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호지향성모델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3초

수출업체와 한국 유통업체의 장기적 지향성 연구: SOR 모델을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ers and the long-term orientation of Intermediaries in Korea: Using the SOR Model)

  • 신준호
    • 무역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51-176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 유통업자의 역할 성과를 자극-유기체-반응(SOR) 모델을 활용하여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시장 경쟁이 유기체(O) 및 반응(R) 요소에 미치는 조절적 영향을 고려한다. 종합적인 접근을 채택한 SOR 모델은 분배, 절차 및 상호 작용 불공정성을 포함한 외부 자극이 지각된 불공정성과 같은 내부 심리적 과정과 상호작용하여 수입업체의 장기 지향성을 형성하는 방식을 분석하는 포괄적인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선행연구 검토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였으며 한국 수출입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해 총 121부의 유효 표본을 획득하였다. 획득된 표본은 smart pls 3.0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분석 결과, 경쟁적인 시장 역동성이 불공정성 인식과 유통업자의 장기 지향성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이 나타남으로써 시장 경쟁의 중추적인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SOR 모형을 적용함으로써 수출입과 연계된 유통물류 분야의 이론적 지평을 넓혔으며, 외부 자극, 내부 심리적 과정 및 시장 경쟁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확장 적용 (Mutual Perceptions among Clients, Agencies, and Consumers on the Evaluation of Ad Creativity: Extending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 김봉철;최명일;이진우
    • 광고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79-201
    • /
    • 2014
  • 본 연구는 확장된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광고 창의성 평가에 대한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상호인식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창의성이 있다고 평가된 광고물을 대상으로 광고 창의성 평가척도로 타당성이 확보된 독창성, 적합성, 명료성, 상관성에 대해 광고주, 광고 제작자, 소비자 간의 객관적 일치도와 주관적 일치도, 정확도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광고주와 제작자 사이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제작자와 소비자 사이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주관적 일치도는 광고주 차원에서는 비교적 높게 나타나고 있으나 제작자 차원에서는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정확도의 경우는 제작자 인식과 광고주가 생각하는 제작자 인식, 소비자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소비자 인식에서는 높게 나타났으나 광고주 인식과 제작자가 생각하는 광고주 인식에서는 낮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광고주나 광고 제작자는 광고 창의성에 대한 소비자의 생각을 많이 고려할 필요가 있다.

금융기업의 시장지향성이 소셜미디어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arket Orientation on Social Media Marketing Performance in Korean Financial Institutions)

  • 노은직;김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332-346
    • /
    • 2014
  • 본 연구는 국내 금융업의 시장지향성과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성과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금융 마케팅 및 소셜 미디어 담당자들에게 구체적인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Narver & Slater의 개념구조에 기초한 기업의 시장지향성이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실행수준을 통한 간접효과와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성과로의 직접효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모델과 가설이 설계되었다. 연구 대상은 국내 금융회사 230개에 달하는 은행업, 증권업, 자산운용업, 카드업, 보험업의 소셜 미디어 담당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102개의 유의미한 응답을 기반으로 분석이 이루어졌다. 결과적으로 금융회사의 고객 지향성, 경쟁자 지향성, 기능간 상호 협조는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실행 수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성과에는 마케팅 실행수준을 거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시장지향성 중에서 경쟁자 지향성만 소셜 미디어 마케팅 성과에 직접적이며 타 개념보다 가장 큰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고객 지향성과 기능간 상호 협조의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국의 국가평판 인식에 관한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의 주관적 일치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Country Reputation: Focused on the Co-orientation Model)

  • 문효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3호
    • /
    • pp.93-100
    • /
    • 2019
  • 본 연구는 평판 개념을 국가 단위로 확대해 적용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이를 위해 탐색적으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에 대한 평판을 측정하고자 하며, 상호지향성 모델 중 주관성 일치도를 적용해 외국인들이 한국의 국가평판을 어떻게 인식하는지 추정함으로써 향후 국가평판 제고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응답자들은 한국에 대한 국가평판 구성요인 중 '문화오락성'요인과 '타문화개방성'요인, '글로벌시민정신'요인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국가평판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연령대별로 일부 국가평판 구성요인에서 통계적인 차이를 보였다. 특히 '문화오락성'요인의 경우, 20대 응답자들이 40대 이상 응답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더불어 응답자들이 평가하는 한국에 대한 국가평판과 이들이 추정하는 외국인들의 한국에 대한 국가평판 간 인식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비대면 근무에 대한 근로자와 관리자의 인식에 관한 상호지향성 분석 (Co-orientation Analysis of Workers' and Managers' Perceptions on Untact Work)

