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 생성도

검색결과 2,388건 처리시간 0.037초

유기성 액상 슬러지로부터 휘발성 지방산의 회수를 위한 혐기성 막-발효기의 적용 (Application of Anaerobic Membrane-Fermenter for the Recovery of Volatile Fatty Acids from Organic Liquid Sludge)

  • 김종오;정종태
    • 멤브레인
    • /
    • 제14권1호
    • /
    • pp.37-43
    • /
    • 2004
  • 휘발성 지방산의 생성 및 회수를 위한 분리막의 유효성을 실험적으로 검토한 결과, 분리막의 적용에 의해 발효조 내의 부유고형물 농도, 유기산 생성균수 및 유기산 농도가 증가하였다. 혐기성 발효액의 고액분리 및 발효 효율향상을 위한 분리막의 적용은 발효조 내의 관련 미생물 농도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분리막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유기산 생성효율이 훨씬 증가하였다. 분리막이 결합된 산 발효조의 적용은 유기성 슬러지로부터 휘발성 지방산의 회수 효율증대에 효과적인 적용기술이라 판단된다.

생물학적 수소생산에 구리와 카드뮴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Cadmium or Copper on 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 윤우현;이태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58-964
    • /
    • 2005
  • 혐기성균에 의해 각종 탄수화물로부터 생성되는 수소가스의 량을 측정하였으며, 이 때 생성되는 유기산의 생성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카드뮴과 구리와 같은 중금속이 배양액에 존재할 경우 혐기성균에 의한 수소생산량과 발효산물의 변화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sucrose가 탄소원으로 사용되었을 때 3.43 mol H2/mol hexose의 최적 수소 생산량을 보였으며, 발효산물인 유기산은 acetic acid와 butyric acid가 주로 생성되었다. 카드뮴과 구리가 배양액에 존재함에 따라 수소생산량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 반면, 유기산 중에서 acetic acid의 생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수소생산에 미치는 영향은 구리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를 첨가한 우유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생육과 산생성 및 몇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Growth and Acid Production by Leuconostoc mesenteroides in Milk Added with Cereal and Analysis of Several Volatile Flavor Compounds)

  • 고영태;김경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6-322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곡류(쌀, 보리, 밀, 옥수수)를 각각 2% 첨가하고 Leuconostoc mesenteroides(ATCC 9135)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곡류의 첨가가 유산균의 생육과 산생성에 미치는 영향과 몇가지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였다. 곡류의 첨가로 Leuc. mesenteroides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30시간까지 발효하면서 적정산도와 pH, 생균수를 관찰한 결과는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산생성이 현저히 증가하였고 pH는 현저히 저하하였으며 생균수는 12시간 또는 18시간까지 현저히 증가하였다. GC에 의한 휘발성 향기성분 분석에서는 호상 요구르트에 함유된 휘발성분 가운데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diacetyl, butanol 및 acetoin의 6가지 성분이 확인되었으며 이중에서 발효에 의해 생성된 것은 acetaldehyde, ethanol, diacetyl 및 acetoin이었다.

  • PDF

청주 제조시 담금방법에 따른 발효 및 품질 특성 (Ferment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heongju by Different Mashing Methods)

