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충력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초

곤충 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와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를 이용한 삼립해충의 방제 (Laboratory Evaluation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Steinernema carpocapsae and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against Some Forest Insect Pests)

  • 추호렬;;이상명;김태옥;김준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27-232
    • /
    • 1991
  • 식엽성 삼림해충인 오리나무잎벌레와 사철나무알락명나방, 회양목명나방에 대한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와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의 살충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내 검정한 결과 선충의 조유, 농도, 기주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높은 치사력을 보았다. 오리나무잎벌레인 경우 S.carpocapsae를 유충 한 마리당 25~100마리/ml 농도로 엽상에 처리했을 때 1령충 85.0$\pm$4.1~100%, 2령충 80.0$\pm$5.8~100%, 3령충 65.0$\pm$10.8~100%의 치사율을 보였으며, H. bacteriophora 10~40마리/ml 처리에서는 1령충 82.5$\pm$6.9~100%, 2령충 77.5$\pm$4.7~100%의 치사율을 나타내었다. 사철나무 알락명나방은 유충 gs마리당 S. carpocapsae 5~80마리/ml 처리에서 98.9$\pm$1.1~100%, H. bacteriophora 2~40마리/ml 처리에서는 26.7$\pm$5.1~74.5$\pm$6.2%의 치사율을 나타내었으며, 회양목명나방은 유충한마리당 S. carpocapsae 20~80마리/ml 처리구에서 97.8$\pm$1.5~100%, H. bacteriophora 10~40마리/ml 처리구에서 92.0$\pm$6.2~98.9$\pm$1.1%의 살충력을 보였다.

  • PDF

Fenobucarb와 Imidacloprid의 벼 뿌리 침지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활성과 섭식행동비교 (Comparison of Insecticidal Activity and Feeding Behavior of Nilaparvata lugens by Root Uptake Times against Fenobucarb and Imidacloprid)

  • 양정오;조선란;권윤희;윤창만;김길하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75-182
    • /
    • 2010
  • 벼멸구에 대한 Fenoburcarb(36, 12 ppm)와 Imidacloprid(0.7, 0.4 ppm)의 벼유묘 뿌리 침지 시간(1, 4, 8, 12, 16, 20, 24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섭식행동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EPG (electrical penetration graph)의 파형은 신호개시 후 4시간 동안 기록하여 분석하였다. 침투이행성과 살충력과의 상관관계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보정살충율을 보였고, 침지시간이 길수록 살충활성이 높았다. 파형에 있어서는 두 약제 모두 농도가 높아질수록 상대적으로 non-probe time은 길어졌고 체관을 찌르는 시간은 짧아졌다. 침지시간이 길어질때에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침지시간에 따른 살충활성과 두 파형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박이응애(Tetranichus urticae),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한 은행잎 추출물의 살충 및 기피효과 (Repellent and Pesticidal Effect of Ginkgo biloba Leaves Extracts on the Tetranichus urticae,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 이인화;설명수;박종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2호
    • /
    • pp.150-154
    • /
    • 2005
  • 천연식물자원으로부터 생물농약을 개발하기 위하여 점박이응애(Tetranichus urticae),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에 대해 푸른은행잎 추출물(GG-W80)과 노란은행잎 추출물(YG-W80)의 살충효과와 기피효과를 leaf disk법과 유묘검정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점박이응애에 대한 살충효과는 GG-W80이 98.3%로 YG-W80의 20.0%보다 우수하였다. 점박이응애에 강한 살충효과를 보이는 생리활성물질은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를 이용해 동정하였다. 푸른은행잎 추출물에서는 각각 bilobalide $611\;{\mu}g/kg$, ginkgolide A $37\;{\mu}g/kg$와 ginkgolide B $243\;{\mu}g/kg$이 동정되었으며, 노란은행잎 추출물에서는 bilobalide $214\;{\mu}g/kg$와 ginkgolide B $46\;{\mu}g/kg$이 동정되었으나 ginkgolide A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은행잎에 존재하는 terpene계 화합물인 bilobalide와 ginkgolide A, B가 점박이응애에 살충력을 갖고 있음을 알수 있으며, 이들 성분을 포함한 은행잎 추출물이 점박이응애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 가능성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맥전세대 애멸구에 대한 몇가지 침수성 살충제의 방제효과 (Control effects of some systemic insecticides to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on barley)

