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분해능

검색결과 32건 처리시간 0.021초

나노 및 Bio 물질 내부구조 비파괴 분석을 위한 현미경 개발 현황

  • 심철무
    • 비파괴검사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06-416
    • /
    • 2016
  • 바이오와 나노 분야의 비파괴검사는 nm 급의 공간분해능을 요구한다. 바이오와 나노 물질의 내부구조의 비파괴 분석을 위한 공간분해능을 nm급으로 향상시키는Soft X-ray현미경 및 초음파현미경에 대한 기술을 소개한다. 세포생물(Biology)의 단백질구조분석, 수문학(Hydrology)연구, 나노입자거동 등의 연구를 위해서 중성자현미경기술개발 및 현황을 소개하고자 한다. 초음파현미경, Soft X-ray현미경 및 중성자현미경에 대하여 Hybrid 이용자 지원 체계를 구축하여 나노 및 Bio 물질 내부구조 분석기술을 확립하여 지원하고자 한다.

생물활성탄 공정에서의 Sulfonamide계 항생물질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Sulfonamide Antibiotic Compounds in 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 손희종;정종문;노재순;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6-101
    • /
    • 2009
  • 생물활성탄 재질별 sulfonamide계 항생물질 5종의 생분해능을 조사한 결과 유입수의 수온 $25^{\circ}C$에서 EBCT 변화에 따른 생물분해율을 평가한 결과, 석탄계 재질의 생물활성탄은 EBCT 5~20분에서 18~82%, 야자계나 목탄계의 경우는 11~67% 및 4~56%로 나타나 석탄계 재질의 생물활성탄에서 가장 높은 생물분해능을 나타내었다. Sulfonamide계 5종에 대한 물질별 생분해능을 평가한 결과, 석탄계 재질의 생물활성탄에서 5~20분의 EBCT에서 SCP, SMT 및 STZ는 30~80%, SDM과 SMX는 18~70% 정도의 생분해율을 나타내어 SDM과 SMX가 다른 3종 보다는 생물분해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수의 수온 상승에 따라 5~20분의 EBCT에서 생물분해율은 크게 증가하였고, 유입수의 수온이 $5^{\circ}C$일 경우 sulfonamide계 항생물질 5종에 대한 생물분해 속도 상수는 0.0094~0.0118 $min^{-1}$, 반감기는 58.7~73.7분으로 나타났으며, 수온이 $15^{\circ}C$$25^{\circ}C$일 경우는 생물분해 속도상수가 0.0307~0.0397 $min^{-1}$ 및 0.0468~0.0718 $min^{-1}$로 나타났고, 반감기 17.5~22.6분 및 9.7~14.8분으로 나타났다. 유입수의 수온이 $5^{\circ}C$에서 $15^{\circ}C$로 상승할 경우 sulfonamide계 항생물질 5종에 대한 생물분해 속도상수는 3.2~3.8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수온이 $15^{\circ}C$에서 $25^{\circ}C$로 상승할 경우는 1.5~1.9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iffuer 형태의 중공사막 생물반응기를 이용한 기체상 BTX 제거 (Performance of a Hellow Fiber Membrane Diffuser for the Biological Removal of Gaseous BTX)

  • 손영규;김지형;송지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1권4호
    • /
    • pp.25-32
    • /
    • 2006
  • 본 연구는 산기관(diffuser) 형태로 운전되는 중공사막 생물반응기(Hollow Fiber Membrane Diffuser) 시스템을 복합오염물질(benzene, toluene, p-xylene, BTX)처리에 적용해 보고, 생물반응기에 의한 각 물질의 생분해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toluene을 단일오염물질로 적용한 예비 실험기간 동안에 75%수준의 안정적인 처리 효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후 BTX 복합오염물질을 적용한 본 실험기간 동안에도 별도의 적응기간 및 악영향 없이 70%수준의 처리효율을 얻어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toluene분해 미생물의 benzene, p-xylene의 분해 능력을 확인하였으며, toluene의 경우 복합오염물질 적용 시 다른 두 물질에 의해 소폭의 분해 저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해능 실험에서 측정한 생물반응기의 BTX 분해능은 약 360 $g/m^3/hr$이었으며, 이는 기존의 생물여과공법에 제시된 최대분해능보다 높은 우수한 분해능이었다. 따라서 산기관 형태의 중공사막 생물반응기는 복합오염물질 처리에도 안정적인 운전특성을 나타내었으며, 기존의 VOCs 저감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기술이라고 판단된다.

