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상호 연계

Search Result 1,34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Research of Development Methodology for Defense Web Service Framework (국방 웹서비스 프레임워크 개발방안 연구)

  • 황상규;이경호;권혁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88-90
    • /
    • 2004
  • 현재 우리군은 900럴개의 크고 작은 정보체계가 각기 독립적(stand-alone)으로 운영되는 연통형정보체계로 단위 정보체계 각각은 효과적으로 운영되지만 정보체계 간 상호연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상호연동문제 해결방안 중 하나로 이기종 시스템 간 상호운영 표준기술로 웹서비스의 도입방안을 연구하였다. 민간분야의 웹서비스 추진전략은 국방도메인이 요구하는 웹서비스 추진전략과는 서로 상충되는 면이 존재한다. 이에 국방분야의 특수성을 고려한 웹서비스 신기술을 도입 시, 표준화되고 빠르고 안정적인 국방 웹서비스 프로젝트진행을 위한 기반환경구축을 목표로 국방 웹서비스 프레임워크 모델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 PDF

수학 개념의 자기 주도적 구성을 위한 교수 ${\cdot}$ 학습 모델 개발 - Cabri Geometry II와 MathView 활용을 중심으로 -

  • Park, Yong-Beom;Kim, Han-Hui;Park, Il-Yeong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v.9
    • /
    • pp.97-114
    • /
    • 1999
  • 새로운 세기의 수학 교육은 직관과 조작 활동에 바탕을 둔 경험에서 수학적 형식, 관계, 개념, 원리 및 법칙 등을 이해하도록 지도되어야 한다. 즉 학생들의 내면 세계에서 적절한 경험을 통하여 시각적 ${\cdot}$ 직관적으로 수학적 개념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상황과 대상을 제공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컴퓨터 응용 프로그램을 활용한 자기주도적 수학 개념 형성에 적합한 교수 ${\cdot}$ 학습 모델을 구안하여 보았다. 이는 수학의 필요성과 실용성 인식 및 자기주도적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상호작용적 매체의 활용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수학 교수 ${\cdot}$ 학습 이론을 근간으로 대수 ${\cdot}$ 해석 ${\cdot}$ 기하 및 스프레트시트의 상호 연계를 통하여 수학 지식을 재구성할 수 있도록 학습수행지를 제작하여 교사와 학생의 다원적 상호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자 한다.

  • PDF

Analysis of robotics platform as communication model and component interoperability (로보틱스 미들웨어 플랫폼의 통신 모델과 컴포넌트 상호 운영성 분석)

  • Ku, Yong-Ki;Kwon, Soon-Bum;Shin, D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3-107
    • /
    • 2010
  • 사람, 컴퓨터, 그리고 사물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다양하고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컴퓨팅 기술에 대한 연구들이 진행됨에 따라 지능형 로봇 시스템 환경은 분산 환경과 웹이 융합된 새로운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로봇산업에 적용하기 위해 다양한 연구기관의 개발자들은 이를 지원할 수 있는 로봇 미들웨어 플랫폼의 개발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개발되어진 플랫폼은 통신 오버헤드, 컴포넌트 모델 부재, 통신구조 등 다양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부적합한 통신 모델과 상호작용 패턴을 고려하지 않아 파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로봇 미들웨어 플랫폼의 통신 구조를 "통신 모델"과 "상호작용 패턴"을 분석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한 결과를 기반으로 로봇 미들웨어 플랫폼의 향후 방향을 제시한다.

  • PDF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of Climate Change Using Meta Model (메타모델을 활용한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

  • Yu, Myungsu;Song, Ye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0-410
    • /
    • 2019
  • 기후변화는 전 지구적인 환경문제 중 하나이며 IPCC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4차 평가보고서에서는 인류가 직면한 최대 위협이라고 하였다. 또한, IPCC는 현재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은 명백히 나타나고 있으며 향후 기후변화에 의한 기상이변 예측과 적응 정책 및 조치가 중요하다고 권고하였다. 적응 정책 및 조치를 위한 기후변화의 영향분석은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진행하고 있으나 개별 및 분류의 선형의 순차적 관계에 따라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기후변화는 자연생태계와 인간 활동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하기에 개별적 연구 보다는 타 부문의 영향 및 결과가 환류되고 반영되어야 한다. 따라서 기후변화 영향평가는 농업, 물, 산림, 생태, 건강 등 다양한 부문 내/간 상호작용을 고려할 수 있는 통합 평가 방법이 필요하다. 통합 평가를 위해 플랫폼 개발은 필수적이며, 신속한 분석을 위해서는 개별 부문의 상세모델을 모방한 메타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통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메타모델을 개발하고, 상호 연결을 통해 다양한 연계양상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e of Smart Grid Platform (스마트그리드 플랫폼 아키텍처에 관한 연구)

