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삼척개발

검색결과 71건 처리시간 0.028초

삼척 전파강수관측소 추정강우를 활용한 하천 수위 상승 예측 연구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stream water level using Samcheok electromagnetic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

  • 윤성심;임상훈;정현교;조요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1-11
    • /
    • 2021
  • 2018년부터 삼척지역에는 전파강수관측소(X-band 이중편파레이더)가 설치되어 현업 운영 중에 있다. 해당 지역은 영동지역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지형적인 여건으로 지상강우관측망과 기존 대형 강우레이더로도 정확한 강우관측에 한계가 있었다. 설치 이후 전파강수관측소의 품질관리와 최적 관측전략 수립, 분포형 비차등위상차 기반의 강우추정 기법의 적용으로 정량적 추정강우의 정확도가 확보되어 75m의 고해상도 격자강우 정보가 제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파강수관측소의 정량적 추정강우를 홍수예보에 활용하기 위해서 강우기반의 하천 수위 예측 기법인 하천흐름계산도표를 개발하였다. 하천흐름계산도표가 개발된 지역은 삼척 전파강수관측소의 관측 반경에 포함되는 삼척오십천 유역이며, 해당지역은 수변공원으로 조성되어 있어 시민의 접근이 용이하여 하천 수위 급상승으로 인해 피해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2019년과 2020년 호우사례를 대상으로 개발된 하천흐름계산도표에 전파강수관측소의 정량적 추정강우를 적용하여 하천수위 상승 예측성을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대상으로 강우관측소 강우자료와 환경부 대형 강우레이더 강우자료의 적용결과를 함께 비교하였다. 비차등 위상차 기반의 강우추정 기법을 적용하여 산정된 삼척 전파강수관측소의 정량강우는 기존의 강우추정 결과(SRI, CMP_HFC)보다 강우추정 정확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10km 관측 반경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정확도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삼척 전파강수관측소 추정강우를 하천흐름 계산도표에 적용한 결과, 2020년 9월 7일 호우에 의해 삼척오십천 유역에서 관심수위 초과(10:20), 주의수위 초과(11:20)가 발생하였는데, 삼척 전파강수관측소 추정강우가 관심수위 초과 1시간 50분 전에 수위상승을 예측하였고, 주의수위 초과 30분전에 수위상승을 예측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된 하천흐름계산도표와 삼척 전파강수관측소의 홍수예보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삼척 월둔굴의 관광지 개발 타당성 연구 (A Study on the Propriety of Tourist - Resort Development of Woldun - Cave in Samcheok)

  • 홍충렬
    • 동굴
    • /
    • 제48호
    • /
    • pp.17-32
    • /
    • 1996
  • 삼척군 하장면에 있는 월둔굴은 지방기념물로 지정된 석회동굴이다. 이 동굴은 강원도 내륙지역에 해당되고 있으나, 내륙인 정선에서 동해안의 삼척에 이르는 내륙교통의 요지에 위치하고 있고, 그 동굴 속의 2차 생성물들의 학술적ㆍ관광적 가치도 크기 때문에 관광지 개발에 합당한 동굴이라고 판단된다. 더구나 이 곳 현지주민들의 인문ㆍ산업 면에서 볼 때에도 산간오지의 밭농사에 의존할 수밖에 없어 이 동굴의 개발이 지역주민의 소득증대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환선굴 주변지역의 인문사회환경에 관한 연구

  • 변대준
    • 동굴
    • /
    • 제34권35호
    • /
    • pp.61-66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환선굴의 동굴개발에 대하여 1992년 11월 삼척군이 보고한 $\ulcorner$대이리동굴주변개발에 관한 기본구상 및 계획$\lrcorner$을 요약 검토하고, 이에 입각한 인문환경과 관광환경을 중점적으로 분석.고찰하고자 한다. 과업의 목표는 삼척군 신기면 대이리 일대의 '대이동굴지대'관광자원과 주변 관광지와의 연계개발을 동하여 환선굴 주변지역 보전 및 개발계획수립에 있다.(중략)

  • PDF

전파강수관측소를 활용한 강우 및 홍수 재해정보 생산 기술 개발 연구: 삼척지역 사례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rainfall and flood disaster information production technique using microwave precipitation observation station: case study of Samcheok area)

