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황적 민족성

Search Result 70,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Ethnic Conflicts of the Have-nots: Emergent Hispanic Ethnicity (미국 빈민층 민족집단간의 갈등: 남미계 이민집단의 등장을 중심으로)

  • Kwon, Sang-Cheol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1 no.4
    • /
    • pp.672-684
    • /
    • 1996
  • This paper explores the inter-ethnic conflicts between Blocks and Hispanics focusing on the emergent Hispanic ethnictity that reveals situational character in the US contexts. In the US census categories, major groups are indetified by race and ethnicity in which the Hispanic orgin is a category based on their common language while diverse in nationality. The census defined Hispanic category extends conveniently to acquiesce Affirmative Action and other government resource distribution. Internally, Hispanics have established numerous organizations to coalesce and assure their interests. The achieved dual language program and jurisdictional revision to represent language minority work as leverages to their cohesiveness. Under diminishing public resources and welfare payment, it is more difficult sharing burdens than benefits between minority groups. Block are not comfortable with the benefits Hispanics receive form the civil rights achievement without having had to struggle for it. The ethnic conflicts of the have-nots have become a new ethnic phenomenon attributable to the emergent Hispanic ethnicity.

  • PDF

민족 수학의 뿌리

  • Park, Yong-Beom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12
    • /
    • pp.377-386
    • /
    • 2001
  • 역사의 시작은 어디인지 아득하지만 일반적으로 문헌을 통한 과학적인 신뢰성을 갖게 되는 실질적인 방법이 원칙이다. 하지만 이런 연구가 거의 전무한 우리 수학의 뿌리에 대한 연구는 문헌 연구가 그 기반을 이룰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우리 역사의 뿌리를 수학적 관점에서 한 분야로서 여러 기존의 문헌을 중심으로 특히 사학 연구를 활용하여 수학의 뿌리를 찾으려고 하며, 민족 신화(단군신화) 이전의 경전인 천부경(天符經)의 사상을 기초로 한 동양 사상과 철학의 배경으로 그 위상을 세우고자 한다. 결코 우리 민족의 우수성과 고난의 시절에서 많은 상황적 변화로서 와전되어 있는 부분도 있지만 이를 해석한 여러 문헌을 논리적으로 체계화하려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주로 신라 시대의 석학인 최치원 선생에 의해 천부경 81자의 한자로 구성되어 해석한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특히 한민족의 언어가 아닌 한자로 우리의 언어와 사상이 기록되어 있고, 이 민족의 침입으로 인한 민족 문화의 말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에 어려움을 인식하고 연구가 수행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 민족 수학의 뿌리를 찾아 민족의 수학사를 인식하는 계기를 주고, 자주적인 민족 정서의 수학 교육에 첫 걸음을 내딛는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이 있다.

  • PDF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Modern Burmese Prose as the Standard Language and Nation-Building in British Burma (식민시기 버마어 산문의 대중화와 버마 민족 형성의 상관성)

  • Myo, Oo
    • The Southeast Asian review
    • /
    • v.22 no.2
    • /
    • pp.239-267
    • /
    • 2012
  • 이 논문은 근대 민족국가 형성과 민족 공용어의 창출의 상관성을 염두에 두고 식민지기 버마에서 버마어가 어떠한 정치적, 사회적 환경 하에서 어떻게 공용어의 지위를 획득해나갔는지에 대해 주로 버마어 산문의 대중화라는 각도에서 분석한 것이다. 베네딕트 앤더슨의 연구가 시사하는 것처럼 근대적 인쇄매체의 출현과 더불어 근대 버마어의 등장 및 대중화는 버마의 근대적 민족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영국-버마 전쟁 종결 후, 정치, 사회, 경제적 상황 변화와 함께 인쇄산업의 발달과 더불어 버마어는 대중매체에서 공용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해갔다. 식민시기에 버마 내 여러 지역에 어학원이 설립되었고 버마인이 어학교육 담당자로 고용되었다. 1930년대 초반에 근대 버마어 산문이 많은 저자들에 의해 집필되었으며, 1930년대 후반에 들어서서 독자들 사이에서 널리 읽히는 호황을 누렸다. 일본군 점령 후에는 일본군 당국의 허가 하에 버마어는 제2차 세계대전 중에 공식적 언어로서 인정되었다. 이러한 바탕 위에 근대 버마어는 1947년 헌법에 버마의 공식 언어로 명기되었다. 이러한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논문에서는 버마어가 식민지기에 표준어로서의 지위를 획득하고 그 버마어로 작성된 근대 버마어 산문의 사용이 버마의 민족 형성과정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한복 교재 분석을 통한 성인 여자 저고리의 패턴제작에 대한 소고

