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상악골 열성장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초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 및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AND STABILITY OF TREATMENT AFTER WEARING FACE MASK)

  • 박영철;신자영;유형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1-20
    • /
    • 1997
  •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성장과 연관되어 나타나는 부정교합의 형태로서 성장이 진행됨에 따라 그 심각성이 더해가는 데에 문제점이 있다.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크게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하악의 과성장으로 인한 경우,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경우, 그리고 이 두가지가 복합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그것이다.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성장의 조기에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장치의 효과 및 측모변화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국내외 많은 선학들의 다양한 연구에도 불구하고 치료 후 측모 변화 및 치료 효과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 이다. 이에 본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중 재진단(follow-up)이 가능한 50명(남:18명, 여:32명)의 환자를 선별하여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강내 장치 종류별로 분류한 뒤, 치료후 나타나는 측모 변화 및 치료의 안정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한국인 정상교합아동 20명(남:10명, 여:1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사이에서 성장량에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전과 사용후를 비교한 결과 악안면 골조직과 연조직 및 치아의 계측항목에서 많은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와 상악골 급속 확장장치(R.P.E.)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악안면 골조직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으며 순설측 유지장치 (La-Li)를 함께 사용한 군에서는 치아의 변화량이 크게 나타났다. 3.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착용기간동안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이 치료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4.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제거후 치료군에서 나타나는 성장 변화량과 정상군의 성장량을 비교하여 보면 상악골 전방성장량에 있어서 치료군의 성장량이 정상군의 성장량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상악골 전방견인장치를 사용하는 중에는 상악골의 전방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으나 전방견인이 끝난 후에는 상악골 성장의 자극효과가 소멸되어 상악골 열성장의 양상으로 되돌아가는 경향을 관찰하였다.

  • PDF

견고 구외 골신장술을 이용한 구순구개열 환아의 치험례 (MAXILLARY ADVANCEMENT USING RIGID EXTERNAL DISTRACTION(RED) IN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 CASE REPORT)

  • 유난영;김성민;이주현;서현우;박호원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09-716
    • /
    • 2005
  • 구순구개열 환자에서는 이른 시기에 시행된 수술로 인한 구순이나 구개부의 반흔 형성으로 섭식장애나 발음장애를 동반한 상악의 열성장이 나타나게 된다. 때로는 집중적인 교정치료 후에도 심한 상악골 저형성증을 보이며 이러한 경우성장이 완료 된 후에 골이식을 동반한 악교정 수술로 상악골을 전방이동시켜 안모의 개선을 도모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상악골의 전방이동은 연조직의 과도한 신장으로 인한 술후회귀현상, 추가적인 골이식이 필요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골신장술은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는 최신 치료방법으로 구순구개열 환자, 두개골 융합증을 나타내는 환자 등에서 상악골을 포함한 두개 안면골의 개선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구외장치를 이용하는 골신장술은 골신장기간 중에 견인 방향의 조절이 보다 쉬우며, 충분한 양의 골신장이 가능하여 보다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열성장을 보이는 구순구개열 6세 7개월의 여자 환아로, 변형된 구내 르포씨 1형 골절단술(modified Le Fort I osteotomy) 후 두개골을 고정원으로 이용하는 견고 구외 골신장술을 통해 상악골을 전진시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상악 전방 견인 치료에 양호하게 반응하는 안모형태의 후향적 연구 (A Retrospective Study on Profile Having Favorable Response to Face Mask)

  • 황충주;문정련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147-156
    • /
    • 1999
  • 동양권 특히 한국인에게서 자주 발견되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하악과성장, 상악열성장 또는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 중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은 대부분이 상악골의 열성장을 동반하고 있으며, face mask는 상악골 열성장을 나타내는 성장기 아동에서 주로 쓰이는 악정형 장치이다. face mask는 전치부 반대교합과 상악골의 위치를 개선하여 대부분 적절한 교합관계를 이루어 양호한 안모를 얻을 수 있으나 어떤 경우는 상하순이 전방으로 돌출된 듯한 바람직하지 않은 안모를 얻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치료 전 어떠한 환자의 조건이 치료 후 바람직한 교합관계와 안모를 얻을 수 있는지를 술자가 알 수 있다면 face mask 치료의 결과 예측과 한계에 대하여 보다 잘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성장기 제 III 급 부정교합 아동의 치료 후 양호한 안모를 얻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행하였으며 상악골 전방견인 치료후 양호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1, n=12)과 양호하지 못한 안모를 보이는 군(Group 2, n=14)으로 나누고, 치료 전과 치료 후의 측방 두경부 방사선 계측 항목을 이용한 후향적인 연구로 통계처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골격성 부조화로 인해 상악전치가 이미 순측경사되어 전돌되어있을 수록 치료 후 안모는 좋지 않았으며, 상악전치와 관련된 전방 치조골(prosthion)의 전돌 또한 안모에 영향을 주었다. 2. 치료 전 상악골과 하악골이 이루는 각도가 작을수록(NL-ML) 좋은 안모를 나타내었다. 3. 치료 전 하순의 돌출도가 클수록 치료 후 bialveolar protrusion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4. 치료 후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정도가 클 수록 좋지 못한 안모를 보였다.