  • 배균호;이상현;정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37-645
    • /
    • 2016
  • 본 연구는 재래누룩의 누룩곰팡이를 접종한 쌀누룩을 이용하여 담금방법을 달리한 청주를 제조한 후 발효 및 품질특성을 연구하는데 있다. 발효제 투입비율, 양조용수 비율, 발효온도, 원료쌀의 도정비율을 달리한 청주 술덧을 제조하여 30-50일간 발효시켰다. 쌀누룩을 발효제로 하여 총 원료 대비 투입비율이 15%일 때 알코올 발효속도가 느렸으나 최종 알코올 함량은 17%(v/v)로 다른 시료와 마찬가지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누룩투입비율이 높을수록 청주의 총유기산이 많이 생성되었고 그중 구연산, 주석산, 사과산은 많이, 호박산은 적게 생성되었다. 한편 양조용수비율이 낮을때 불완전발효가 일어났으며, 알코올 함량은 모든 시료가 17%(v/v)로 유사하였다. 양조용수 비율이 높을수록 청주의 총 유기산은 적게 검출되었으며 구연산과 주석산은 적게, 호박산은 많이 나타났다. 발효온도가 저온일수록 발효초반의 당화와 발효속도는 늦었으나 지속적인 발효가 진행되어 $10^{\circ}C$의 경우 최종 알코올 함량은 18.1%로 가장 높았다. 저온일수록 n-propanol, isobutanol, isoamyl alcohol 등의 고급알코올과 총 유기산이 적게 생성되었으며, 이때 구연산과 사과산은 많이, 호박산은 적게 생성되었다. 도정도가 높을수록 알코올함량, 총 유기산과 고급알코올이 적게 생성되었으며, 특히 10%도정미 사용시 도정도 20% 이상의 다른 시료들에 비해 현저히 많이 생성되었다.

치자 Genipin과 아미노산의 청색소변환반응에 관한 물리화학적 연구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the Transformation of Blue Pigments from Genipin of Gardenia jasminoides with Amino Acids)

  • 이재연;한태룡;백영숙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5호
    • /
    • pp.399-404
    • /
    • 1998
  • 우리 나라에서 오랫동안 식용 및 황색 색소원으로 이용되어 온 치자(Gardenia jasminoides)열매로부터 iridoid glycoside인 geniposide를 분리, 정제한 후 ${\beta}-glucosidase$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genipin을 glycine, alanine, histidine, lysine, phenylalanine, glutamate 등 여섯 종류의 아미노산과 반응시켜 수용성 치자청색소로 전환되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Genipin이 아미노산과 반응하여 청색소가 되는 과정에서 pH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여러 pH에서 반응을 시켜본 결과 청색소 생성의 최적조건은 pH 7.0 이었고, pH 3.0 조건에서는 청색소가 전혀 생성되지 않았으며, pH 12.0 조건에서는 미량의 청색소만 생성되었다. 아미노산의 종류에 따라서도 청색소 생성량 및 색감에 차이가 있었는데 $Iysine({\lambda}_{max}=573\;nm),\;glycine({\lambda}_{max}=595 \;nm),\;phenylalanine({\lambda}_{max}=602\;nm),\;alanine({\lambda}_{max}=595\;nm)$에 비해 $histidine({\lambda}_{max}=601\;nm)$$glutamate({\lambda}_{max}=601\;nm)$의 경우에는 비교적 적은 양의 청색소가 생성되었다. 청색소 생성 속도상수를 여러 온도$(60,\;70,\;80,\;90^{\circ}C,\;pH\;7.0\;phosphate$ 완충용액)에서 구하였는데, 염기성 아미노산이 중성 및 산성 아미노산에 비해 생성속도가 빨랐다. 이들 값으로부터 Arrhenius 활성화에너지를 계산한 결과 $glycine(E_A=9.8\;kcal/mol)$이 다른 아미노산$(E_A=13.3{\sim}15.4\;kcal/mol)$에 비해 특히 작은 값의 활성화에너지를 나타내었다.

  • PDF

쌀 입국 제조시 Rhizopus sp. ZB9의 배양 조건이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lture Conditions of Rhizopus sp. ZB9 on the Production of Organic Acid During the Preparation of Rice Koji)

