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 작용제

검색결과 315건 처리시간 0.03초

In-Situ Flushing기법이 Endosulfan으로 오염된 토양의 생물학적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Situ Flushing on the Bi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Endosulfan)

  • 전민하;최상일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1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98-201
    • /
    • 2001
  • In-situ flushing의 적용에 따른 농도 저감이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초기농도 13mg/kg dry soil과 3mg/kg dry soil인 토양을 생물학적으로 처리한 결과 제거효율은 각각 86% 및 81%였으며, 두 가지 토양 모두 24시간 이후에는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미생물에 의한 작용이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양상에서 용액상으로의 물질전이 속도가 율속 단계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토양에 잔류하는 계면활성제가 생물학적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본 결과, 잔류하는 계면활성제에 의해 물질전이 속도가 향상되어 생분해가 지속적으로 일어났으며 초기농도 3mg/kg dry soil인 경우 120시간이 경과한 후 89%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계면활성제와 보조용매가 동시에 잔류하는 경우에는 계면활성제에 대한 순응기간이 보다 길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메탄올과 에탄올의 경우 각각 84%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 PDF

저온 공기 표면 플라즈마 특성과 이를 이용한 화학작용제 제독

  • 정희수;서진아;최승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6년도 제50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95.2-195.2
    • /
    • 2016
  • 대기압 플라즈마는 공기중에서 방전이 가능하고, 이때 생성되는 활성산소종(ROS)과 활성질소종(RNS)을 적절히 이용하면 살균은 물론 제독이 가능하다. 특히 신경작용제나 수포작용제 등의 화학물질은 박테리아 포자, 세균, 바이러스 등의 생물작용제에 비해 더 많은 에너지와 시간이 요구된다. 현재 군이나 의료 시설에서는 과산화수소를 이용한 제독이나 염소계 표백제 성분으로 구성된 수용성 제독제를 이용하지만, 플라즈마의 경우는 단순히 기체를 방전하여 제독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제독 시스템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대기압 방전시 방전전압을 낮추기 위해 헬륨과 알곤등의 기체를 공급하여 사용할 경우 부가적인 시스템의 규모가 커져 활용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기중에 존재하는 질소, 산소 등을 이온화시키기 위해 10-25kHz의 주파수에서 4.5kV의 8us 펄스전원을 인가하여 공기 플라즈마를 얻고, 열에 의한 분해효과를 제거하기 위해 플라즈마의 기체온도를 20도로 유지시켰다. 플라즈마의 특성은 방출광 분석법을 이용하여 떨림온도를 계산하였고, 질소와 오존의 농도를 동시에 관찰하였다. 분해된 화학작용제는 기체분석기(Gas Chromatography)를 통해 표준 오염농도대비 잔류한 양을 측정함으로써 제독효율을 계산하였다.

  • PDF

사료용 생균제 산업 발전 방향 - 사료용 생균제 산업 발전 방향

  • 이찬호
    • 월간피드저널
    • /
    • 제2권6호통권10호
    • /
    • pp.65-71
    • /
    • 2004
  • Probiotics란 그리스어로 "for life"를 의미하며, 우리말로는 "생균제"에 해당하는 단어라고 할 수 있다. 생균제라는 용어(Lilley와 Stiiwell, 1965)는 다른 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미생물이라 하여 정확히 항생제의 반대되는 개념으로 사용된 이후, 1989년 Fuller는 probiotics란 장내 미생물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숙주동물을 위해 이롭게 작용하는 살아있는(viable) 미생물 사료 첨가제라 하여 살아있음의 의미를 강조하였다. (중략)

  • PDF

약물상호작용 : 기분안정제와 항불안제 (Drug-Drug Interactions : Mood Stabilizers and Anti-Anxiety Drugs)

  • 김영훈;이정구
    • 생물정신의학
    • /
    • 제7권1호
    • /
    • pp.34-45
    • /
    • 2000
  • Pharmacotherapy of bipolar disorder is a rapidly evolving field. Mood stabilizers and anticonvulsants have varying biochemical profiles which may predispose them to different adverse effects and drug-drug interactions. Several of the new anticonvulsants appear less likely to have the problems with drug-drug interaction. To provide more effective combination pharmacotherapies, clinicians should be allowed to anticipate and avoid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drug-drug interactions. We reviewed the role of cytochrome P450 isozymes in the metabolism of the drugs and their interactions. The drug-drug interactions of several classes of drugs which used as mood stabilizers and new anticonvulsants, some of which may have psychotropic profiles, are discussed mainly in this article. Finally, potential pharmacokinetic interactions between the benzodiazepines and other coadministered drugs are discussed briefly.