  • Oh, Do-Eun;Choi, Seung-Hwan;Yang, Il-Kw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12.04a
    • /
    • pp.934-937
    • /
    • 2012
  • 발전에서 송배전 및 소비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설비 및 기기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되고, 모든 과정이 실시간으로 운영되는 전력시스템은 지금까지 각 운영시스템별 독자적인 필요에 의해 상이한 플랫폼으로 개발되고 운영되어 왔기 때문에, 시스템 상호간 연계와 원활한 정보교환을 통한 전체 전력시스템 차원의 최적화를 이루는 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전력시스템은 스마트그리드로의 전환을 위해 각 시스템별 독립적 필요에 의한 부문별 자동화가 아닌 정보의 통합화, 제어의 분산화 그리고 기능의 상호운용성을 통해 전력시스템이 하나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서 동작하는 체계를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전력운영시스템 상호간 정보교환과 전력시스템 전 영역에 걸쳐 발생되는 데이터의 활용 및 새로운 전력 어플리케이션의 Plug & Play 통합을 위한 스마트그리드 플랫폼 아키텍처에 대하여 기술한다.

A New Model for Connecting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Knowledge Activities - Linking Research-Technology-Industry and Research-Major-Job - (지식활동의 관계식별을 위한 연계형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 연구-기술-산업과 연구-전공-취업 연계 -)

  • Seol, Sung-Soo;Song, Choong-Han;Nho, Hwan-Jin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0 no.3
    • /
    • pp.531-554
    • /
    • 2007
  • This paper suggests a new model connecting various knowledge activities through classification systems such as classifications of research, technology, industry, major and job. Although research activities are linked to technology and industry areas or to education and job areas, there is no effort to link these kinds of activities. There are a few studies to link research and technology or research and education respectively. But, there have been no studies to connect technology-industry linkage and education-job linkage. This paper suggests that research area can be a basis of link between technology-industry linkage and education-job linkage. The methods building the links are not simple, but easy; 1) setting up new science/research classification system having two dimensions of research and application, 2) building electronic systems and databases allowing fields for several classification systems, and 3) making rules using multi-dimensional classification systems following the purpose of the programs. The model is designed to meet the needs of nationwide R&D and human resources policies, and for the preparation of knowledge society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sequential activities using knowledge. If we know the interactive relationships between various areas, we can trace related phenomena in different activities with restricted information.

  • PDF

Evaluation of Stream Water Quantity and Quality Behavior by Weir operation in Nakdong River Basin using SWAT (SWAT을 이용한 낙동강유역의 보 개방에 따른 하천 수량·수질 거동 분석)

  • Lee, Ji Wan;Lee, Yong Gwan;Woo, So Young;Jang, Won Ji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44
    • /
    • 2018
  • 조류(녹조)발생과 대응 연차보고서(2016)에 따르면, 낙동강 유역의 녹조현상은 2013년부터 해마다 발생했으며 국가적으로 가장 극심한 가뭄을 겪은 2015년의 경우 최장 161일 동안 지속되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녹조대응을 위해 환경부 국토부 등 관계기관은 댐 보 연계운영협의회 등을 통해 2016년 8월부터 낙동강 일부 댐 및 보에 대해 부분 방류를 실시하였다. 댐-보 연계운영에 따른 수문 수질 거동 분석은 국가 유역관리 측면에서 우선적으로 대비해야 할 중요한 문제이나, 댐보 연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정확한 분석과 평가에 대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뤄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2,369km^2$)을 대상으로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지표수와 지하수의 상호작용에 의한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고, 수질(SS, T-N, T-P)을 모의하였다. SWAT 모형 구축을 위해 낙동강유역을 표준유역 단위로 구분하고, 기상자료, 다목적댐(안동댐, 임하댐, 합천댐, 남감댐, 밀양댐)과 다기능보(상주보, 구미보, 칠곡보, 강정보, 달성보, 합천보, 함안보) 운영자료, 국가지하수정보센터에서 관측 및 관리하고 있는 지하수위 관측자료, 국가수질측정망 하천수 수질 측정자료를 수집하였다. SWAT 모형의 신뢰성있는 수문 및 수질 보정을 위해 낙동강유역 내 위치하는 다목적댐 및 다기능보의 실측 방류량을 이용하여 댐 운영모의를 고려하였고, 지하수위, 토양수분 및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의 시공간적 보정(2005~2009)과 검증(2010~2017)을 실시하였다. 댐-보 연계운영 평가를 위해 환경부에서 제시한 4개의 연계운영 시나리오 중 3개의 시나리오((1) 댐+보 동시방류+제약수위 유지, (2) 보 동시방류+제약수위 유지, (3) 보 순차방류+제약수위 유지)를 선택하여 모의하였으며,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수질 거동을 분석하였다.

