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살균제 활성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5초

잿빛곰팡이 병원균 Botrytis cinerea 균주의 분리기주별 표현형적 특성, 병원성 및 약제저항성 변이 (Variations in Phenotypic Characteristics, Pathogenicity and Fungicides Resistance of Botrytis cinerea, Gray Mold Rot Fungus, Isolated from Various Host Plants)

  • 최인실;정영륜;조광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23권3호통권74호
    • /
    • pp.246-256
    • /
    • 1995
  •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51균주를 국내 여러곳에서 분리 또는 확보하여 이들 균주의 기주, 형태적 특성, 약제저항성 및 polygalacturonase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분리 기주별로 병원성을 포함한 이들 특성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분리된 균주들은 모두 흰색, 엷은 회색 또는 짙은 회색의 균총색을 보였고, 균주에 따라 균핵과 포자형성량이 달랐다. 병원성 검정에서는 토마토, 오이, 딸기로부터 분리된 균주들의 오이잎 괴사병반 지름이 평균 3.2 cm로 감귤, 양다래, 배 등 다른 기주로부터 분리된 균주의 1.8 cm보다 훨씬 컸다. 각 균주들의 살균제 저항성은 토마토 분리균주들의 benomyl 저항성이 $EC_{50}$ 562 ppm으로 다른 균주에 비해 훨씬 높았으며, 딸기 분리균주의 경우 사용된지 얼마되지 않은 diethofencarb에 대하여 $EC_{50}$ 210 ppm으로 높은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Polygalacturonase 활성은 균주간에 변이가 심하여 specific activity가 최저 0 unit부터 103 unit까지 걸쳐 있었으며, 토마토, 오이, 딸기 등 주요 기주로부터 분리된 균주가 그렇지 않은 균주에 비해 약간 낮은 경향을 보였다. 균주들의 효소활성, 살균제 저항성과 병원성간에는 직접적인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러나, 병원성이 강한 균주와 약한 균주의 polygalacturonase 동위효소 pattern은 배양시 탄소원에 따라 서로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 PDF

Pyrrolo[2,1-b]thiazole 카르복스아닐라이드 유도체의 합성 및 그들의 벼 도열병균과 밀 붉은녹병균에 대한 선택적인 항균활성 (Syntheses of Pyrrolo[2,1-b]thiazole Carboxanilides and Their Selective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Rice Blast and Wheat Leaf Rust)

  • 한호규;남기달;양범승;최경자;조광연
    • 농약과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22-131
    • /
    • 2005
  • 신농약 살균제 개발을 목적으로 pyrrolo[2,1-blthiazole carboxanilide 유도체 9를 합성하고 그들의 식물병원균 6종에 대한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한 분자 내에 피롤과 티아졸 moiety를 동시에 갖춘 이중헤테로고리 화합물인 pyrrolo[2,1-b]thiazole의 C-2 위치에 카르복스아닐라이드기를 도입하여 신규 후보화합물 20종을 합성하였다. 이 화합물은 ${\alpha}$,${\beta}$-불포화 카르복스아닐라이드기와 이것과 시스(cis)관계의 메틸기가 분자 내에 포함되어 있다. Acetoxy-1,4-thiazin 유도체 2를 메탄올 용액 중에서 마그네슘으로 처리하여 기존의 방법보다 더 높은 수율로 pyrrolo[2,1-b]thiazole 에틸에스테르 4를 얻었다. 이것을 가수분해한 다음 생성된 상응하는 카르복실산 5를 DIC 존재 하에서 아닐린 유도체와 반응시켜 pyrrolo[2,1-b]thiazole carboxanilide 유도체 9를 합성하였다. 화합물 9의 벼 도열병, 벼 잎집무늬마름병, 오이 잿빛곰팡이병, 토마토 역병, 밀 붉은녹병, 보리흰가루병 등에 대하여 (in vivo) 항균활성을 조사한 결과, 일부 화합물에서 벼 도열병(RCB, rice blast) 과 밀 붉은녹병(WLR, wheat leaf rust)에 대해서만 선택적 활성을 나타냈다.