  • 이영혜;강순제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3.05a
    • /
    • pp.33-33
    • /
    • 2003
  • 우리 민족의 고유 의복인 한복은 민족의 의생활 정서를 그대로 담아낸 우리의 전통 복식으로서 오랜 역사성을 가지고 있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일상복이라기보다 예복 및 행사용 의복으로 입혀지고 있다. 이처럼 한복이 우리 일상생활에서 착용 빈도가 줄기는 하였으나 과거 경험과 눈대중에 의했던 한복제작에도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방법제시가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듯, 실제로 한복구성을 위해 출간된 교재들은 최근까지 수십 종에 이르고 있으며, 이론과 실습을 겸한 패턴 제시와 함께 자세한 바느질 방법까지 설명되어 있어, 우리 옷의 구성에 문외한이던 학생들에게도 좋은 안내서가 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 PDF

Mythical Symbolism through Meaning Action of Roland Barthes -Focus on Image Relationship of Silla Myth and Jeju Myth (롤랑 바르트 의미작용을 통한 우리나라 신화 상징체계 연구 -고대 신라신화와 제주신화의 이미지 관계성 중심으로)

  • Kang, Younsi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82-94
    • /
    • 2020
  • Im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ymbolic system as they are connected with imagination through the association of language. Through history, we know that Korean people have been a people of strong spiritual unity and unity for thousands of years. I tried to study how the Korean people's unified mental symbol system was utilized and accomplished through mythological images. Our people are recognized as a people of white clothes because they are connected with white clothes, and modifiers such as the country of the east where the sun does not go down are connected with the sun. The Korean people have been handed down according to the times, such as the son of the sky, the Hongik man, the birch tree and the Gyerim of Silla, as a symbol of the myth of Gojoseon, and do not know when it became a country that loved the sun and whether brightness became a symbol. In relation to the spiritual symbolic system of our nation, the mythical image of Jeju musindo embedded in the shamanist ideology was reinterpreted through the meaning of Roland Bart to provide a basis for the study of the spiritual symbolic system of our nation.

The Myth of Huang-ti(the Yellow Emperor) and the Construction of Chinese Nationhood in Late Qing(淸) ("나의 피 헌원(軒轅)에 바치리라" - 황제신화(黃帝神話)와 청말(淸末) '네이션(민족)' 구조의 확립 -)

  • Shen, Sung-chaio;Jo, U-Yeon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27
    • /
    • pp.267-361
    • /
    • 2008
  • This article traces how the modern Chinese "nation" was constructed as an "imagined community" around Huang-ti (the Yellow Emperor) in late Qing. Huang-ti was a legendary figure in ancient China and the imperial courts monopolized the worship of him. Many late Qing intellectuals appropriated this symbolic figure and, through a set of discursive strategies of "framing, voice and narrative structure," transformed him into a privileged symbol for modern Chinese national identity. What Huang-ti could offer was, however, no more than a "public face" for the imagined new national community, or in other words, a formal structure without substantial contents. No consensus appeared on whom the Chinese nation should include and where the Chinese nation should draw its boundaries. The anti-Manchu revolutionaries emphasized the primordial attachment of blood and considered modern China an exclusive community of Huang-ti's descent. The constitutional reformers sought to stretch the boundaries to include the ethnic groups other than the Han. Some minority intellectuals, particularly the Manchu ones, re-constructed the historic memory of their ethnic origin around Huang-ti. The quarrels among intellectuals of different political persuasion testify how Huang-ti as the most powerful cultural symbol became a site for contests and negotiations in the late Qing process of national construction.

'Colonial Public-nes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Forced Occupation ('식민지적 공공설'과 8.15 해방 공간)

  • Won, Yong-Ji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47
    • /
    • pp.50-73
    • /
    • 2009
  • A tendency to ignore the existence of public space in Ko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ems to be driven from nationalist historiography in which all historical events under the colonial power have to be interpreted in terms of militant controls and resistances against them. Historical approach to mass media of that period has lasted to be saturated with the tendency and forced history students to stick to the nationalist guidelines. Struggles against Japanese imperial power by national-capital-operated newspaper have been a main menu of studies on the period's communication. The media were often hailed as fighting the colonial power for nation's independence. The present thesis aims to criticize the nationalist point of view and to reveal that nationalist interpretations may miss a variety of historical information. Even under the severe surveillance of colonial police some journalists tried either to inform officially or to smuggle into informed groups. The colonized society could experienced fields of public-ness throughout the practices of such as media fields, cultural fields, political fields. Those fields, of course, didn't come from the graceful favor of the colonial power but from the construction of the colonized. The public-ness seemed to be born for the easiness of control, but became later a constructed field of public-ness with which the colonized semiotically wrestled the power and grew a modern type of political (un)consciousness. Depicting what happened just before 815 liberation day in Korea the present paper showed that the less nationalist historiography can render help to those seeking political practices of the colonized in a micro-level.