  • PDF

수직적 안모 형태에 따른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 비교 (The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appliance (MPA) depending on vertical facial patterns)

  • 유영규;이기준;오창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413-424
    • /
    • 2002
  • 성장기 아동에서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제III급 부정교합은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적응증이 된다. 상악골 전방 견인장치의 바람직한 효과는 상악골의 전방 이동이지만, 실제로는 상악 치아의 전방 이동,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 하악 전치의 설측 이동 등의 복합적인 결과로 III급 관계가 개선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직적 안모 유형별로는 상악골 전방 견인 장치의 효과에 대한 차이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1998년-2000년 사이에 연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환자들 중 초진시 나이는 6세 6개월에서 13세 3개월 사이의 상악골 열성장을 동반한 제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된 67명 (남 36, 여 31)을 대상으로, 안모유형별로 SNMP군과 Gonial angle군에서 low, average, high로 세부군을 나누어 치료전 측모 두부방사선 규격사진을 통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효과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MP군의 low angle에서 B point의 후방이동량이 많았으며, High angle에서는 A point의 전방이동량이 컸다. 2) Genial angle군의 low angle에서 A point의 전방이동양이 가장 적었으며, high angle에서는 A point의 전방이동량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3) A point에 대한 arcTan를 구한 결과 A point의 이동 각도는 장안모 군에서 더 수평적인 이동 양상을 보였고, 단안모 군에서는 수직적 이동양상이 강했다. 4) SNMP군과 Gonial angle의 세부군에서 치료기간별 유의성은 없었다.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견인장치 사용후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FILE CHANGE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AFTER WEARING PROTRACTION HEAD GEAR)

  • 임중기;박영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75-401
    • /
    • 1995
  •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원인은 상악 열성장, 하악 과성장과 두 양상의 조합형태로 나뉠 수 있다. 이중 상악 열성장을 동반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의 경우,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사용이 추천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의 치료효과는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외 선학들에 의해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의 치료효과에 대한 많은 동물실험과 임상실험 결과가 발표되었으나, 연조직 측모 변화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고, 또한 치료를 받은 환자간의 치료효과에 대한 비교도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저자는 상악골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 받은 93명의 환자를 성별, 치료개시 나이별, 구개봉합 opening여부(구강내 장치),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각 유형에 따라 어떠한 경조직과 연조직 측모의 변화가 관찰되는지 여부와, Angle씨 제 I 급 부정교합의 정상군 20명과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로 치료받은 환자 사이에 경조직과 연조직에 있어서 성장량과 치료량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 사용시 골격적 계측항목과 치아와 연조직 계측항목에서 성장량보다 많은 치료에 의한 변화량을 관찰할 수 있었다. 2. 남녀별 치료개시 나이에 따른 상악골 전방이동량과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량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3. R.P.E.에서 La-Li보다 유의성 있는 상악골(A point)의 전방이동을 보였으며, 상악 전치의 순측 돌출이 La-Li를 사용하였을때 보다 감소되었다. 4. 안모성장 형태에 따라서는 상악골 전방이동량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하악골의 후하방 회전을 나타내는 계측치에서 counterclockwise군이 clockwise군보다 많은 변화를 나타냈다. 5. 상순과 하순의 후경변화는 하부 골조직과 상하악 치아의 위치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순의 고경과 nasolabial angle이 증가하고, mentolabial angle이 감소되었다.

  • PDF

구순구개열환자에서 골신장술을 통한 상악골 열성장의 치험례 (Distraction Osteogenesis for Maxillary Hypoplasia in a Cleft Patient)

  • 김종렬;변준호;장원선;정태영;손우성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27-34
    • /
    • 2003
  • 본 교실에서는 상악골의 열성장을 보이는 구순구개열환자에서 RED 장치를 이용한 골신장술을 통하여 상악골의 점진적인 전방이동을 실시하고 약 3년정도의 추시기간을 포함하는 현재까지 특별한 기능 장애없이 양호한상, 하악관계 및 안모를 보이는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R-III를 이용한 3급 부정교합 환자의 치험례 (THE TREATMENT OF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FR-III)

  • 곽아람;박재홍;최성철;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45-350
    • /
    • 2008
  • 반대교합은 교두간섭이나 유구치의 조기상실 등에 의해 하악이 기능적인 전방위로 위치된 기능성 반대교합과 하악골의 과성장, 상악골의 열성장 또는 양자가 복합된 골격성 반대교합, 구치부의 관계는 1급이나 전치부의 치축경사가 조화를 이루지 못해 발생되는 치성 반대교합으로 분류된다. 1970년 Rolf Frankel에 의해 소개된 Functional regulator(FR)의 한 종류인 FR-III는 상악의 열성장을 동반한 반대교합을 개선하기 위해 유치열기, 혼합치열기, 및 초기 영구치열기에 사용되고 있다. 이 장치는 비정상적인 근육력을 차단하여 구강내 치열 및 악궁에 대한 힘의 불균형 상태를 개선하고, 구강주위의 근육을 훈련시켜 새로 형성된 힘의 균형에 의해 이차적으로 악안면골의 크기와 형태를 변화시킨다. 본 증례는 상악 중절치가 맹출하기 전에 미약한 상악 열성장과 전치부의 깊은 교합을 동반한 전치부 반대교합을 FRIII로 치료하여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FACE MASK의 치료 효과에 대한 후향적 고찰 (RETROSPECTIVE STUDY OF FACE MASK THERAPY)

