않게 대민봉사하는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적 책임을 감당해야하는 중요과제를 안고있어 변화하는 사회요구에 효과적으로 대처해 나가야 할 당면문제를 안고 있읍니다. 간효역할 확대, 보건진료원훈련 등 이러한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려는 조치가 되겠읍니다. 이러한 시점에서 간호계가 분명히 짚고 넘어가야 할 사실은 이러한 움직임들이 종래의 의사들의 외업무공급을 연장 확대하는 입장에 서서 간호의 특수전문직 명목을 흐리게 할수있는 위험을 감수할 것인지 아니면 가능한 대체방안을 갖고 간호전문직의 독자적인 진로를 개척하면서 다각적인 도전을 받아들일 준비를 갖추든지 그 방향을 뚜렷이 해야할 일이라 생각합니다. 저로서는 이미 잘 훈련된 간호원들과 조산원들의 교육적, 경험적 배경을 기반으로 지역사회 최일선 건강관리요원으로 사회적 효능을 다 할수 있는 일차건강관리간호조직의 구현을 대체방안으로 제시하고 싶습니다. 간호원과 조산원들의 훈련된 역량과 건강관리체제의 구조적 변화를 효과적으로 조화시킨다면 대부분의 세계인구의 건강문제는 해결가능하다고 보는 입장입니다. 물론 정책과 의료와 행정적지원이 활성화되어지는 환경속에서만 그 기대하는 결과가 확대되리라는 점 부언하는 바입니다. 마지막으로 언급하고 싶은 점은 바로 오늘의 주제 ''교육의 동역자-선생과 학생''이라는 개념입니다. 특히 상회정의적 입장에서 보는 의료사업전개에 지역민 내지 의료소비자의 참여를 강조하는 현시점에 있어 교육자와 학생이 교육의 현장에서 서로 동역자로서 학습의 책임을 나누는 경험은 아주 시기적으로 적합하여 교육적으로 지대한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에 수반되어져야 할 역할의 변화에 수용적인 자세를 갖고 적극 실제적용하려 노력하는 선생앞에서 자주적 결정을 행사해본 학생이야말로 건강관리대상자로 하여금 같은 결정권을 행사할수 있도록 촉구하여 주민의 자조적 역량을 기르고 의료사업의 민주화, 인간화를 이룩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수 있으리라 믿는 바입니다.

  • PDF

Changes i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in Korea (한국농촌지도사업(韓國農村指導事業)의 변동(變動))

  • Fujita, Yasuki;Lee, Yong-Hwan;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7 no.1
    • /
    • pp.155-166
    • /
    • 2000
  • When the marcher visited Korea in fall 1994, he was shocked to see high rise apartment buildings around the capitol region including Seoul and Suwon, resulting from rising demand of housing because of urban migration followed by second and third industrial development. After 6 years in March 2000, the researcher witnessed more apartment buildings and vinyl house complexes, one of the evidences of continued economic progress in Korea. Korea had to receive the rescue finance from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because of financial crisis in 1997. However, the sign of recovery was seen in a year, and the growth rate of Gross Domestic Products (GDP) in 1999 recorded as high as 10.7 percent. During this period,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working on restructuring of banks, enterprises, labour and public sectors. The major directions of government were; localization, reducing administrative manpower, limiting agricultural budgets, privatization of public enterprises, integration of agricultural organization, and easing of various regulations. Thus, the power of central government shifted to local government resulting in a power increase for city mayors and county chiefs.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was one of targets of government restructuring, transferred to local governments from central government. At the same time, the number of extension offices was reduced by 64 percent, extension personnel reduced by 24 percent, and extension budgets reduced. During the process of restructuring, the basic direction of extension services was set by centr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ersonnel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supports were transferred to provinci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s, and operational responsibilities transferred to city/county governments.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t the local levels changed the name to Agricultural Technology Extension Center, established under jurisdiction of city mayor or county chief. The function of technology development works were added,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number of educators for agriculture and rural life. As a result of observations of rural areas and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at various levels, functional responsibilities of extension were not well recognized throughout the central, provincial, and local levels. Central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s should be more concerned about effective rural development by monitoring provincial and local level extension activities more throughly. At county level extension services, it may be desirable to add a research function to reflect local agricultural technological needs. Sometimes, adding administrative tasks for extension educators may be helpful far farmers. However, tasks such as inspection and investigation should be avoided, since it may hinder the effectiveness of extension educational activities. It appeared that major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in Korea were focused on saving agricultural materials, developing new agricultural technology, enhancing agricultural export, increasing production and establishing market oriented farming. However these kinds of efforts may lead to non-sustainable agriculture. It would be better to put more emphasis on sustainable agriculture in the future. Agricultural extension methods in Korea may be better classified into two approaches or functions; consultation function for advanced farmers and technology transfer or educational function for small farmers. Advanced farmers were more interested in technology and management information, while small farm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information for farm management directions and timely diffusion of agricultural technology information. Agricultural extension service should put more emphasis on small farmer group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farmers in these groups. Providing information and moderate advice in selecting alternatives should be the major activities for consultation for advanced farmers, while problem solving processes may be the major educational function for small farmers. Systems such as internet and e-mail should be utilized for functions of information exchange. These activities may not be an easy task for decreased numbers of extension educators along with increased administrative tasks. It may be difficult to practice a one-to-one approach However group guidance may improve the task to a certain degre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