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산점도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3초

다시마 추출물이 요구르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the Quality of Yogurt Added Water Extracted from Sea Tangle)

  • 정은자;방병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6-71
    • /
    • 2003
  • 요구르트의 기능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요구르트의 안정성을 높일 목적으로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부터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그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 중 0.5%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 제조한 요구르트의 적정산도가 1.89%로, 다시마 열수 추출액 무첨가구의 적정산도 1.53%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젖산균의 생육은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 촉진되어 무첨가구의 4.4$\times$$10^{8}$ CFU/$m\ell$보다 0.5%다시마 열수 추출액 첨가구가 1.4$\times$$10^{9}$ CFU/$m\ell$로 가장 높았다. 다시마 요구르트의 점도는 0.5%의 다시마에서 25 cps로, 무첨가구의 22 cps보다 높았으나 1.0% 다시마구에서는 무첨가구의 점도와 비슷한 21.5 cps로 나타났다. 7$^{\circ}C$에서 15일간의 저장시 다시마 요구르트는 pH, 산 생성 및 생균수에 거의 변화가 없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의 침전은 0.5% 다시마 열수 추출액으로 다소 억제시킬 수 있었으며, 관능검사에서 무첨가구에 비해 1%다시마 첨가구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Quality Factor: 교수연구업적평가를 위한 새로운 계량 지표 (Quality Factor: A new Bibliometric Measure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Faculty Research Performance)

  • 최은주;양기덕;이혜경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287-304
    • /
    • 2016
  • 본 연구는 교수의 연구업적을 보다 다면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합리적 방법을 고안하기 위하여 새로운 논문계량지표인 Quality Factor를 개발하였다. Quality Factor는 총 논문수, 피인용수, h-index, Impact Factor를 이용하여 수치를 도출한다. 새로 개발한 지표인 Quality Factor와 다양한 지표(논문 수, Impact Factor, 피인용수, h-index, g-index)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과 교수 189명의 14년간(2001-2014)의 학술논문데이터를 바탕으로 그들의 지표별(논문 수, Impact Factor, 피인용수) 순위를 산출하고 지표들 간에 스피어만 순위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Quality Factor는 전체적으로 피인용 수의 영향을 주로 받는 지표(피인용수, h-index, g-index)와 유사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산점도에서 Quality Factor가 타 지표에 비하여 분산된 분포를 나타내면서 개별식별성이 높은 것으로 드러났으며 군집 분할 분석에서도 타 지표들과 상이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제주도 돼지풀군락군의 분포와 식생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and Vegetation of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Community Group in Jeju Island)

  • 양영환;김문홍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24
    • /
    • 2003
  • 본 연구는 제주도 돼지 풀 군락군(Ambrosia artemisiifolia val. elatior community group)의 현존 식생을 파악하기 위해 식물사회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실시되었다. 조사된 식물상의 총 출현종수는 48과 156속, 200종 28변종 2품종(귀화식물 20과 54속 69종 3변종 포함)이 생육하고 있다. 제주도 돼지풀 (Ambrosia artemisitfolia var. elatior)군락군은 개망초 - 큰망초군락(Erigeron annuus - Conyza sumatrensis community Miyawaki, 1982)과 환삼덩굴- 왕고들빼기 군집(Lactuco indicae - Humuletum japonicae Okuda, 1978), 개보리 - 울산도깨비 바늘 군락(Bromus tectorum - Bidens pilose community Miyawaki, 1982), 강아지 풀- 왕바랭이 군락(Setaria viridis - Eleusine indica community Miyawaki, 1982 )으로 대별되었다. 돼지풀은 해안에서 해발 1,500미터 한라산 영실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돼지풀의 우점도와 군도가 가장 높은 곳은 해발 345미터, 조천읍 선흘리 근처이며 ,가장 낮은 곳은 해발 1,020미터인 국립공원 서귀포시 영실, 근처이다.