  • 현재선;이강훈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45-50
    • /
    • 1980
  • 침투성 살충제 $Disyston^{(R)}$ (disulfoton) 5G, $Temik^{(R)}$ (aldicarb) 15G, $Ortran^{(R)}$ (acephate) 5G, $Curaterr^{(R)}$ (carbofuran) 3G 4종의 살충제를 공시약량을 달리하여 춘파대맥에 4월 19일과 25일에 각각 일회 파구처리하여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에 대한 살충효과를 실내와 포장에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4월 25일에 파구처리한 다음 처리후 19일(5월 14일), 31일(5월 26일), 44일(6월 8일)에 대맥경을 절취하여 시험관에 넣고 각종 충태(자웅성충, 약충-영기별)의 애멸구를 접종한바 살충제의 종류, 약량, 충태에 따라 살충율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 종합적으로 볼때 살충효과가 가장 우수한 살충제는 Temik이었고 다음은 Disyston 이었으며 Ortran과 Curaterr는 살충효과가 현저히 낮었다. Temik의 잔효력은 10a당 4kg 수준에서 31일정도이었으며 Disyston(충태, 약충의 일령에 따라 살충력에 차이는 있었으나)은 10a당 4kg 처리서 19일 정도이었다. 2. 야외 접종시험에 의한 성충의 살충율은 Disyston과 Temik 처리구에서 높였으며 Disyston의 잔효력은 4월 19일 처리구가 4월 25일 처리구에 비하여 길었으나 Temik 처리에 있어서는 반대로 4월 25일 처리에서 길었다. 그리고 Disyston에 비하여 Temik의 잔효력이 현저히 길었다. 3. Disyston은 2kg/10a 이상의 약량에서 약 26일 정도의 잔효력을 기대할 수 있었으며 Temik는 1kg/10a 정도의 약량에서도 40일 이상의 잔효력을 기대할 수 있었다. 4. 이상의 결과로 보아 Disyston 5G와 Temik 15G의 맥류처리(4월중)로서 본답에서 피해원이되는 애멸구의 집단을 맥전에서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국화 포장에서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바이러스 살포효과 (Effects of Field Application of Spodoptera litura Nucleopolyhedrovirus to Control S. litura in Chrysanthemum)

  • 김선곤;박종대;김도익;임대준;김규진;유용만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53-157
    • /
    • 2003
  • 담배거세미나방 방제를 위한 핵다각체병바이러스의 병원성 검정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화 유묘에서 병원성 검정은 핵다각체병바이러스 1.0$\times$$10^{6.8}$ PIBs/ml에서 노지의 LT$_{50}$ 은 6.2-5.1일이 소요되어 비닐하우스의 6.9-5.4일 보다 짧았으며, 누적 살충율은 노지에서 10일째에 1.0$\times$$10^{7.8}$ PIBs/ml에서 100%의 살충율을 보였으나 비닐하우스에서는 95%였다. 포장의 살충력은 유기합성농약(endosulfan)이 살포 2일 안에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바이러스에 의한 살충은 4일째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14일까지 지속되었다. 노지포장에서는 SINPV 1.0$\times$$10^{8}$ PIBs/ml의 살충율이 94.0%로 대조약제인 endosulfanfsoppm의 91.4%보다 높았으며, 비닐하우스에서는 1.0$\times$$10^{7}$ PIBs/ml이 92.0%로 가장 높았으나 다른처리와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노지포장과 비닐하우스에서 1.0$\times$$10^{7}$ PIBs/ml 이상의 농도로 처리하면 담배거세미나방을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몇 가지 식물추출물의 벼 병해충 방제 효과 (Controlling Effect of Some Plant Extracts on Pathogenic Fungi and Pest of Rice)

  • 황기철;신소희;정남진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69-280
    • /
    • 2014
  • 본 연구는 고삼, 정향 및 neem 추출물에 대한 항균 항충력을 규명하여 벼 친환경 재배 포장에서 병해충 방제제로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수행하였다. 식물추출물에 대한 잿빛곰팡이균에 대한 항균력 실험결과 정향추출물이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은 고삼추출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보였는데, 고삼추출물의 300배 희석용액에서도 100%의 살충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정향과 고삼추출물에 각각 목초액(10%)과 유화전착제(10%)를 혼합하여 친환경 벼 재배포장에 살포하고 병해충 발생률을 조사한 결과, 정향추출물 처리구의 병해 방제가는 무처리구(100%) 대비 50.8%, 해충 발생은 70.6%를 나타내었고, 고삼추출물 처리구는 무처리(100%) 대비 병해 방제가는 43.1%, 해충 방제가는 79.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고삼 및 정향 추출물은 벼 친환경 재배 시 병해는 약 50%, 충해는 약 70%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친환경농자재로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에 대한 계피 정유 유래 물질의 살충 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Cinnamon Essential Oils, Constituents, and (E)-Cinnamaldehyde Analogues against Metcalfa pruinosa Say (Hemiptera: Flatidae) Nymphs and Adults)

