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황학습이론

Search Result 23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Use of the ARCS Motivation Model in Mobile Learning Apps Design (ARCS 동기 이론을 적용한 학습용 모바일 앱 설계 연구)

  • Kim, Eui-Ho;Yang, Hae-Soo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4
    • /
    • pp.69-79
    • /
    • 2015
  • As the distribution rate of a smart phone which can actualize even augmented reality is getting higher, the application scope of a smart phone is sharply increasing. However, in spite of various functions of it, there is still lack of learning app. Mobile equipments can bring no spatial-temporal restriction of learning to a learner, but they can tempt a learner into inappropriate spaces. In this sense, learning app is necessarily needed to motivate and keep learner's inner desire. This thesis suggested considerations when learning mobile app is designed by analyzing motivation strategy of ARCS Theory and UI of web based contents. Also, a design method of mobile learning app was suggested based on a procedural model of mobile learning app adapting ARCS Theory.

Development of Children's Disaster Safety Education Application according to Situational Learning Theory - Fo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상황학습이론에 따른 아동 재난안전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초등학생 저학년을 대상으로)

  • Gi-Rim Park;Hye-Jeong Ryu;Seong-Yong Ohm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3
    • /
    • pp.811-816
    • /
    • 2023
  • With the emergence of a climate crisis, climate disasters have recently been clearly felt in Korea. In particular, the typhoon 'Hinnamno' in the summer of 2022 made many people feel a sense of crisis with its formidable power. In this situation, children are likely to suffer great damage even in small crises due to their lack of experience and ability to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In this paper, we introduce a disaster response learning application that supports children's disaster response training. Designed based on research results on situational learning theory and child disaster safety education, this system produces various episodes and trains them to encounter disaster situations. Children can participate in the episode by choosing options during the episode, which is reflected in the picture diary after the episode is completed. By providing information naturally in the picture diary, children can access how to cope with disaster situations. Through this system, children are expected to develop their judgment in disaster situations that they can encounter and have the ability to secure basic safety outside of adult help.

Design of a Mobile Anchor Program based on M-ARCS Model for Learning Disorder Students' Concentration (학습 장애학생의 주의집중을 위한 M-ARCS모형 기반 모바일 앵커 프로그램 설계)

  • Kim, Chul-Ho;Jun, Woo-Ch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1a
    • /
    • pp.57-63
    • /
    • 2010
  • 학생들의 기초 기본학습 능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교육상황에 비추어 볼 때 지금까지 간과되어 왔던 학습장애에 대한 재인식과 학습 장애학생들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그 대책으로 기존의 keller의 동기유발학습이론인 ARCS모델을 변형하여 정착수업이론의 앵커라는 자발적 인지학습을 위한 매개체를 도입하여 변형된 M-ARCS이론을 토대로 학습 장애학생들의 동기유발 및 학습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모바일 앵커 프로그램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ARCS이론에서 강조하던 학생들의 주의집중, 관련성, 성취감, 자신감이라는 항목을 통해 학습 장애 학생들에게 기존의 교육방법과 다른 동기유발을 통한 성공이라는 경험을 준다. 둘째, 정착수업모델의 앵커를 적용하여 학생들이 실제생활과 관련된 지식들을 배우고, 적용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유의미한 지식을 생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기존의 앵커형태와 다른 모바일 앵커를 적용함으로써 실제 활동하며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도입하여 학습 장애 학생들에게 주의집중 및 동기유발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최종적으로 학습 장애 학생들의 학업능력 향상을 도모한다.

  • PDF

A Study on Pedagogical Elements of Serious Game (기능성 게임의 교육학 요소에 관한 연구)

  • Ha, Soo-Cheol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8
    • /
    • pp.1677-1684
    • /
    • 2017
  • In this paper, we tried to combine the findings obtained from pedagogical analysis of serious game, which is a study of Soo-Cheol Ha [2, 3], and learning theories such as behaviorism, cognitivism, constructivism, situated learning, and other theorie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e propose pedagogical elements of serious games based on theories and researches from models and other studies using learning theory. The suggested elements were applied on GSS(Global Startup Simulation), which is a serious game, and the results were confirmed through questionnaire evaluation of learners who are learning through it.

유아기 수학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연구

  • Hwang, Jeong-Suk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3 no.1
    • /
    • pp.107-127
    • /
    • 2002
  • 본 연구는 유아기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기초 이론과 수학교육에서의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제안들을 근거로 유아에게 적절하고도 효과적인 수학 교수-학습 방법은 무엇인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과 교수-학습을 위한 기타 제안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으로 나누어 그 이론적 기초와 구체적인 적용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다. 구성주의에 근거한 상호적 접근은 Piaget와 Vygotsky의 견해와 인지적 도제모형, 상황적 교수 모형, 그리고 인지적 유연성 이론의 세 가지를 포함하였고, 기타 제안들에는 NCTM, NAEYC, Schweinhart Perlmutter, Bloom & Burrell, 그리고 Althouse의 견해를 포함하였다. 그리고 활동중심의 통합적 접근은 수학적 개념 중심의 활동 통합교육과 활동 중심의 수학 통합교육으로 나누어 Web을 구성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알아보았다.