TEOS의 부분가수분해에 의한 실리카 졸의 합성과 유리섬유 제조 (Preparation of Silica Sol by Partial Hydrolysis of TEOS and High Purity Silica Glass Fiber)

  • 양현수;권오현;이재도;노재성;김영호
    • 공업화학
    • /
    • 제7권5호
    • /
    • pp.823-831
    • /
    • 1996
  • 본 연구는 [$H_2O$]/[TEOS]=1.7에서 산촉매를 첨가한 부분가수분해를 행하여 졸을 합성하였다. 최적의 방사성을 갖는 졸을 결정하기 위하여 부분가수분해에 의하여 합성된 졸을 trimethylsilylation하여 안정화시킨 후에 반응시간에 따르는 분자량과 점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최적조건하에서 제조된 졸용액에서 용매를 제거한 후 겔섬유를 제조하였고 이를 $1,000^{\circ}C$에서 열처리하여 실리카섬유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섬유는 단면적이 원형이며 인장강도는 $83{\pm}20kg/mm^2$이었고, 순도는 약 99.997%이었다.

  • PDF

역삼투법으로 분리, 농축한 두부순물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Whey Concentrated by Reverse Osmosis)

  • 김동만;백형희;진재순;이세은;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11-314
    • /
    • 1992
  • 역삼투 방법을 이용한 두부순물의 정화시 역삼투 잔사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두부순물 농축물의 성분 특성 및 분리 단백질의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두부순물의 역삼투 잔사 농축물에는 자당, 라피노오스 및 스타치오스가 건물 중으로 각각 32.59%, 4.76% 및 9.99% 함유되어 있었고, 무기물중 칼륨이 5.23%로 회분의 42.7%를 점하였다. 또한 조단백질 함량은 18.69%이었으며 아미노산 조성 및 전기영동상의 sub-unit 양상은 분리 콩단백질과 다소 차이를 보였다. 한편 두부순물로부터 분리한 단백질의 기능성중 pH에 따른 용해도는 분리 콩단백질에 비해 전반적으로 다소 높은 값을, 유화능과 유화안정성 및 점도는 분리 콩단백질보다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냈다.

  • PDF

식물세포분리효소를 이용한 수박과 참외의 단세포 함유 반응물 특성 (Characteristics of Suspension Containing Single Cells from Watermelon and Muskmelon Treated with Cell Separating Enzymes)

  • 박용곤;강윤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58-63
    • /
    • 2004
  • 수박과 참외의 황용도 증진을 위하여 조직을 개개의 세포로 분리할 수 있는 단세포화 기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들을 시판 식물세포분리효소인 Macerozyme A와 Sumyzyme MC로 30분에서 120분간 반응시간별 단세포 함유 반응물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단세포화로 얻을 수 있는 수율, 반응률, 단세포 함유 반응물의 색도, 점도, 총당, 총펙틴, 총폴리페놀, 무기질, 유리 아미노산 함량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분리된 단세포의 형태변화를 입도분포로 조사하였다. 전반적으로 효소반응시간이 경과 할수록 반응물의 성분 함량은 증가하였으나 세포벽에 의하여 내부 구성성분이 보호를 받아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박과 참외의 무기질 함량은 주스보다는 단세포 함유 반응물에서 상대적으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참외의 경우 무기질인 K의 함량은 효소반응물과 주스에서 각각 240.8 mg%, 172.7 mg%였다. 본 연구 결과는 수박과 참외로부터 효소반응 물의을 이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음료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유화제 종류에 따른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특성 (Effect of Emulsifiers on Characteristics of Microcapsule Containing Squid Liver Oil as a Core Material)

  • 황성희;이기택;윤광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9-32
    • /
    • 2007
  •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공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HLB 값이 다른 유화제를 이용하여 미세캡슐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유화액의 점도는 HLB가 낮을수록 증가하였고, 유화 안전성은 HLB 4가 가장 낮았으며 다른 실험구는 유사하게 나타났다. 오징어 간유 분말의 미세캡슐화 효율은 HLB 16으로 제조한 분말의 경우 35.0%로 높게 나타났다. 미세캡슐화된 분말의 흡습 안전성과 입도크기는 모든 실험구가 유사하게 나타나, 유화제의 HLB값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미세캡슐화 분말의 주요 지방산 조성은 실험구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고도불포화지방산은 모든 분말이 50% 이상으로 나타났고,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HLB 11, HLB 16로 제조한 분말이 2.07로 가장 높았다.