  • PDF

생물무기 특성과 사례연구 (Characteristics of Biological Agent and relavent case study)

  • Park, Minwoo;Kim, Hwami;Choi, Yeonhwa;Kim, Jusim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42-454
    • /
    • 2017
  • 생물테러에 사용되는 생물무기는 세균과 바이러스, 리켓치아, 곰팡이 등을 가공하여 만들어지며, 화학작용제, 방사능작용제와 함께 대량살상무기(Weapons of Mass Destruction, WMD)로 분류되어진다. 생물무기는 다른 대량살상무기들에 비하여 개발과 생산의 용이성, 저렴한 비용, 은닉살포가 가능하다는 운용상 이점들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생물무기 개발이 이루어진 역사와 현존하는 생물학적 위협에 대해 분석하고, 생물작용제의 물리적 특성과 인체내 감염기작을 기초로 생물무기 공격으로 인한 사회적 영향을 예측하였다. 스벨드롭스크 탄저균유출사고, 아랄스크 두창발생, 2001년 탄저테러 등 생물무기관련 역사적 사례들에서 사고 인지형태, 작용제 오염확산범위와 피해자의 질병특성을 분석한 결과, 생물테러는 공격 즉시 인지가 어렵고, 광범위한 확산이 가능하여 대규모 노출자를 발생시키며, 호흡기관련 중증질환을 일으켜 보건 의료기관에 막대한 부담을 일으킬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생물테러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보건대응역량을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증후군감시체계 및 관련질병 보고체계를 운영하여 신속히 이상징후를 파악해야하며, 실험실진단체계를 통해 병원체의 확진을 실시하여야한다. 또한 보건기관은 역학조사 시 수사기관과의 공조를 통해 잠재적노출자를 명확히 규명하여야 하며, 마지막으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집단예방조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되어야할 것이다. 이러한 보건대응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한다면 생물테러위협에 성공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생물 반응 시스템을 활용한 세균 포자 제독 시험 (Decontamination of Bacterial Spores Using a Bio-reaction System)

  • 서영환;박한울;이홍석;김성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49-656
    • /
    • 2024
  • This report describes the test results of decontamination of Bacillus atrophaeus spores. The spore solution at 109 cfu/mL concentration was treated with chemical decontaminants, hydrogen peroxide, DF-200, sodium dichloroisocyanurate(NaDCC), and perasasfe. DF-200 was not suitable for decontamination of the spore solution. Among them, the optimal decontamination reaction conditions of perasafe and NaDCC were established from test tube experiments in a mL-scale, and they were validated in a bio-reaction system in a L-scale. The optimal conditions of perasafe and NaDCC were 1.0 % of concentration with 5 minutes of reaction time and 0.3 % of concentration with 10 minutes of reaction time, respectively. Also, both decontaminants required adequate agitation for decontamination. The results in the bio-reaction system were similar with the results from the smaller scale using test tubes, showing that the optimal conditions from the smaller scale experiments can be applied to the larger scale.

전기장을 이용한 미생물 부착과 생물막 제어 (Control of Bacterial Adhesion and Biofilm Using Electric Field)

  • 심수진;김춘수;윤제용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92-700
    • /
    • 2011
  •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기술은 기존의 소독제 및 항균제를 이용한 방법을 대체하기 위한 제어기술로써 연구되어 왔다. 본 기술은 화학적 소독제나 항균제를 사용하지 않고 전자전달을 토대로 생물막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환경적으로 이로운 면이 있다. 현재까지 연구된 정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방법은 기작에 따라 (1) 음전류에서의 정전기적 반발작용을 통한 미생물 부착 제어, (2) 양전류 상에서의 미생물 거동을 이용한 미생물 부착 제어, (3) 직접산화반응에 의한 미생물 불활성화, (4) 바이오일렉트릭 효과에 의한 생물막 불활성화 효과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총설에서는 주요 선행연구를 통해 전기장을 이용한 생물막 제어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고, 적용사례들을 소개하고자 한다.

합성보존제(benzalkoniumchloride)와 천연보존제(키토산)의 세포독성 및 항균활성에 관한 연구

  • 박현주;이기영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261-264
    • /
    • 2001
  • 점안약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보존제(preservatives)의 세포독성 및 항균활성 및 항진균 활성을 검정하였다. 세포독성은 L929 세포를 사용하였으며, 항균항진균 활성검정에 사용된 균주는 Pseudomonas aeruginosa ATCC27853, Staphylococcus aureus ATCC25923 등 2가지이고, 진균은 Trichoderma reesei A TCC6967을 사용하였다. 사용된 시약은 합성보존제인 benzalkoniumchloride(BAK)와 천연보존제인 키토산이며 키토산의 분자량은 60,000, 탈아세틸화도는 95%, 점도는 2cps였다. L929 세포에 대해 24hr, 48hr, 72hr에 대해 각각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검정 결과 세포의 30% 이상 성장저해를 일으키는 농도는 BAK의 경우 0.001%였고, 키토산의 경우는 0.6%였으며 이 결과는 시간에 따라 유의성 있는 변화가 없었다. 각 각의 균에 대한 BAK 의 항균항진균 활성을 나타내는 최소저해농도는 P.aeruginosa에는 0.1%였고, S. aureus에는 0.001 %였으며 T reesel'에는 0.1%였다. 키토산은 P. aeruginosa의 경우 2%, S. aureus가 1%에서 2일간 정균작용을 나타내었다. 진균에 대해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생육을 촉진시켰다. 천연보존제는 합성보존제에 비해 독성을 일으키지 않으며 약리작용이 있는 반면에 항균성이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