  • 윤성심;임상훈;김현정;정현교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03-203
    • /
    • 2020
  • 동해안에 위치한 영동지역은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지형적인 여건으로 지상강우관측망의 밀도가 낮으며, 지상관측소의 관측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대형 레이더는 지형 차폐로 인해 영동지역에서는 정확한 강우정보를 관측하기 어렵다. 강우정보는 홍수예측을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므로, 집중호우와 태풍으로 인한 홍수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는 영동지역에서는 관측공백의 해소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환경부에서는 동해안 지역에 2기의 전파강수관측소를 설치, 운영 중에 있다. 해당 관측소 자료는 30km 관측반경 범위 내에서 수 백 미터 이하의 격자 강우자료를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파강수관측소의 자료를 강우 및 홍수 재해정보 생산에 활용하고자 한다. 대상지역은 영동지역에 위치한 삼척오십천으로 해당 지역은 친수적으로 조성되어 강우로 인한 시민의 인명피해가 위험이 존재하는 곳이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 설치된 삼척 전파강수관측소로 관측된 자료를 이용하여 고해상도 격자 및 유역평균강우정보를 생산하고,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강우정보 기반으로 하천홍수 위험을 판단할 수 있는 하천흐름계산도표를 개발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생산된 고해상도 격자 강우자료는 70m 격자 해상도를 갖으며, 분포형 비차등위상차를 이용하여 추정된 강우정보이다. 유역평균강우는 삼척오십천 유역과 삼척시 동단위 행정구역별로 산출된다. 또한 하천흐름계산도표는 삼척오십천 유역의 현장답사를 통해 시민의 접근성, 하천수위 급상승으로 인한 피해가능성을 고려하여 6개 지점을 선정하여 개발하고, 전파강수관측소 관측강우정보를 활용하여 홍수예측정보로의 적절성을 평가한다.

  • PDF

삼척 환선굴의 개발과 환경평가

  • 홍충렬;변대준
    • 동굴
    • /
    • 제44호
    • /
    • pp.37-48
    • /
    • 1995
  • 삼척시는 강원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북쪽은 동해시에 남쪽은 경상북도 울진군과 봉화군에 서쪽은 정선군 임계면에 서남은 태백시 등 4개 시.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다. 지리적 좌표를 보면 북위 37$^{\circ}$03'-37$^{\circ}$16', 동경 128$^{\circ}$52'-129$^{\circ}$06'이다. 이 지역은 강원도의 동해, 삼척, 태백, 정선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에는 남북으로 국도 38호선이, 서쪽에도 남북으로 국도 35호선이 근접되고 있는 위치이다.(중략)

  • PDF

동해 구 삼척개발 사택의 건립과 건축적 특징에 관한 조사연구 -등록문화재 A호와 2·3호 사택을 중심으로- (A Research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old Samcheok Construction Company Housing in Donghae City -focused on A and No. 2·3 Houses a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 김태영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9-26
    • /
    • 2015
  • The old Samcheok construction company housing in Donghae City was built for employees of Nitrogenous lime factory with railway construction in 1939. The 31 company houses are arranged in a rows including a House A, two No. 2 and 3 Houses, a dormitory, 12 row houses of two households, and 15 row houses of four households. At present, they are preserved with prototype at that time of building as a private company. Researching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from A and No. $2{\cdot}3$ detached houses of them,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tea room, living room, and kitchen are centralized and connected with toilet, bathroom, and maid's room by corridor. The exterior wall was finished with paintwork on cement mortar on stud wall framing plastered. The key exterior elements such as diamond shaped asbestos slate, large openings, corner bay window, lintel cornice are in accordance with drawings that they were first designed. The wooden roof structure is based on the structure that supports transverse load with a beam and beam plate instead of thrust. The kitchen and toilet are remodelled and only seem to be a mere shadow of their former self, but the position of sink and toilet bowl is the same as before.

우수한 전기화학적 센싱 성능을 지닌 티타늄 와이어 기반의 휴대 및 일회용 pH 센서 개발 (Development of a Portable and Disposable pH Sensor Based on Titanium Wire with High Electrochemical Sensing Performance)

  • 윤은섭;윤조희;손선규;김서진;최봉길
    • 공업화학
    • /
    • 제32권6호
    • /
    • pp.700-70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로늄 이온 농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티타늄(Ti) 와이어를 기반으로 하는 휴대용 일회용 pH 센서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센싱 전극은 Ti 와이어에 이리듐 산화물을 전기화학적으로 증착하여 제조하였고, 기준 전극으로 Ti 와이어에 Ag/AgCl 잉크를 코팅하였다. pH 센서에 두 개의 전극을 결합한 후 pH 센서를 다양한 pH 용액에 담그면 개방 회로 전위 신호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조된 pH 센서는 감도, 응답 시간, 반복성, 선택도 및 안정성 측면에서 우수한 전기화학적 감지 성능을 보여 주었다. 현장 검사 응용을 시연하기 위해서 pH 센서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는 무선 전자 모듈과 통합하였다. 이 휴대용 pH 센서는 실제 샘플의 pH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했으며 결과는 상용 pH 측정기의 데이터와 일치하였다.