Imidazolidinetrionylsaccharin 유도체의 합성 및 활성평가 (Synthesis and Activity Evaluation of Imidazolidinetrionylsaccharin Derivatives)

  • 정대일;김윤영;김용환;이도훈;이기혜;신여주;김윤혜;변석인;한정태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4-58
    • /
    • 2003
  • 새로운 농약을 창출하기 위해, thiazole 유도체 등에서 살균력이 존재하는 구조를 가진 1,2-benzisothiazole-3-one-1,1-dioxide를 선도물질로 imidazolidinetrionyl 기를 가진 새로운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1-methylurea와 oxalyl chloride의 반응으로부터 4단계 반응을 거쳐 1-methyl-3-(1,1,3-trioxo-1,3-dihydro-1λ$^6$-benzo[d]isothiazol-2-ylmethyl) -imidazolidine-2,4,5-triones 5a, 1-ethyl-3- (1,1,3-trioxo-1,3-dihydro-1λ$^6$-benzo[d] isothiazo1-2-ylmethyl)-imidazolidine-2,4,5-triones 5b, 1-phenyl-3-(1,1,3- trioxo-1,3-dihydro-1λ$^6$-benzo[d]isothiazol-2-ylmethyl)-imidazolidine-2,4,5-triones 5c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5a, 5b, 5c를 식물반응, 곤충 그리고 살균제 등에 대한 생물학적 반응검색을 하였다. 생물학적 반응검색 결과(식물반응 검색은 5b, 곤충검색은 5a, 그리고 살균제 검색은 5a에서 생물활성이 조금 나타남) 썩 좋은 반응결과를 얻지 못했다. 하지만 계속해서 2,4,5-imidazolidinetrionyl기를 가진 saccharin유도체를 합성하여 새로운 농약을 창출하고자 한다.

살균제 carbendazim이 DNA, 유전자 및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endazim on DNA, gene and chromosome)

  • 이제봉;성필남;정미혜;신진섭;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88-298
    • /
    • 2004
  • 광범위 보호 살균제인 carbendazim이 DNA, 유전자 및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Ames가 개발한 미생물복귀돌연변원성시험, CHL (chinese hamster lung fibroblast cell) 세포를 이용한 염색체 이상시험, DNA 손상시험 및 마우스 골수세포를 이용한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Carbendazim $156\sim2,500{\mu}g/plate$ 농도로 직접법 및 대사활성화법으로 TA 1535, TA 1537, TA 98 및 TA 100에서 수행한 Ames test결과 음성 대조군(DMSO)과 유사한 colony수를 보여 유전자의 염기절단에 의한 결손이나 염기 치환을 일으키지 않았다. 염색체에 미치는 영향을 검색하기 위하여 CHL세포에 $2.0\sim32.0{\mu}g/mL$의 농도로 carbendazim을 처리하여 염색체이상시험을 수행한 결과 염색분체 절단과 같은 구조이상은 없었으나 염색체의 수에 변화가 관찰되어 수적 이상은 인정되었다. Carbendazim 25, 50 및 $100{\mu}g/mL$을 마우스에 처리하여 30분, 60분 및 120분에 DNA에 직접 노출시켜 DNA손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 60분까지는 영향이 없었으나, 120분 노출 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22\sim27%$정도의 DNA이동거리가 증가하여 약간의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세포에 노출시켰을 때도 중 농도와 저 농도에서 16%의 이동거리 증가와 120분 노출시켰을 때 $10%\sim26%$의 이동거리 증가가 있어 DNA에 직접 노출한 경우와 비슷하였다. Carbendazim 375, 750 및 1,500 mg/kg 농도로 투여한 소핵시험결과 음성으로 판단되었으며, 골수세포에 대한 세포독성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선 benzimidazole계 살균제 carbendazim이 DNA손상 및 염색체의 수적이상을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계속적으로 논란이 되고 있는 benzimidazole계 농약인 benomyl이나 carbendazim에 장기적으로 인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유전물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만성독성성적과 노출량 등 구체적인 자료를 이용한 위해성평가를 수행하여야 보다 정확한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환경친화성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어병균의 살균효과 (Disinfectant Effects of Ecological Familiar Surfactant against Fish Pathogens)

  • 최상원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9권5호
    • /
    • pp.365-368
    • /
    • 2000
  • The antibacterial effect amino acid-copper(II) surfactant on fish pathogens was studied. Fish pathogens of Edwardsiella tarda Vibrio anguillarum Aeromonas hydrophila and Streptococcus sp. were selected cultured in nutrient agar and adjusted at $2{\times}10^5~10^6 CFU/$m\ell$$ in phosphate buffer saline before the addtion of amino acid-copper(II) surfactant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All tested pathogens died within 1 hour with 1 ppm of amino acid-copper(II) surfactant. In comparison with formalin and ET. amino acid-copper (II) surfactnat was more effective in antibacterial capacity.