지렁이 (Redworm*: Lumbricus ruellus) 체액내 용혈인자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Hemolytic Factor in the Body Fluid from Redworm, Lumbricus rubellus)

  • 손영종;이정우장정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20-30
    • /
    • 1991
  • 지렁이(L. rubelIus) 체액내의 적혈구용혈능깍 단백질분해능을 확인하였다. 지렁이의 체액 0. 33 $\mu$l속에 있는 용혈인자는 9 $\times$ 1011 rat RBCs를 2분만에 완전히 용혈시켰으며, 다른 포유류들의 적혈구에도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비슷한 용혈능을 보였고, 이 용혈인자는 지렁이의 혈구가 아닌 몸체조직에서 분비되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용혈인자는 pH 6.5-7.5사이에서 활성이 가장 강하였고, 63'c로 30분 열처리할 경우 활성이 완전히 없어졌으며, 2-mercaptoethanol은 용혈인자의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 인자의 활성도는 여러가지의 당류, LPS, cholesterol, prosphatidyl Choline, Ch10ropromazine, Sphin90myelin 및 FG2+, Fe3+, CU2+, ZR2+ 등의 금속이온에 의하여 활성이 저해되었다. 한편 지렁이 체액내의 단백질 분해인자는 BSA와 19G를 여러 조각으로 분해시켰으며 이 분해인자는 PMSF및 TLCK에 의하여 활성이 억제되지 않았다. 지렁이의 체강에는 용혈소를 분비하는 박테리아들이 존재하였으나 이들 박테리아들의 용혈소는 지렁이의 용혈인자와는 전기영동이동도에서 차이가 있었다.

  • PDF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Trimethoprime 및 Caffeine 제거특성 (Removal Characteristics of Tetracycline, Oxytetracycline, Trimethoprime and Caffeine in Biological Activated Carbon Process)

  • 손희종;황영도;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86-192
    • /
    • 2009
  • 활성탄 재질별 유입수의 수온 및 EBCT 변화에 따른 의약물질 4종에 대한 생물분해율을 평가한 결과, 수온 및 EBCT가 증가할수록 의약물질 4종에 대한 생물분해율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활성탄 재질별로는 석탄계 재질의 활성탄이 가장 우수한 생물분해능을 나타내었고, 다음으로 야자계와 목탄계 활성탄 순이었으며, 의약물질별로는 oxytetracycline이 가장 생물분해능이 큰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tetracycline, trimethoprime 및 caffeine 순으로 조사되었다. 의약물질 4종에 대해 석탄계 재질의 활성탄에서의 수온별(5~$25^{\circ}C$) 생물분해 속도상수 및 반감기를 조사한 결과 oxytetracycline의 경우 생물분해 속도상수가 각각 0.0928 $min^{-1}$에서 0.3954 $min^{-1}$으로 증가하였고, 반감기는 7.47분에서 1.75분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caffeine의 경우는 생물분해 속도상수가 각각 0.0360 $min^{-1}$에서 0.2146 $min^{-1}$으로 증가하였고, 반감기는 19.25분에서 3.23분으로 감소하였다.

BAC 공정에서의 고지혈증 치료제 생물분해 특성 (Biodegradation of Blood Lipid Lower Agents (BLLAs) in Biological Activated Carbon (BAC) Process)

  • 염훈식;손희종;류동춘;유평종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24-131
    • /
    • 2017
  • 생물활성탄 공정과 안트라사이트를 여재로 사용한 biofilter에서 공탑 체류시간(EBCT)과 수온의 변화에 따른 8종의 고지혈증 치료제류(blood lipid regulator agents, BLLAs)의 생물분해 특성을 평가하였다. 수온 $8^{\circ}C$, $16^{\circ}C$$24^{\circ}C$에서 공탑 체류시간을 5분~15분까지 변화시켰다.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고지혈증 치료제류 8종의 생물분해 제거율은 공탑 체류시간과 수온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공탑 체류시간과 수온이 증가할수록 생분해 제거율이 증가하였다. 고지혈증 치료제류의 종류에 따른 생물활성탄 공정에서 생분해 제거율은 statin계의 경우 simvastatin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mevastatin, fluvastatin 및 atorvastatin 순이었다. 또한, Fibrate계 고지혈증 치료제들의 생물분해능은 fenofibrate가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emfibrozil, bezafibrate, clofibric acid순이었다. BAC 공정에서 생물분해 제거능이 가장 낮은 clofibric acid와 atorvastatin의 생물분해 속도상수($k_{bio}$)는 수온이 $8^{\circ}C$에서 $24^{\circ}C$로 상승하였을 경우, 각각 $0.0075min^{-1}$$0.0122min^{-1}$에서 $0.0540min^{-1}$$0.0866min^{-1}$으로 증가하여 각각 7.2배 및 7.1배 정도 증가하였다.

생물정화용 제품의 유류분해능 비교 (Effects of Bioremediation Products on the Oil Degradability)

  • 김상진;신수경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7-162
    • /
    • 1997
  • 최근 유류에 오염된 환경을 회복시키기 위하여 생물정화 방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유류오염 환경을 처리하기 위한 생물정화용 생물제제가 보편화되면서 외국으로부터 많은 제품이 국내로 유입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는 이와 같은 제품의 규격기준이나 표준 실험방법이 체계화되어 있지 않고 또한 효용성에 대한 실제 실험결과가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일부 유류처리용 생물제제 5종을 대상으로 유류분해율에 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대부분의 제품들은 함유된 화학유분산제에 의해 유류분산능을 나타내었고 유류분해율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제품(D)의 경우에는 해수에 분포되어 있는 토착 유류분해세균의 유류분해도를 오히려 저해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로 미루어 향후 생물정화용 제제의 규격기준 및 표준 실험방법을 국내에도 확립할 필요가 있고, 그러므로서 효율적인 생물정화 기술방법 사용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천연식물 추출물에 대한 니코틴의 분해효과 (Effect of Herbal Extract on Nicotine Degradation)