  • 소명환;이영숙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70-75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의 누룩에서 분리한 Rhizopus sp. ZB9로서 탁주 및 약주 양조에 필요한 쌀 입국을 제조할 때에 배양 온도, 배양 시간, 증미 수분 함량, 입국 두께, 교반 작업 등의 배양 조건이 입국의 유기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한 것이다. Rhizopus sp. ZB9를 접종하여 배양 조건을 달리하여서 쌀 입국을 제조하고, 각 입국의 산도를 측정하였다. 유기산 생성에 적절한 온도범위는 $28{\sim}32^{\circ}C$이었으며, 이 온도에서 36~48시간 정도 배양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였다. 증미의 수분 함량을 25%에서 60%로 높임에 따라 유기산 생산은 비례적으로 증가하였다. 입국의 두께가 두꺼워지더라도 유기산 생성에 나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배양 중의 교반 작업은 유기산 생성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수분함유 기름 에멀젼의 형성경향, 생성방해 및 파괴에 관한 실험적 예측 (Laboratory Simulation of Formation, prevention and breaking of Water-in-oil Emulsion)

  • 강성현;오재룡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24-331
    • /
    • 1991
  • 해상유출유의 풍화산물인 수분함유 기름 에멀젼(water-in-oil emulsion)의 생성경 향과 안정도, 그리고 생성속도를 16개 원유에 대하여 측정하였다. 해상유출유의 방제 전략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요인인 에멀젼의 생성방해와 파괴를 위하여 사용되 는 유분산처리제와 에멀젼 파괴제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에멀젼의 생성경향은 사우디 아라비아산 원유와 이란원유, Dubai 원유, (Isthmus) 원유, 중국산 대경 원유 등이 높 게 나타났으며, 80-90%의 함수율을 보였다. 에멀젼의 안정도는 중동산 원유들이 대부 분 높았으며, 에멀젼 생성속도가 빠른 (Istymus) 원유와 대경원유 등은 오히려 불안정 한 특성을 보였다. 에멀젼의 생성경향과 안정도는 원유 중의 아스팔텐 함량과 가장 밀 접한 연관이 있었으며, 황, 바나디움 함량과도 처리제와 에멀젼 파괴제를 이용하여 에 멀젼 형성을 억제하는 능력을 시험한 결과, 국산 유처리제는 기름 용적의 0.2%, 정도 에서, 외산 유처리제와 에멀젼 파괴제는 0.1% 이하에서 방해 효과를 보였다. 에멀젼의 생성 방해효과는 에멀젼의 형성시기를 지연시키지만 함수율을 감소시키지는 못하는 것 으로 보인다. 에멀젼 파괴제인 Alcopol 0 유처리제에 비하여 강력한 파괴능력을 보였 으며, 에멀젼 용적의 0.1% 이하에서 빠르게 에멀젼 내로 침투하여 물과 기름으로 분리 할 수 있었다.

  • PDF

증류식 소주 증류중 유기산에 의한 에스테르화 (Esterification of Alcohols with Organic Acids during Distilled Spirit Distillation)

  • 류이하;김영만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295-299
    • /
    • 2002
  • 증류주에서 중요한 향미 물질인 에스테르 생성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발효완료 술덧에 알코올과 함께 존재하는 초산, 젖산, 구연산 같은 유기산의 종류별, pH별, 증규 온도별로 에스테르 생성 과정을 실험하였다. 유기산의 종류별 실험에서 생성 에스테르량은 ethyl acetate가 기주에 비해 최고 2.890%, ethyl lactate가 최고 6,410% 린 iso-amyl acetate가 최고 5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차시 pH는 중요한 요인이며,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ace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2,804% 증가하였고. 젖산 첨가 에스테르화 증류액의 ethyl lactate의 경우 pH 3.0이 pH 4.5보다 1,092%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온도는 초산첨가 에스테르화 가압(약 1.9 기압) 증류액은 상압(1기압) 증류액보다 ethyl acetate 생성은 18% 증가하였고, iso-amyi acetate 생성은 24% 감소하였고, 젖산첨가 데스테르화 가압 증류액은 상압 증류액보다 ethyl-lactate 생성이 33% 증가하였다. 에스테르화 증류시간은 pH 3.0에서는 ethyl acetate 생성은 반응시간 240분으로 충분하고, ethyl lactate 생성은 30된 이상 긴 반응 시간이 필요하였다. 결론적으로 증류주 제조에 있어서 2차 증류시 1차 증류액에 유기산을 첨가하여 증류하면 에스테르량이 증가한 2차 증류액을 얻을 수 있었다.