  • 김준란;정인홍;이영수;이상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75-38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계피 정유 3종의 구성성분을 분석하였고,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살충활성을 검정하였다. (E)-Cinnamaldehyde을 포함한 9종의 계피 정유 구성성분과 21종의 유사 물질을 미국선녀벌레 약충에 대해 살충활성을 검정한 결과, hydro-cinnamic acid가 반수치사농도 $1.55mg/cm^2$로 가장 좋은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geranic acid도 $1.59mg/cm^2$로 높은 살충 활성을 보였다. Cinnamaldehyde를 포함한 hydro-cinnamaldehyde, (E)-cinnamaldehyde, cinnamdyl alcohol, cinnamyl acetate, dibutyl phtalate, anethole, a-cyano cinnamic acid, (s)-perillyl alcohol, methyl cinnamaldehyde, bonyl acetate 12종이 중간정도의 활성($1.60-4.94mg/cm^2$)을 보였으며, 다른 물질들은 살충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미국선녀벌레 성충에 대해서는 eugenol 이 반수치사 농도 10.81 mg로 가장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으며, geranic acid (30.68 mg)도 높은 살충력을 보였다. Cinnamaldehyde 등 9종이 반수 치사 농도 105.44~255.76 mg의 살충활성을 보였다. 다른 18종의 물질은 활성이 낮거나 없었다. 실제 포장인 인삼포장에 발생하는 미국선녀벌레에 대한 적용시험에서 cinnamon bark 정유와 cinnamon green leaf 정유가 각각 82.3%와 82.9%의 높은 살충활성을 보였다. 농업환경에서 고독성 합성살충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 선발한 계피정유가 미국선녀벌레의 약충 및 성충 방제에 유용한 수단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ry11Aa 유전자로 형질전환된 Synechocystis PCC6803의 작은빨간집모기와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한 살충효과 (Mosquito Larvicidal Activity of Synechocystis PCC6803 Transformed with the cry11Aa gene to Culex tritaeniorhynchus and Anopheles sinensis)

  • 이대원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35-41
    • /
    • 2004
  • Bacillus thuringiensis는 포자형성기 동안에 위생해충이나 농업해충에 독성을 보이는 내독소 단백질을 생성한다. 내독소 단백질의 모기 유충 방제효과를 높이기 위해, 광합성에 관여하는 psbA promoter로 모기 살충성 cry11Aa유전자를 발현하는 pSyn4D벡터를 제작하고, 모기 유충이 먹이로 이용하는 Synechocystis PCC6803에 형질 전환시켰다. 형질 전환체들은 kanamycin이 포함된 배지에서 선발되었으며, 정상적인 생물검정을 통해 형질 전환체 Tr2C를 선발하였다. cry11Aa 유전자는 형질전환체의 genomic DNA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 Tr2C는 약 72-kDa크기의 Cry11Aa 단백질을 발현하였으며,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3령 유충과 중국얼룩날개모기(Anopheles sinensis) 3령 유충에 75%가 넘는 살충력을 보였다. 모기 유충에 대한 형질전환체의 반수치사시간(LT$_{50}$)은 작은빨간집모기 유충과 중국얼룩날개모기 유충에 대해 각각 2.1일과 0.7일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형질전환체 Tr2C가 모기 유충방제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살충성 진균 Beauveria bassiana의 Fusarium oxysporum과 Botrytis cinerea에 대한 항균활성 (Antibiotic Properties of an Entomopathogenic Fungus, Beauveria bassiana, on Fusarium oxysporum and Botrytis cinerea)

  • 박영구;이동규;김용헌;강선철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245-250
    • /
    • 1996
  • 식물병원균 Botrytis cinerea와 Fusarium oxysporum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의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살충성 진균 Beauveria bassiana의 식물병원균에 대한 균사성장저해, 포자발아 억제, 균사와 포자의 형태변화 등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평판배지 상에서 두 식물병원균의 균사생장이 저해되었으며, 저해효과는 배지종류에 따라 달랐는데 B. cinerea의 경우 PDA배지에서 가장 크게 저해되었으며 F. oxysporum의 경우에는 TSA배지에서 가장 크게 저해되었다. B. bassiana는 $25^{\circ}C$에서 6일간 배양했을 때 F. oxysporum에 대한 항균력이 가장 높았으며 동시에 최대의 균체량을 생산하였다. 또한 B. bassiana의 배양여액을 식물병원균에 30% 농도로 첨가하여 배양했을 때 식물병원균의 포자 발아율은 B. cinerea, F. oxysporum에서 각각 30%(control: 88.2%), 10.0%(control: 78.6%)로 낮아졌으며 발아 개시 시간도 4~8시간 지연되었다. 현미경을 통한 미세구조관찰에서는 10%의 B. bassiana배양여액을 첨가했을 때 F. oxysporum의 포자 크기가 1/2~1/3으로 줄어들었으며 균사와 격막의 형태도 비정상적으로 변하여 균사외막과 격막-격막 사이의 구분이 불명확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