  • PDF

Operation Rule of Multi Hydropower Reservoirs in Tandem Configuration with Application of Resilience (회복탄력성을 적용한 직렬배치의 발전용댐 연계운영방안 제시)

  • Kim, Dong Hyun;Bang, Young Jun;Jung, Hyo Jun;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8-8
    • /
    • 2021
  • 2020년 6월 발전용댐의 다목적활용 선포로 국내 발전용댐은 발전에 제한되었던 기능이 홍수조절, 용수공급, 환경개선 등으로 확장되었다. 특히 북한강 수계에는 화천댐부터 팔당댐까지 5개의 발전용댐이 직렬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능에 따른 통합연계운영은 해당 수계 내 수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높여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발전용댐의 주요 목적인 발전과 부가 목적인 홍수조절 및 용수공급은 수자원 활용 측면에서 상반된 운영을 수행해야 하므로 효율성 측면에서 세심한 운영이 필요하다. 국내에는 과거 발전용댐의 운영과 관련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회복탄력성 개념을 도입하여 단일 발전용댐에 대한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Kim et al., 2020). 그러나 발전가능수위의 회복력으로 정의된 발전용댐의 회복탄력성은 직렬 배치되어 있을 경우 상·하류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상·하류의 방류상황에 따라 단일 댐 혹은 수계 내 존재하는 발전용댐의 발전기능, 이수기능, 치수기능은 상호간섭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 개념을 직렬배치된 발전용댐에 적용하여 댐 연계운영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과거 유입량 자료를 활용하여 발전용댐 연계 모의운영을 수행하였고, 그 결과로 수계 내 발전용댐 전체의 회복탄력성, 발전량, 홍수위험일수, 무효방류량 등을 평가하였다. 또한 단일 댐 운영과 비교하여 연계운영 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향후 병렬배치의 댐 운영과 경제성 평가분석이 이뤄진다면 국내 한강수계 실정에 맞는 발전용댐 최적 운영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enomenal Transparency of the spatial Interrelation in the Architecture of the Moonru Multi roofs - Focused on Interrelation between Seo Won gate-house and temple gate-house in the Architecture entities of the Moonru Multi roofs - (현상적 투명성의 개념을 통한 문루건축 공간의 상호 연계성 연구 - 사찰.서원 중층문루 건축 개체간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 Ryu, In-Hye;Park, Jin-A;An, Eun-Hee;Choi, Kyung-Ran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20 no.4
    • /
    • pp.74-82
    • /
    • 2011
  • All the phenomena and subjects of nature and society are within correlation interconnection, and they are inseparably connected one another. The elements of this interaction can be found out through the concept of transparency in the space composition of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access space, in other words, a gate-house that is a buffer zone playing a process role up to the main space among successive spaces. It was chosen to be the subject of the study since it strengthens convergence into the main building and with the effect connecting spaces, it could show well the spatial possibility of transparency. Besid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limited to the Moonru Multi roofs that improves the functionality of spaces between gate-houses, and it is intended to progress contents by comparative analysis of two kinds such as Seo Won gate-house and temple gate-house.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places emphasis on harmony within the whole spaces. There are intimate relations between surrounding environment, external spaces and internal spaces, and it is important understand the spatial relations according to the shape appearing through interactions of parts in the whole spaces. In conclusion, the Moonru Multi roofs is analyzed with the method of extracting the concept that is contained in the frame of analysis and through ecological views through a visible and structural method. It can be understood what kinds of method for communication were used for ancestors to recognize and use spaces with the deduced concep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Moonru Multi roofs with different character.

U-City Service Space Realization Strategies in Digital Convergence Era (디지털융합시대의 U-City서비스 공간화 방안)

  • Cho, Chun-Man;Chung, Moon-Sub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8 no.2
    • /
    • pp.77-88
    • /
    • 2010
  • It is possible to evaluate hi-tech spatial services such as U-City services as part of the visible results from more than 10 years of public efforts and budgets on Korea National Digitalization. The U-City services are mainly based on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but in the aspect of giving intelligence to the existing physical space, in principle, they are to be inter-connected with both spatial information and spatial plan. But, still there are few shared concepts for linking U-City services with spatial information and spatial plan. Therefore, under the proposition of the realization of Ubiquitous National Territory in the Digital Convergence Era,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facilitate the balanced development among U-City services, national spatial data and spatial plan by proposing a new concept of Digital Convergence Space. Then, for its realization, regarding laws and policy arrangements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