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샘물

Search Result 105,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지하수 전문기관에 의한 먹는샘물 관리방안

  • Lee Byeong-Dae;Seong Ik-Hwan;Kim Jeong-Suk;Im Hyeon-Cheol;Kim Yo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65-67
    • /
    • 2005
  • 먹는물 관리법 제19조의2 제2항에서 환경부장관은 지하수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먹는샘물제조업자로부터 제출받은 수질측정결과를 지하수 전문기관으로 하여금 분석하도록 하는 먹는샘물 사후관리를 규정하고 있다. 그러므로 지하수 전문기관은 먹는샘물의 수량 수질자료에 대한정보의 수집 분석 및 관리와 먹는샘물 통합관리시스템 개발 및 구축,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현장시설관리 등 사후관리 기능을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 PDF

The effect of Meungzo and Saemmul fonts on Hangul recognition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모양이 한글인식에 미치는 효과)

  • Kim, Ho-Young;Cheong, Chan-Sup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259-267
    • /
    • 1992
  • 단어모양이 한글 시각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명조체와 샘물체로 된 한음절 글자, 두음절 단어, 세음절 단어의 정확인식율을 비교하였다. 명조체는 자모의 모양과 크기가 글자의 고정된 사각틀에 맞게 변형되므로 단어모양이 글자의 자모조합 유형과 음절길이에 따라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이에 반해 샘물체는 자모조합 유형에 따라 글자의 사각틀이 변형되므로 부가적인 단어변별 정보가 단어모양에 포함되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단어모양 정보가 명조체에 비해 더욱 두드러진다. 이처럼 서로 구별될 수 있는 명조체와 샘물체 단어의 시각적 구조는 각각 다른 근거에서 한글인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결과, 명조체의 정확인식율이 샘물체보다 높았으며, 음절길이가 증가할 때 명조체와 샘물체에 상관없이 정확인식율이 향상되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단어의 외곽모양 변이가 영어의 경우보다 한글 시각정보처리에서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포장과 법률 - '먹는샘물 등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기준 고시' 일부개정령(안) 행정예고

  • (사)한국포장협회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329
    • /
    • pp.96-99
    • /
    • 2020
  • 환경부는 지난 8월 19일 플라스틱의 재활용률을 높이고 발생량 저감을 유도하기 위해 먹는샘물 용기에 부착하던 표시사항(라벨)을 병마개에 부착을 허용하는 등 현행제도 운영상 미흡한 부분들을 개선·보완하기 위해 '먹는샘물 등의 기준과 규격 및 표시기준 고시' 일부개정령(안)을 행정예고했다. 다음에 그 주요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 PDF

먹는 생물과 미생물학적 품질

  • Cha, Seong-Gwan
    • Bulletin of Food Technology
    • /
    • v.8 no.2
    • /
    • pp.20-26
    • /
    • 1995
  • 건강한 성인 한사람은 하루에 약 $3\ell$의 물을 외부로부터 섭취하여야 한다고 한다. 이중 약 $1-2\ell$의 물은 음료 즉, 먹는물의 형태로 외부로부터 섭취하게 되는데, 이러한 음료의 형태로 섭취되는 먹는 물이 우리의 건강을 좌우하게 된다는, 물은 많이 마실수록 건강에 좋고, 깨끗한 생수를 마시는 것이 건강의 비결이라는 말을 많이 듣게 된다. 또 환경오염으로 인한 식수의 오염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어 많은 사람들은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물, 생수 등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한국의 현실에서 1995. 5. 1. 부터 환경부의 "먹는물 관리법"이 새롭게 시행되기 시작하여 지금까지 사용되어오던 "광천음료수"가 "먹는샘물"이라는 용어로 변경이 되고 몇가지 품질규격에 있어 더욱 엄격하게 규제가 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새롭게 시작되는 "먹는물 관리법"의 "먹는샘물"의 정의와 먹는샘물의 미생물학적인 품질의 설명이 필요하고, 또 "먹는물", "먹는샘물"이 환경쪽에서만 다루어야 할 문제가 아니라 먹는 물은 항상 식품과 함께 취급되기 때문에 식품연구의 일환으로서도 취급되어져야 함을 강조하고자 이글을 쓰게 되었다.

  • PDF

Off-line recognition of Hanguls handprinted in sammool style with statistical feature extraction method (통계적 특징 추출 방법을 이용한 샘물체 필기 한글의 오프라인 인식)

  • Lee, Seong-Whan;Park, Jeong-Seo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2.10a
    • /
    • pp.237-248
    • /
    • 1992
  •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인 특징 추출 방법을 사용하여 샘물체로 필기된 한글을 고속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대부분이 직선 성분으로 이루어진 한글의 특성을 이응하기 위하여 입력 영상으로부터 수평, 수직, 사선, 역사선의 방향 성분을 추출하며, 검은 화소의 밀도에 따라 동적으로 그물을 결정함으로써 획 간의 접촉 변형에 무관한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이와 같은 통계적 특징 추출 방법은 크기 정규화나 세선화 과정이 필요없으며, 또한 샘물체라는 필기 형태의 제약에 의해 정합 대상 부류의 수가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에 인식에 소요되는 시간을 상당히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인식률을 향상시켰다. 제안된 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샘물체로 필기된 KS 완성형 한글 2,350자에 대해 실험한 결과, 평균 90% 이상의 인식률을 보이며, IBM PC 486(33MHz)상에서 문자당 평균 0.17초의 인식 속도를 보임으로써, 실용적인 고속 OCR 시스템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peculation on the Water Quality for the Natural Mineral Water (국내 먹는샘물의 특정 수질 항목에 대한 고찰)