  • PDF

유화제를 이용한 계육 표면에서 Campylobacter jejuni의 부착 제어 (Adhesion control of Campylobacter jejuni in chicken skin using emulsifiers)

  • 오도건;김광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6호
    • /
    • pp.670-677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세균성 식중독의 원인균인 C. jejuni의 주 감염원인 계육에 대하여, 식품공전에 등재된 식품첨가물 중 유화제를 이용하여 계육에서 C. jejuni의 부착을 제어 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8종의 유화제를 200 mg/mL의 농도에서 paper disc agar diffusion method로 C. jejuni에 대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등 4종의 유화제에서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를 25, 50, 100, 200 mg/mL의 농도에서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농도가 작아질수록 생육억제환의 크기도 줄어들었으며, 유화제 중 L-1695 샘플이 200 mg/mL에서 가장 큰 생육억제환을 생성하였다. pH 및 열에 대해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pH 및 열에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소저해농도를 측정한 결과 다른 유화제 L-7D,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샘플과 비교하였을때 L-1695 샘플이 1.56 mg/mL에서 가장 좋은 최소저해농도를 나타냈다. 최소살균 효과는 L-7D, L-1695, polysorbate 20, polysorbate 80 4종의 유화제 모두 나타나지 않았다. 접촉표면의 부착제어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stainless steel과 ceramic에서 실험한 결과, 두 접촉 표면 모두에서 L-1695 샘플 처리 시 가장 적은 생균수를 나타냈다. 앞선 실험의 종합적인 결과에 따라 L-1695 유화제를 최종적으로 선별하고, 계육 피부에 부착된 C. jejuni에 영향을 주는지 CLSM으로 분석한 결과 대조구에 비하여 conventional spray 및 electrostatic spray를 처리하였을 때 모공에 부착된 균이 대다 수 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균수를 확인해 본 결과 conventional spray와 electrostatic spray 처리 시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 결과들을 종합한 결과 C. jejuni KCTC 5327에 대하여 L-1695 유화제는 생육을 억제시키지만, 살균효과는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L-1695 유화제는 식품접촉표면에서 캠필로박터균의 부착을 저해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계육 피부에 인위접종된 C. jejuni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볼 때, 실제 도계공정에서 세척수에 포함시켜 C. jejuni의 제어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잿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형태형 간의 생리적 다양성 (Physiological Diversity between Morphological Phenotypes of Botrytis cinerea)

  • 김병섭;박은우;노성환;조광연
    • 한국균학회지
    • /
    • 제25권4호통권83호
    • /
    • pp.320-329
    • /
    • 1997
  • 병든 오이, 토마토, 딸기로부터 분리한 Botrytis cinerea을 Paul(1928)의 형태형(morphological phenotypes) 분류 기준에 따라 포자형, 균핵형, 균사형으로 나눌 때 대부분의 균주는 균핵형으로 나타났다. Benzimidazole 및 dicarboximide계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및 저항성 반응 차이는 형태형과는 무관하였다. 포자의 표면 구조를 주사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모두 봉상으로 형태형 간에 차이가 없었다. 형태형 간 병원성을 비교할 때, 균사형의 균주가 가장 병원성이 높았으며, 포자형은 병원성이 다른 형보다 낮게 나타났다. 병원성과 곰팡이의 phenol oxidase, pectin methyl esterases (PME), amylases, cellulases, ureases, glucosidases 및 proteinases 활성과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하여 형태형이 다른 선발된 균주들의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 Phenol oxidase, ${\beta}-glucosidase$는 각 형태형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PME, amylase, cellulase, urease, proteinase의 활성은 각 형태형간에 차이를 나타내어 병원성과 이들 효소 활성의 관련성이 있었다.

  • PDF

구리 기반 표면코팅 및 산화수에 따른 항균·항바이러스 특성 (Copper-based Surface Coatings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Dependent on Oxidation States)

  • 고상원
    • 공업화학
    • /
    • 제34권5호
    • /
    • pp.479-487
    • /
    • 2023
  • 구리(Cu)는 저렴한 비용으로 용이하게 도입이 가능하여 다양한 소재 표면에 살균 코팅제로 쓰이고 있다. 자연적 산화 반응이 구리의 효능을 손상시키지 않아 장기간 노출 조건에서도 항균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구리 화합물은 그람 음성균 및 그람 양성균 뿐만 아니라, 병원성 효모, 외피 보유 및 외피 미보유 타입의 바이러스에 대해 모두 폭넓은 살균 효과를 보인다. 구리 코팅 표면의 접촉 살균은 구리의 침투로 단백질 변성을 일으키고 세포막 손상으로 뉴클레오티드 및 세포질 등의 내용물이 용출되게 한다. 또한 구리 산화환원 활성에 의한 활성 산소종 생성으로 효소작용을 억제하고 DNA를 파괴하여 세포를 영구적으로 손상시킨다. 구리는 안정한 금속 성질 때문에 나노입자, 이온, 복합물, 합금 등의 여러 형태로 쓰이고 있으며 코팅 방법이 다양하다. 본 총설에서는 구리 이온과 구리 산화물의 대표적인 표면 도입 방법을 살펴보고 구리 산화수에 따른 항균·항바이러스 특성을 다루고자 한다.