  • PDF

van Hiele의 이론에 의한 국민학교 기하도형 학습의 분석연구

  • 서성보
    • The Mathematical Education
    • /
    • v.34 no.2
    • /
    • pp.141-202
    • /
    • 1995
  • van Hiele의 사고수준 이론에는 기초수존, 제1수준, 제2수준, 제3수준, 제4수준 등 5가지가 있고, 이 중에서 국민학교에 해당되는 것은 기초수준 (1학년), 제1수준(2, 3학년), 제2주순 (4, 5, 6학년) 등 세 가지 뿐이다. 그리고 기하학적의 구조 인식론에는 관제, 구성, 정의, 공리, 정리, 증명, 척도, 자호, 응용 등 9가지 단계가 있고, 이 9가지 단계를 기초수준, 제 1수준, 제 2수준의 각 수준에 대응시켜서 거기에 해당되는 기하도형 학습을 연구·분석하였다. 기하도형에 관한 학습은 주로 경험성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보기문제를 제시하여 그 흐름을 해결함으로써 각 수준의 각 단계들을 스스로 인식하도록 하였다. 특히 여기에서 처음으로 등장하는 기하학의 구조 인식론이라는 것은 위에서 언급한 9가지 단계를 차례로 거쳐 가야만 아동들은 도형을 올바르게 빠짐없이 인식할 수 있다는 이론이다. 이 이론의 특징을 예를 하나 들어서 설명해 보면, 흔히들 정의를 단순히 무정의어와 정의어로 구분하고 있는데 반하여, 이 이론에서는 서로 역동적인 관계를 갖고 있는 기초정의, 상황정의, 포괄정의, 기본정의, 부수정의, 특수정의 등으로 나누었다는 점이다.

  • PDF

Development of Web Courseware for Enhancing Student Motivation i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학습 동기 증진을 위한 과학과 웹 코스웨어의 개발)

  • Yeo, Hyun-Joo;Lee, Mi-Wha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331-339
    • /
    • 2004
  •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웹 코스웨어에서 학습동기 극대화로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학습 동기 유발 전략을 적용한 코스웨어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학습동기에 대한 제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웹 코스웨어에 적합한 동기전략으로 재구성하여 적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단원은 초등학교 과학교과의 '물체의 속력'으로 교실의 제한된 상황을 극복하도록 많은 가상 실험실을 제공하며, 학습자와의 상호작용을 극대화하고, 실제 생활에서 찾아볼 수 있는 많은 상황들을 가상 체험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교과 학습에의 학습동기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코스웨어는 물체의 빠르기 비교, 속력, 여러 가지 속력 비교, 물체의 속력과 안전등의 기본 학습내용과 심화, 평가, 게시판, 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 방안과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 PDF

An Exploratory Study For Online Game-Based Learning Theory (온라인 게임과 학습과의 관련성 분석 연구)

  • Jo, Il-Hyu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7 no.1
    • /
    • pp.59-68
    • /
    • 2007
  • Online games are getting more popular among today's fun-seeking young students. The immersive power of these Internet-based games is so strong that many educators consider the integration of the games and learning to enhance learner motivation. However, the online games, which are primarily aiming g for 'fun', have cognitive, emotional, and social features and impact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so-called 'educational' games. Therefor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online game in regard to its impact on learning and fun should be essential.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will analyze relevant literature and theories from cognitive psychology, media and communication theory, and Ludology to grasp holistic understanding of online game phenomena, which will serve as basis of further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is emerging area.

  • PDF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the Education of Information-Communication Technology By GBS (GBS이론을 이용한 정보통신기술교육 교수.학습모형 개발)

  • Lee, Soon-Ho;Kim, Young-Gi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8a
    • /
    • pp.240-245
    • /
    • 2007
  • 하루가 다르게 우리 사회의 모습은 정보화, 디지털화 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정보통신기술교육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단순히 기능을 가르치는 교육에서 문제해결력을 기르는 방향으로 변하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기술교육의 변화를 반영하기 위해서는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교수 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교육방법론의 하나로 학습자에게 행함에 의한 학습(learning-by-doing)이 이루어지는 모의 상황을 통해 학습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목표기반 시나리오학습(Goal-Based Scenario : GBS) 이론을 초등학교 정보통신기술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즉, 교육현장에서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적용할 GBS 교수 학습 모형에 대한 연구로 체계적인 정보통신기술교육의 정착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의의를 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