  • 권호중;민대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2호
    • /
    • pp.83-92
    • /
    • 2021
  •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 두기' 확산에 따라 비대면 근무가 불가피하게 시행되고 있는데,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있어 구성원의 인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비대면 근무에 관한 기존 문헌 검토 후 쟁점들을 도출하고, 비대면 근무를 경험한 근로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정성적으로 내용을 분석하고, 상호지향성 모델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두 집단 공통으로 '소통의 어려움'을 가장 많이 지적하였고, 직무만족, 소속감, 일과 삶의 균형 등에 대한 근로자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는 발견하지 못했으나, 인사고과 시 불이익에 대해 인식(객관적 일치도, 근로자의 정확도)의 차이를 보였고, 업무 생산성에 대한 인식(근로자의 주관적 일치도)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기존 연구는 비대면 근무의 일반적인 쟁점들을 논의하였지만, 본 연구는 근로자와 관리자의 인식 차이에 초점을 맞추어 조사하고 인식 차이를 완화시킬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한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더 많은 근로자와 관리자를 대상으로 하는 정량적 연구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치과위생사의 의사소통능력에 대한 일반인과 치과위생사의 인식비교 : 상호지향성 모델 적용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and general public about communication skills of dental hygienists : empirical test of co-orientation model)

  • 김선영;이보람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87-293
    • /
    • 2023
  • Objectives: In this study, dental hygienists'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and general public's mutual perceptions were compared to seek development directions and plans for improving dental hygienists' communication skills, and furthermore, communication to increase satisfaction between the general public and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direction of competency improvement education. Methods: From April 1 to April 31, 2023, a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link for the general public with dental treatment experience and dental hygienists currently working at dentists in Gwangju and Jeonnam. A total of 25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dependence t-test and paired t-test were performed using SPSS Statistics (ver. 21.0; IBM Corp., Armonk, NY, USA)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ccuracy of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dental hygienists, from the dental hygienist's point of view, general publics perceived that the dental hygienist's underestimation of their own communication ability was actually lower than the dental hygienist's underestimated communication ability. From the general public's point of view, dental hygienists overestimated their communication ability. In fact, dental hygienists perceived their general publics as higher than general public's overestimated communication ability.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 and operat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s of dental hygienists, and to rethink educational accessibility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to publicize the professionalism of dental hygienists.

위험운전행동에 대한 운전자 성별 간 상호이해도 분석 (Analysis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Dangerous Driving Behaviors between Male and Female Drivers by Co-orientation Model)

  • 최정우;금기정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32-45
    • /
    • 2018
  • 이 연구는 위험운전 행동에 대한 남녀운전자 상호간의 인식 차이를 다각적으로 비교, 분석하고, 인식 차이를 유발시키는 요인에 대한 파악을 목적으로 하였다. 위험운전 행동에 대한 상호인식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운전행동 분석도구인 DBQ(Driving Behavior Questionnaire)를 평가척도로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상호지향성 모델(Co-orientation Model)에 적용시켜 남성운전자와 여성운전자의 상호 간 인식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해 남녀 상호간 인식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객관적 일치도의 경우, 남녀 상호간 상대방의 운전행동이 더 위험하다는 인식차이를 확인하였고 주관적 일치도 또한 남성과 여성 모두 상대방이 자신의 실제 운전행동의 위험도보다 더 큰 위험도로 판단할 것으로 추측하여 차이가 나타났다. 정확도에서는 남성은 남성의 위험운전행동에 대해 본인의 추측보다 여성이 더 위험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판단이 어려우나, 여성운전행동에 대한 여성의 추측은 모든 요인에서 남성의 인식과 일치하여 남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예측 모형의 결합을 통해 남성운전자의 관점과 여성운전자의 관점에서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남녀 상호간에 상대방이 더 위험한 운전행동을 하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기술혁신지향성의 선행요인과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국내 IT 중소기업 사례 (Antecede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Orientation and Its Impa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A Case of Korean IT SMEs)