  • 김태우;장영일;남동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47-556
    • /
    • 1996
  • 본 연구는 성장기의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face mask를 이용하여 상악골을 전방 견인하였을 때, 골격 및 치아관계와 연조직 측모의 변화를 관찰하고 face mask사용전후의 경조직과 연조직 변화의 유의성을 검정하여 상악골 열성장을 보이는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의 진단과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서울대학교병원 치과진료부 교정과에 내원하여 상악골 열성장에 의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으로 진단받고 face mask를 사용하여 양호한 치료결과를 보인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face mask사용전후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을 촬영하고 face mask 사용전 계측치와 face mask사용후의 계측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NA와 상악골의 실제 길이인 Co-A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증가하여(p<0.001), 상악골은 face mask에 의한 치료후 상당량 전방위치 되었다. 이는 face mask의 orthopedic effect에 의한 것이다. 2. 상, 하악골의 실제길이를 나타내는 Co-A, Co-Gn이 face mask 사용후 모두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p<0.01). 3. 하악골의 위치는 상당량 후하방 회전되었다. FMA(p<0.001), SN-GoGn(p<0.01), Y-axis(p<0.01) 등이 face mask 사용후 유의성있는 증가를 보였다. 4. 상악전치, 하악전치의 face mask사용후 치축의 경사도는 유의성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5. 연조직에 대한 변화에서 상순의 위치가 전방으로 변화하여 정상적인 측모의 평균치에 가깝게 변한 것이 인정되었다(p<0.01).

  • PDF

Face mask를 이용한 유치열기 골격성 반대교합의 치료 (TREATMENT OF SKELETAL ANTERIOR CROSSBITE IN PRIMARY DENTITION USING FACEMASK)

  • 서주희;이광희;김대업;이지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0-106
    • /
    • 2002
  • III급 부정교합은 서양인에서 약 5%의 발생빈도를 보이며, 일본인과 한국인에서 교정환자중 50%정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런 III급 부정교합자의 63%가량이 상악골의 열성장 또는 상악골의 열성장과 하악골의 과성장에 의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악정형력보다는 치열에서의 변화량이 크므로 치료는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조기치료시 성장조절, 환자의 협조도, 치료의 관리와 같은 결정요소들을 잘 판단하여 시행함으로써 상악골의 더 많은 전방이동이 가능하며 정상 성장을 도모하고 교합관계가 증진되며 안모의 개선으로 인해 정상적인 사회 심리적 발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증례는 반대교합을 주소로 원광의료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유치열기 환아에게 facemask를 이용한 조기 치료로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 상악골 전방 견인시 일어나는 골격 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KELETAL CHANGES IN MAXILLARY PROTRACTION OF THE SKELETAL GLASS III MALOCCLUSION PATIENTS)

  • 이영지;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3-546
    • /
    • 1998
  •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은 크게 하악이 과성장인 경우, 상악이 열성장인 경우, 이 두가지의 복합으로 나타나는데 이중 상악의 열성장으로 인한 성장기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 환자에서는 상악골에 악정형력을 가하여 상악골을 전방견인 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상악골 견인장치 중 현재 많이 쓰이는 RME와 Facial mask를 사용하여 치료한 34명(남자 9명, 여자 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치료결과 FH/palatal plane, SNA, SNB, LFH의 변화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의 변화량에 따라 두군으로 분류하여 치료 전, 후 상악골 및 하악골의 변화 양상과 수직적인 고경에 차이가 있는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골 전방견인 장치를 사용한 모든 환자에서 상악골의 전방이동과 하악골의 후하방회전이 일어났으며 대부분의 환자에서 구개평면은 상방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2. Facial mask사용결과 구개평면이 상방경사된 군(FH/pal 1군)은 구개평면이 하방경사된군(FH/pal 2군)에 비해 상악골의 전방이동이 많이 일어났다. 3. Facial mask 사용결과 상악골의 전방이동량이 많은 군(SNA 1군)은 상대적으로 하악골의 후방이동량은 적게 나타나고 구개평면이 상방경사되는 경향을 보였다. 4. Facial mask사용결과 하악골의 후방이동이 많이 일어난 군(SNB 1군)은 상대적으로 상악골의 전방이동은 적게 나타나며 하악골의 후방이동은 하방회전과 함께 나타나서 수직적인 증가 특히 전안면부위의 증가를 일으킨다. 5. LFH 증가량에 의해 분류된 두 군 사이의 비교에서 치료 전 saddle angle이 크고 상악골 및 하악골이 후방에 위치하던 군이 saddle angle이 작고 하악골이 전방위치되어 있는 군에 비해 하안면고경의 큰 증가없이 상악골 전방견인이 이루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