  • PDF

Population Movement of Korean Chinese and Its Impacts on Their Communities: A Case Study (중국 조선족 대이동과 공동체의 변화- 현지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 Kwon, Tai-Hwan;Park, Kwang-Sung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61-89
    • /
    • 2004
  • 1990년 이후 중국 조선족 사회는 급격한 변화의 소용돌이에 휩싸여있다. 그 핵심에는 조선족 공동체의 총체적인 재구조화가 자리하고 있다. 조선족 집거지로부터 대규모의 이촌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동북3성에 집중되어 있던 조선족은 전 중국으로 흩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선족의 이동은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현상으로 이해되는 경향이 있다. 이 연구는 바로 인구이동이 조선족 사회와 공동체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그리고 영향은 이동의 기원지인 농촌과 다양한 목표지의 현황과 조건, 이를 둘러싼 사회경제적 상황을 중심으로 다룬다. 이를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필요한 자료는 선택된 마을의 방문과 현지에서의 심층면접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조선족의 대규모, 원거리 이동이 조선족 공동체의 해체를 뜻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을 명백히 보여준다. 인구유출로 도시 또는 조선족 중심지에서 떨어진 농촌 마을에서 공동체의 해체는 빠른 속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조선족은 새로운 목표지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집중현상을 보인다. 한마디로 조선족의 이동은 조선족 사회의 도시화의 경향과 함께, 보다 넓은 지역으로의 공동체의 분산과 공동체내에서의 높은 민족 집중성을 특징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조선족 도시 공동체는 거주지역의 격리보다는 민족성을 기초로 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강조를 특징으로 한다.

Originating Mobility Service Brand Baedal Minjok (배달의민족과 모빌리티 서비스 브랜드의 오리지네이션)

  • Dongpyo Hong;Jae-Youl L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5 no.4
    • /
    • pp.641-656
    • /
    • 2022
  • This article investigates how Baedal Minjok(BaeMin) has grown to be a dominant mobility platform operator in food delivery sector in South Korea and what roles its brand and branding have played in the process, drawing on the idea of origination. For the purpose, BaeMin is considered as a typical platformized mobility service provider and origination is framed to be an appropriate analytical lens for the business sector. For the origination conception, unlike mainstream neoclassical theory and concepts, is able to deal fairly well with the issues of imperfect competition, imperfect information, and monopolistic brand rent, which are apparent in today's platformized mobility services. Drawing evidence from textual data, empirical analysis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discursive and symbolic dimensions of BaeMin's socio-spatial biography. It is found that national origination underpinning ethnicity comprises an important pillar of BaeMin's brand and branding. Another form of place-based origination is also observed to matter, especially in the varied relation between the mobility service brand's owner and consumers. However, this configuration of BaeMin's brand origination has yet to be fully stabilized, as it has faced with serious challenges including brand vandalism and anti-brand movement especially since its merger to German food delivery platform giant Delivery Hero in 2020. This origination crisis moment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a series of contractions intrinsic to so-called 'platform capitalism'.

한정된 자원 극복할 차세대 태양에너지

  • 전국보일러설비협회
    • 보일러설비
    • /
    • s.50
    • /
    • pp.56-64
    • /
    • 1998
  • 1970년대 초 석유파동과 자원 민족주의의 대두와 더불어 지구상의 석유매장량의 한계성이 더욱 더 인식되었고, 석탄자원도 가용성이 오래 지속되지는 못할 것으로 알려져 에너지의 안전성이 세계각국의 중대한 과제로 등장할 때 제2차 석유위기가 도래하였다. 따라서 인류의 생존을 위한 에너지원은 태양에너지와 원자력 에너지로 귀착되었고, 또한 원자력에너지의 문제점과 한계상황으로 인해 태양에너지의 이용이야말로 무한량, 무공해라는 점에서 인류의 영원한 생존을 위한 에너지원으로 등장하였다. 범국민적인 에너지 소비절약운동을 전개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앞으로 에너지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이고, 에너지 절약은 우리가 숙명적으로 극복해야할 중요과제로 남아있어, 본지에서는 효과적인 에너지절약 방법의 하나로 등장한 태양열 에너지에 대해 몇회에 걸쳐 알아보도록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