복령분말첨가가 제빵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ria cocos Powder Addition on the Baking Properties)

  • 서영호;김준한;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75-280
    • /
    • 1998
  • 재배산 백복령의 수요를 증가시키고, 제빵원료로서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식빵 제조시 여러 물리적 특성들을 조사하였다. 반죽 팽창력은 복령분말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감소하였으며, 이러한 경향은 1차발효, 2차발효 모두에서 동일하였다. 흡수율은 대조구인 강력분에 복령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되었다. 반죽의 생성시간과 안정도는 대조구보다 복령분말 5%, 10% 첨가구에서 증가하였으며, 15% 첨가구에서는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반죽의 약화도에 있어서도 복령무첨가 강력분에서는 30 B.U. 였으나 5% 및 10% 첨가구에서는 전혀 반죽의 약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반죽의 약화도와 관련이 있는 반죽의 내구성 지표인 v/v점 역시 복령분말 5% 및 10% 첨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죽의 점도는 복령분말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다가 15% 첨가구에서는 다소 증가하는 경항을 나타내었다. 반죽의 저항도는 복령의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크게 증가하였으나 신장도는 감소하였다. 또한 인장항력은 복령분말 5% 첨가구에서는 크게 증가하였으나 10% 및 15% 첨가구에서는 다소 감소하였다. 그리고 복령식빵의 관능평가에서는 복령분말 7% 이상 첨가시 기호도가 크게 낮아져 복령분말은 5% 이내로 첨가하는 것이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복령분말을 5% 첨가하여 제빵원료로 사용할 경우 수율면에서 뿐만 아니라, 제빵의 품질특성에서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부형제 조성비에 따른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특성 (Effect of Microcapsule Wall Materials and Mixing Ratios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capsules Containing Squid Liver Oil)

  • 황성희;윤광섭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30-34
    • /
    • 2007
  •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많은 오징어 간유의 미세캡슐화 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부형제 조성을 달리하여 미세캡슐화 특성을 살펴본 결과, 모든 조성비에서 유화액의 점도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고, Na-caseinate의 함량이 높을수록 유화안정성이 증가하였다. 미세캡슐화 효율은 Na-caseinate와 cyclodextrin의 비율이 4:6 > 6:4 > 5:5 > 3:7 > 7:3의 순으로 4:6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미세캡슐화된 분말의 흡습성은 cyclodextrin의 함량이 높을수록 증가하였으며, 수분함량과 입도크기는 모든 실험구가 유사하게 나타나 큰 영향이 없었다. 지방산 조성은 모든 조성비에서 고도불포화지방산이 5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Na-caseinate와 cyclodextrin의 혼합비가 4:6으로 제조된 분말의 포화지방산에 대한 고도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이 2.11로 높게 나타났다.

대추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의 개발 (Development of Teriyaki Sauce Added with Jujube Concentrate (Ziziphus jujube Miller) Extracts)

  • 안준배;최석현;김현룡;박미란;이세희;김동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39-251
    • /
    • 2012
  • 본 연구는 대추의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소스의 이화학적, 관능적 특성에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대추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구의 당도는 대추 농축액 무첨가구보다 높았다. 데리야끼 소스의 대추 농축액 증가에 따라 점도, 명도(L값), 적색도(a값), 황색도(b값)이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반면, 데리야끼 소스의 대추농축액 첨가량 증가는 pH, 염도,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는 대추 농축액 20% 첨가 데리야끼 소스가 가장 높은 관능선호도를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데리야끼 소스의 총균수는 대추 농축액 무첨가구, 첨가구 모두 저장기간동안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써, 위의 결과를 고려하여 대추 농축액을 첨가한 데리야끼 소스 제조 시 대추 농축액을 20% 첨가하는 것이 적절한 배합비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