  • 문창호;김시연
    • 기술혁신연구
    • /
    • 제24권1호
    • /
    • pp.49-84
    • /
    • 2016
  • 기업의 생존력과 경쟁력을 위하여 기술혁신을 지속적이고 장기적으로 추구하고 추진하려는 기업의 전반적인 사고방향을 나타내는 기술혁신지향성의 중요성이 대두하고 있다. 기술혁신지향성이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확보에 개념적으로나 실무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내포하고 있지만, 기업의 성공적인 기술혁신과 성과를 위한 기술혁신지향성의 역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현재까지 제한적으로 수행되어 왔다. 기술혁신지향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미비점을 인지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술혁신지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기업 내외부의 핵심적인 요인들을 선택하여, 선행요인들과 기술혁신지향성 및 기술혁신지향성 사이의 상황관계를 나타내는 연구모델과 가설들을 제안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제안된 연구모델에서 선택된 기술혁신지향성의 선행요인들은 최고경영자의 기술기능 직무경력과 기능 간 상호통합(cross-functional integration)의 두 내부요인과 환경 불확실성과 경쟁강도의 두 외부요인을 포함하였고 이 요인들이 결과적으로 기술혁신지향성을 매개로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모델에서는 환경 불확실성과 경쟁강도의 두 환경요인이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성과 사이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제시하였다. 86개의 국내 IT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최고경영자의 기술기능 직무경력, 기능 간 상호통합, 그리고 환경 불확실성이 기업의 기술혁신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기술혁신지향성이 기업의 기술혁신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 불확실성은 기업의 기술혁신지향성과 기술혁신성과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가 제시하는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의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치과위생사의 비외과적 치주처치 업무에 대한 치과위생사와 치과의사의 인식 차이 비교 :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of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 application of a co-orientation model)

  • 문상은;홍선화;김윤정;김선영;조혜은;강현주;천혜원;김경선;장선옥;오혜영;문소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07-116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the co-orientation model to investigate the degree to which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recognize the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ork; the basic data can be provided as a systematic arrangement that can be applied and extended to dental clinics to raise mutual understanding. Methods: Independent sample t-tests, one-way ANOVA, and paired t-tests were conducted with a total of 888 subjects (530 dental hygienists and 358 dentists) using SPSS Statistics 22.0.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dental hygienists had higher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their work (p<0.001) than dentists, with respect to all items(p>0.05). With respect to subjective agreement, dental hygienists estimated lower recognition among dentists than other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estimated higher recognition among dentists than dental hygienists. With respect to accuracy, dentists' estimation was lower than the actual recognition among dental hygienists and dental hygienists' estimation was higher than the actual recognition among dentists in all cases except the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patient education work and constant learning. Conclusions: There was wide gap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in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dental hygienists'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ork. Actions must be taken to rais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dentists regarding dental hygienists' non-surgical periodontal therapy work, to spread this recognition throughout the dental industry, and to implement systematic support at dental clinics.

디지털산업에 대한 시민과 산업종사자 간의 인식 차이 연구: 상호지향성 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gital Industry between Citizen and Industry Workers: An Application of the Co-orientation Model)

  • 노재인;한승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59-169
    • /
    • 2023
  • The digital industry area based on digital technology is specialized and rapidly changing. This kind of change lead to a gap of understanding arises between the digital industry and the public. The digital industry is a trend that cannot be reversed, thus efforts to reduce the gap in understanding are necessary for positive social development in the future. This study aimed to find clues to reduce the gap in understanding by measur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the public and the digital industry.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this study applied the mutual orientation model proposed by McLeod and Chaffee(1973), As a result of the study, both groups agreed that the digital industry would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Korean economy in the futur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sibility of mutual misunderstanding due to different views on the digital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