  • 조병욱;이병대;이인호;추창오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2 no.4
    • /
    • pp.395-404
    • /
    • 2002
  • Contents of the specific components in the natural mineral water was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well depth and geology. According to water quality data during the last five years(1998~2002), the nitrate and fluoride concentrations, and pH averaged 0.89~ 1.09 mg/L, 0.37~0.45 mg/L, and 7.30~7.59, respectively. These values are the similar range to those of generalized groundwater having same well depths, implying that shallow groundwaters flow into the production wells. In general, no clear relationships between the water quality, well depth, and geology were found. The average arsenic concentration of the natural mineral water increased from 0.0024 mg/L in 1999 to 0.0066 mg/L in 2002. The percentage of production well with arsenic level higher than 0.001 mg/L also increased from 20.1% in 1999 to 64.9% in 2002. In 2002, 11 out of 57 production wells exceed 0.001 mg/L which will be announced as a new arsenic standard for drinking water by USEPA.

A Study on the Water Withdrawal Permit Rate and Monitoring Well Management of Bottled Water Manufacturers (먹는샘물 제조업체의 취수량 및 감시정 관리에 관한 고찰)

  • Son, Doo Gie;Park, Seunghyuk;Jeong, Gyo-Cheol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9 no.3
    • /
    • pp.329-337
    • /
    • 2019
  • Bottled water companies in Korea are required to conduct a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ir drinking water supply at least six months before the expiration of their five-year marketing and production license. The water level drawdown, production well water quality, and monitoring well observation results are the most important items that are evaluated in the assessment report. Here we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well drawdown and pumping capacity with pumping time from the production wells of bottled water manufacturers located in Cretaceous granite (site A) and Precambrian gneiss (site B). The method to reduce the pumping capacity is more effective in decreasing the drawdown than the method to simultaneously control the pumping and recovery times. Furthermore, the monitoring data from the pH monitoring sensors that were installed in Precambrian gneiss (site C) yield pH values that increase with time and eventually plateau at a certain value. We therefore propose that pH monitoring is either discontinued or improved to provide more reliable and usable results.

Quantitation of Phthalate and Adipate in Natural Mineral Water and PET Container (먹는 샘물 및 PET 용기 중 Phthalate와 Adipate의 정량분석)

  • Shin, Ueon-Sang;Ahn, Hye-Sil;Shin, Ho-Sa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15 no.5
    • /
    • pp.475-481
    • /
    • 2002
  • The determination of phthalates and adipate in natural mineral water and its container is described. Phthalates and adipate were extracted from natural mineral water by liquid-liquid extraction with methylene chloride, concentrated and then injected in GC-MS (SIM). Phthalates and adipate from 1) PET, cap, label and glue were extracted in Soxhlet with 50 mL of carbon tetrachloride, purified with silicagel and detected with GC-MS (SIM). Peak shapes and quantitation of phthalates and adipate were excellent, with linear calibration curves over a range of $0.1{\sim}10{\mu}g/L$ in water sample ($r^2$ > 0.996) and over a range of $1{\sim}1,000{\mu}g/Kg$ in solid samples ($r^2$>0.994). The detection limits of analytes were $0.002{\sim}0.010{\mu}g/L$ in water and $0.01{\sim}0.02{\mu}g/Kg$ in solid samples. Five kinds of natural mineral water samples, two PETs, two labels, two caps and two glues were quantified by the described procedure. As a results,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hthalates in natural mineral water ranged from ND ~ 1.2 ng/mL. Otherwise,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hthalate extracted from PET ranged from 0.55 ~ 1.2 mg/Kg. We found that the accurate determination of phthalte and adipate in natural mineral water and container must be considered blank correction and the removal of label and glue in PET sample.

Determination of bromide in bottled mineral water and ground water in Korea (먹는 샘물 및 지하수 원수 중 bromide 분석연구)

  • Ahn, Hye-Sil;Seo, Kyoung-Ae;Park, Ju-Hyun;Lee, Jun-Bae;Kim, Tae-Seung;Han, Jin-Seok;Kwon, Oh-Sang
    •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24 no.1
    • /
    • pp.10-14
    • /
    • 201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international analytical methods of bromide and applied to determine bromide in bottled mineral water and raw ground water in Korea. Bromide in water was eluted by 10~50 mM potassium hydroxide (KOH) and determined by ion chromatography-suppressed conductivity detector (IC-CD). Sample was purified with Ba- and H-on-guard cartridge and $0.2\;{\mu}m$ membrane filter. The method detection limit (MDL) and the limit of quantitation (LOQ) of bromide were 0.2 and $0.5\;{\mu}g/L$, respectively. The calibration curve showed good lineality above 0.9993 in the ranges of the $0.5\sim80\;{\mu}g/L$.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bromide in ground water and sum of bromide and bromate in bottled mineral water is 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