식초산 발효에 관한 연구

  • 조석금;정동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979년도 추계학술대회 심포지움
    • /
    • pp.248.2-248
    • /
    • 1979
  • 식초산 발효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연에서 초산균 52균주를 분리하고 그중 식초산 농도 5.5% 이상되는 초산균 CAU-4, CAU-15, CAU-17, CAU-46, 4균주를 선별하였다. 2. 정치배양과 진탕배양을 실시한 결과 산생성랑은 진탕배양에서 월등한 효과를 보였다. 3. 유기태 질소원의 첨가시 peptone을 0.4%까지 증가를 보였고, yeast extract는 0.1~0.2%가 최적량이고 그 이상은 산량이 감소되었다. 4. $NH_4NO_3의$ 자화성을 조사한 결과 CAU-17만이 자화하지 못하였고, 무기태 질소원으로서는 $(NH_2)_2CO가$ 가장 좋았다. 5. 무기염류는 $KH/_2PO_4,$ $MgSO_4.7H_2$ O 0~0.1% 첨가하여 약간의 효과를 보았다. 6. Glucose의 첨가량별 산량의 증가는 0.25% 첨가시 0% 첨가시 보다 증가를 보인 반면 1% 첨가시는 오히려 감소하였다. 7. 초발 alcohol농도가 낮을수록 유도기와 대수기가 단축되며 10%이상에서는 4균주 모두 산을 생성하지 못하였다. 8. 초발산도가 높을 경우 유도기가 길어지고 산생성량이 줄어 들었다. 9. 초산균의 배양온도는 $30^{\circ}C,$ $35^{\circ}C에서$ 산생성 속도가 가장 빨랐다. 10. 발효시 산생성량에 따른 세균수의 증가는 접종후 2~3일 사이에 가장 많았다. 11. 초산의 증가와 더불어 균체량은 증가하였고 pH는 약간색 감소하나 PH는 2.5이하로는 내려가지 않았다. 12. alcohol 잔량은 발효 개시 후 5 ~6일의 정지기에 가장 낮았다.

  • PDF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한 식물성 유지의 지방산의 정량 정성 및 산화안전성 평가

  • 박남영;조희정;전진영;김진숙;이지영;이치호
    • 한국축산식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축산식품학회 2004년도 제34차 추계 국제 학술대회
    • /
    • pp.416-420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식용으로 많이 쓰이는 식물성 유지인 콩기름, 올리브유, 고추씨기름을 Gas Chromatography를 이용해 각 유지별 지방산의 정성, 정량하였으며 이들 유지의 산화 안정성 평가를 위하여 산화적 반응의 기작의 생성물인 휘발성 분해 산물인 Pentanal 생성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1. Soybean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7.79%, 포화지방산은 12.21%를 차지했으며 Olive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2.77%, 포화지방산은 17.23%를 차지했다. Hot pepper oil의 지방산 조성은 불포화 지방산은 85.42%, 포화지방산은 14.58%를 차지했다. 2. 콩기름, 올리브기름, 고추씨기름의 pentane의 함량은 43.4, 30.4, 19.7nL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고추씨기름이 다른 유지에 비해 산화에 대하여 안정함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험에 선택된 콩기름, 올리브유, 고추씨기름에는 포화 지방산보다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었고, 특히 체내에서 합성이 불가능해 식품으로 섭취해야만 하는 필수 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체내 생체 활동에 유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패도 비교 평가에서는 hot pepper seed oil이 olive oil이나 soybean oil보다 낮은 산패도를 나타내어 다른 유지보다 산화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