개발 산출문간의 일관성 유지 지원에 관한 연구 (Study of Consistency Preservation Support between Development Products)

  • 진광윤;최신형;남기현;한판암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85-288
    • /
    • 2004
  • 분석 및 설계단계의 산출물을 작성할 때는 대부분 정형화와 표준화를 따른다. 그러나 실제 시스템 개발현장에서는 단계별 산출물들의 개별적인 특성으로 인하여 모든 산출물간에는 연속적이며 자동화된 과정을 통해 산출물들이 작성될 수는 없다. 그 결과 작성된 개발 산출물간의 일관성이 유지되지 못하는 관계로 최종 산출물에서 여러 가지 문제가 야기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방법론에 따라 개발되는 시스템에 대해 분석 및 설계단계의 산출물간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한다.

  • PDF

삼척시 도계읍 지역에 분포하는 풍촌층 석회석의 부존 특성

  • 이유진;손길상;박찬근;서경환
    • 한국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물학회.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대한광업진흥공사 2002년도 추계 공동 심포지엄 논문집: 국내 자원의 현황과 전망
    • /
    • pp.17-30
    • /
    • 2002
  • 삼척-도계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누층군의 풍촌층 석회석은 품위 및 암상에따라 상부고품위대와 하부석회암대로 분대가 가능한데, 이는 삼척-태백간을 북북동으로 흐르는 오십천을 경계로 서쪽에 분포하는 풍촌층과 비교할 때 다소간의 암상차이를 보인다. 즉, 풍촌층의 특징중에 하나인 중부백운암대가 본 역 일대에서는 백운암화가 미약하여 비교적 소폭으로 확인되며, 상부백색대 역시, 발달정도가 미약한 특징을 보인다. 시추탐사결과 확인된 삼척-도계지역의 풍촌층 상부고품위대는 일반적으로 상부백색대$(\pm15m)$ - 백운암대$(\pm5m)$ - 암회색대$(\pm50m)$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품위는 상부백색대 : CaO $53_4\~55.6\%$, 백운암대 : MgO $3.0\~18.4\%$, 암회색대 : CaO $50.4\~54.2\%$로 나타나 제철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나 백운암대에 대한 선별채광이 부분적으로 요망된다. 이들 석회석은 오십천대단층의 수반단층인 수조의 NNE계열 정단층들에 의해 빈번히 단절되어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EW향의 역단층에 의해 규제되기도 한다. 상기 제단층들은 석회암층을 단절시킬 뿐만 아니라 단층각력, 단층점토, 암맥 등의 불순대를 수반하므로 개발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상부고품위대 부존표고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200ML 내외에서 대부분 확인이 가능하며 지표노출 규모는 작은 편이나 $10^{\circ}$이하의 완경사로 화절층 하부에 부존되어 있어 갱도 채광에 적합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 PDF

삼척시 도계읍 지역에 분포하는 풍촌층 석회석의 부존 특성

  • 이유진;손길상;박찬근;서경환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2년도 추계 공동 심포지엄 논문집
    • /
    • pp.17-30
    • /
    • 2002
  • 삼척-도계지역 일대에 분포하는 조선누층군의 풍촌층 석회석은 품위 및 암상에따라 상부고품위대와 하부석회암대로 분대가 가능한데, 이는 삼척-태백간을 북북동으로 흐르는 오십천을 경계로 서쪽에 분포하는 풍촌층과 비교할 때 다소간의 암상차이를 보인다. 즉, 풍촌층의 특징중에 하나인 중부백운암대가 본 역 일대에서는 백운암화가 미약하여 비교적 소폭으로 확인되며, 상부백색대 역시, 발달정도가 미약한 특징을 보인다. 시추탐사결과 확인된 삼척-도계지역의 풍촌층 상부고품위대는 일반적으로 상부백색대($\pm$15m) - 백운암대($\pm$15m) - 암회색대($\pm$50m)로 구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각의 품위는 상부백색대 : CaO 53.4~55.6%, 백운암대 : MgO 3.0~l8.4%, 암회색대 : CaO 50.4~54.2%로 나타나 제철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하나 백운암대에 대한 선별채광이 부분적으로 요망된다. 이들 석회석은 오십천대단층의 수반단층인 수조의 NNE계열 정단층들에 의해 빈번히 단절되어 있으며 일부지역에서는 EW향의 역단층에 의해 규제되기도 한다. 상기 제단층들은 석회암층을 단절시킬 뿐만아니라 단층각력, 단층점토, 암맥 등의 불순대를 수반하므로 개발에 장애요소가 되고 있다. 상부고품위대 부존표고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200ML 내외에서 대부분 확인이 가능하며 지표노출 규모는 작은 편이나 $10^{\circ}$이하의 완경사로 화절층 하부에 부존되어 있어 갱도 채광에 적합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