  • 박준상;김재수;박준홍;박세정;조한성;홍억기
    • KSBB Journal
    • /
    • 제18권3호
    • /
    • pp.239-242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니코틴분해에 효과가 있는 천연식물 추출물질 (NDM)을 시험관에서 직접 혼합한 경우와 랫트를 이용한 동물 실험을 통해서 니코틴의 코티닌 전이를 조사해 보았다. 니코틴 분해제 (NDM)에 의한 니코틴의 코티닌으로의 분해를 시험관에서 확인한 결과 혼합 90분경과 후 대조군과 대비하여 약 2.5배의 분해능을 보였다. 랫트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NDM의 니코틴분해능 확인결과 혈중 니코틴 농도는 90분 경과 후 대조군 대비 약 33%의 감소를 나타냈고, 코티닌의 혈중 농도는 약 5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NDM이 니코틴 분해에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기존 알려진 여러 천연식물 추출물들은 니코틴의 대사경로 중 인체에 무해한 코틴닌으로의 전이유도를 촉진하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단일 추출물질이 아닌 복합추출물질로 구성되어 기존의 니코틴 분해제에 비해 탁월한 효과를 보여 주었다.

생물방제균 Bacillus sp. YBL-7의 형질전환조건 (Genetic Transformation of Biocontrol Agent Bacillus sp, YBL-7 by Plasmid pE194)

  • 한길환;정병곤;김상달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84-389
    • /
    • 1992
  • 식물근부균 Fusarium solani의 생육을 강력히 길항하는 Bacillus sp. YBL-7을 토양으로부터 분리하였으며 그 길항기작이 항생물질임을 이미 보고하였다. 분리된 생물방제균 Bacillus sp. YBL-7 균주들 siderophore, 가수분해능 등의 타 방제기능을 도입할 수 있는 다기능적인 방제균으로 육종하기 위해 plasmid vector pE194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형질전환 system을 확립하고자 하였으며, 이때 필요한 여러가지 조건을 조사하였다. 생물방제균 Bacillus sp. YBL-7 원형질체 형성의 최적조건은 5시간 배양된 균체를 사용함으로써, 최종농도가 200${\mu}g$/ml인 lysozyme을 $37^{\circ}C$에서 90분간 처리함으로써 원형질체 생성율이 가장 높았다. 삼투압안정 완충제인 SMM bufferso의 sucrose 농도는 0.5M에서 안정하였고, mannitol 재생 배지에서 원형질체를 재생시켰을 경우 첨가된 agar의 농도가 1.2%에서, mannitol은 0.7M의 농도에서 가장 재생율이 높았다. 형질전환율은 polyethylene glycol 농도가 40%(w/v)일 때 가장 높았으며, plasmid DNA와의 접촉시간과 발현배양시간은 각각 10분, 120분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또한 plasmid DNA의 농도는 5$\mu$g/ml 첨가에서 가장 높았으며, 형질전환된 숙주균주 Bacillus sp. YBL-7내에서의 pE194는 매우 안정하게 유지되었으며, 외붕 전자가 도입된 전환체와 숙주균주가 동일한 억제력을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agarose gel 상에서도 고유의 plasmid pE194의 band를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진화적 유연관계 분석을 통한 Aspergillus niger LK의 Epoxide Hydrolase의 특성분석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poxide Hydrolase from Aspergillus niger LK using Phylogenetic Analysis)

  • 김희숙;이은열;이수정;이지원
    • KSBB Journal
    • /
    • 제19권1호
    • /
    • pp.42-49
    • /
    • 2004
  • Racemic epoxide에 대한 입체선택적 가수분해능을 가지고 있는 곰팡이, Aspergillus niger LK로부터 epoxide hydrolase (EH, EC 3.3.2.3) 유전자의 진화적 유연관계 분석을 행하였다. A. niger LK의 EH 염기서열로부터 유추한 EH 단백질 아미노산 서열은 여러 박테리아의 EH들 및 포유동물의 microsomal EH들과 유의적인 유사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a/$\beta$ hydrolase fold family에 속하였다. A. niger LK의 EH 단백질의 입체구조예측은 Protein Data Bank에 수록된 lqo7의 3D 결정구조와 90.6% identity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른 EH들의 아미노산 서열비교를 행한 결과 Asp$^{192}$ , Asp$^{348}$ 및 His$^{374}$ 이 catalytic triad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여러 생물종의 EH서열을 기능적 및 구조적 domain 서열을 기초로 하여 multiple sequence alignment를 행하고 Neighbor-Joining/UPGMA method를 이용하여 계통수를 복원한 결과 다른 생물종들의 EH와의 진화거리는 서로 1.841∼2.682로 멀었으나 EH의 기능을 가지기 위한 oxyanion hole 및 a/$\beta$ hydrolase fold family의 catalytic triad는 잘 보존되고 있어 공통조상으로부터 진화되어 왔음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