토양처리(土壤處理) 농약제(農藥劑)의 분해율(分解率)에 관한 연구(硏究) -제1보(第一報). Parathion의 토양중(土壤中) 분해(分解)에 대하여- (Degradation Pattern and Rate of Some Pesticides in Soils -Part I. Degradation Pattern and Rate of Parathion in Soils-)

  • 임선욱;강규영;최용락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4호
    • /
    • pp.239-247
    • /
    • 1983
  • 토양처리(土壤處理) 살충제(殺蟲劑)인 parathion을 토양수분조건(土壤水分條件)과 약제(藥劑)의 농도(濃度), 온도(溫度), pH, 및 토양미생물(土壤微生物)의 영향에 의해 분해(分解)되는 양상(樣相) 과 토양(土壤) 효소활성(酵素活性)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實驗)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침수답토양(?水畓土壤) 조건(條件)이 비침수(非浸水) 상태(狀態)보다, 전토양(田土壤)에서는 수분(水分)이 많은 처리구(處理區)에서 분해(分解)가 빨랐으며 답(沓)전토양(田土壤) 모두 저온구(低溫區)에 비해 고온구(高溫區)에서, 저농도(低濃度)보다 고농도(高濃度) 처리구에서, 토양(土壤) pH 수준이 높은구에서 분해율(分解率)이 증가하였고, 토양(土壤) pH 수준이 높은구에서 분해율(分解律)이 증가하였고, 포도당 첨가는 분해를 증대시켰는데 살균토양(殺菌土壤)은 비살균토양(非殺菌土壤)에서 보다 완만한 분해(分解)를 나타냈다. 상기(上記) 몇가지 인자(因子)들의 영향하에서 답토양(沓土壤)이 전토양(田土壤)보다 분해(分解)가 빨리 일어났다. 시기별로 채취한 시료에서 확인(確因)된 분리산물(分利産物)로는 paraoxon, aminoparathion, p-nitrophenol과 p-aminophenol 등이 논.밭 토양(土壤)에서 똑 같았다. 토양효소(土壤酵素) acid phosphatase의 활성(活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은 구에서 밭 토양(土壤)은 비침수상태(非浸水狀態), 논 토양(土壤)은 침수조건(浸水條件)에서, 토양(土壤) pH가 높은 수준일 수록 활성(活性)이 더욱 저하(低下)되었고, 살균토양(殺菌土壤)은 활성(活性)이 거의 없었고 포도당 첨가구엔 크게 증가(增加)하는 경향이었다. Urease와 dehydrogenase의 활성(活性)은 처리농도(處理濃度)가 높을수록 더욱 저하(低下)되었으며, 모든 토양효소(土壤酵素)는 밭 토양(土壤)이 논 토양(土壤)보다 활성(活性)이 전(全) 처리구(處理區)에서 낮았다.

  • PDF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세포독성 평가 (Risk assessment on cytotoxicity for benzimidazole fungicides)

  • 이제봉;성필남;정미혜;신진섭;강규영
    • 농약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98-206
    • /
    • 2003
  • Benzimidazole계 살균제의 세포독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CHL(chinese hamster lung) 세포를 이용한 Giemsa stain assay, Lactic dehydrogenase(LDH) activity, MTT assay, DNA synthesis inhibition test 및 Sulforhodamin B(SRB) assay를 수행하여 benzimidazole 계 살균제에 대한 약제별 세포독성을 평가하고 위해도 평가를 위한 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시험결과 LDH 활성은 carbendazim 4.0, 16.0 및 $32.0{\mu}g/mL$을 24 시간 처리하였을 때 음성대조군에 비해 농도별로 세포독성이 각각 2.16, 2.94 및 2.64배 강하게 나타났다. DNA 합성시험에서는 carbendazim $2.0{\mu}g/mL$ 농도에서 약 45% DNA 합성을 저해하였으며, Giemsa assay와 MTT assay에서도 세포와 mitochondria에 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Giemsa assay의 $IC_{50}$은 thiophanate-methyl, benomyl, carbendazim 및 양성대조 약제인 captafol에서 각각 >125, 1.2, 30.0 및 $0.3{\mu}g/mL$ 이었고, MTT assay의 $IC_{50}$은 thiophanate-methyl, benomyl, carbendazim 및 captafol에서 각각 >125, 18.7, 20.4 및 $2.6{\mu}g/mL$이었다. 그리고 세포 증식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된 SRB assay 의 $IP_{50}$(반수세포증 식억제농도)에서도 thiophanate-methyl, carbendazim, benomyl 및 captafol이 각각 17.4, 5.3, 1.5, 및 $0.5{\mu}g/mL$으로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급성독성이 낮은 benzimidazole계 살균제가 유전독성 등 특수독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원인일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