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업클러스터의 체계성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Industrial Cluster System, and Entrepreneurship, RandD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산업클러스터의 체계성과 중소기업의 기업가정신, R&D역량 및 기술혁신)

  • Shin, Jin-Kyo;Im, Chae-Hyon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3 no.2
    • /
    • pp.171-188
    • /
    • 2014
  • Previous researches on technological innovation of SMEs have several limitations such as lack of study for industrial cluster system and entrepreneurship in SMEs, and ignoring role of RandD capability. So, this study suggested empirically a new model to SMEs.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system of industry and production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Secondly, entrepreneurship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Thirdly,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s on RandD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Fourthly, RandD capability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technological innovation. Fifthly, business support system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entrepreneurship, RandD capabilit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industrial cluster system(system of industry and production, system of science and technology), entrepreneurship and RandD capability were important for improvement of technological innovation performance in SMEs.

  • PDF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Supporting System for Forming Industrial Cluster in Large Area (광역적 산업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제도적 지원체계 연구)

  • 권오혁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7 no.2
    • /
    • pp.315-328
    • /
    • 2004
  • After M. Porter proposed the concept of industrial cluster, a lot of academic papers and industry surveys have suggested that industrial cluster is the key factor to competitive edge and long-term economic growth. Industrial cluster is often defined as geographical concentrations of interconnected entities in a particular industrial field. And the agglomeration economy is regarded the key factor of developing the industrial clusters. The industrial clusters often have been growing over the territory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 the institutes supporting the industrial clusters and the companies in great-sphere level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or comparing and analysing the institutes supporting the industrial clusters and the companies in great-sphere level including various local governments.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four types of the cooperative industrial supporting systems among various local governments are divided: 1. induc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into domestic area by regional development agency, 2. co-developing research parks or industrial parks by some local governments, 3. taking regional industrial statistics and writing development strategies over the boundary of the local governments, 4. constructing internet portal sites networking the local companies, universities, research centers of the same industrial cluster.

  • PDF

글로벌생산체계에서 중국 동관(東莞)지역의 역할과 IT·전자산업클러스터의 발전

  • Lee, Sang-Bin
    • Korea and Global Affairs
    • /
    • v.1 no.1
    • /
    • pp.153-176
    • /
    • 2017
  • 중국 경제성장에 핵심적 역할을 해왔던 광동성(廣東省) 동관시(東?市)는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는 홍콩을 이용하여 줄곧 경제발전을 추구해 왔다. 1980년대 초반은 홍콩으로부터 가전산업 관련 중소 다국적 기업이 동관지역에 진출하여 생산 공장을 세우고, 그 후 1990년 중반에는 대만의 PC제조업체의 진출이 잇따르면서 현재 동관에는 정보통신산업과 PC부품 및 전자산업 중심으로 지역 산업클러스터가 발전해 왔다. 동관시 산업클러스터 사례는 개혁개방이후 중국 제조업 산업의 발전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대에 해외직접투자와 아시아지역 후-후발산업국가에서의 지역경제의 성장 및 산업발전과정의 연구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을 줄 수 있는 지역적 사례 중의 하나다. 본 연구는 광동성 동관시 지역산업클러스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론적으로는 지역산업발전의 내생적 성장요인 분석(NMID) 혹은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와의 외부적 연계성을 기초로 하는 산업의 지역적 분화(GPN)에 대한 이 두 관점을 상호 비교하고, 글로벌 생산체계에서 공간적으로 현재 동관시 지역이 가지고 있는 산업클러스터의 위치와 역할을 설명하였다. 또한 산업적인 측면에서 생산네트워크 접근틀과 제도적 역량이라는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중국 동관시 지역산업과 기업들이 보유하고 있는 상대적 경쟁력을 분석하였다.

지역, 산업, 정책 클러스터의 생성배경과 특성

  • Park, Jae-Su
    • Journal of Scientific & Technological Knowledge Infrastructure
    • /
    • s.20
    • /
    • pp.52-59
    • /
    • 2005
  • 국가혁신체계로서 클러스터의 중요성과 더불어, 향후의 방향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클러스터의 지역, 산업, 정책적인 특성을 파악하여서 미래의 발전방향을 파악해보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러스터는 지역적으로, 산업적으로 확산되는 가운데, 정책적 지원을 통한 성장을 기대하고 있다. 지역, 산업, 정책 클러스터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지역 및 산업 간의 연결과 정책적 촉진(facilitate)은 불가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책은 클러스터의 진화에 필요한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설정에 의해 실행되어야 하고, 궁극적으로 시장의 자율적 역할이 극대화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고 있다. 따라서 클러스터 진화과정에서 시장의 자율 즉 새로운 비즈니스에 대한 시장의 엄격한 평가가 진행될 수 있도록 진화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PDF

경남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의 타당성분석과 발전전략

  • An, Yeong-Su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9
    • /
    • pp.1-27
    • /
    • 2007
  • 항공우주산업은 생산유발효과가 높고 고용창출도 높을 뿐만 아니라 부가가치산업이나, 대규모적 투자에 따른 투자 위험과 기술적 위험이 높아 정부차원에서의 개입이 불가피한 산업으로 인식된다. 최근 항공우주산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 형태는 클러스터 조성, 지방세 감면, 토지 임대를 통한 기업지원 등 과거에 비해 더욱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정부지원 형태의 다양성은 기존의 전통적 방식에 의한 지원으로는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는 국제경쟁에서 경쟁력 우위를 유지하기 어렵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산업 중심의 정부지원 전략에서 기업중심의 정부지원 전략으로의 선회 경향은 산업의 주체는 기업이기 때문에 기업의 전체적 역량에 의한 경쟁우위가 글로벌 경쟁에서 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경남의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조성 여건은 인프라 구축면에서 여타 지역에 비해 매우 우수한 하부 기반을 구축하고 있어 클러스터 구축에 따른 효율성과 국제경쟁력 확보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먼저, 클러스터 구축의 핵심이 되는 핵심선도기업인 KAI가 15년 전부터 대상지역에서 생산활동 중이며, 교육 및 훈련 기능도 비교적 풍부할 뿐만 아니라 공항도 인접해 있어 신속한 물류 및 정보공유, 해외시장과의 접근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볼 때, 경남지역의 항공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의 타당성은 높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현재의 항공우주산업 발전 단계상으로 볼 때, 부품산업의 발전이 긴요한 과제이므로 동 클러스터는 항공우주 부품 수출중심의 핵심 거점 클러스터로의 조성할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클러스터 조성에 따른 경남 항공우주 클러스터의 운영체계는 “항공우주산업 혁신 클러스터 추진단”을 중심으로 입주 업체, 항공우주 수출 지원단, 관련 R&D 기관 및 교육기관 등이 긴밀하게 연계 되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이외에도 중앙정부와의 협의 및 관련 단체들과의 연계를 통해 클러스터의 효율성과 경쟁력 제고를 위한 활동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 PDF

Innovation Cluster and Regional Development In Daejeon Regional (대전지역 혁신클러스터와 지역발전)

  • Ryu, Duk-Wi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2 no.3
    • /
    • pp.103-122
    • /
    • 2007
  • Innovation clusters developed or evolved around a specific region IS the key element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 and determine national competitiven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clusters, Korean government has made "Daedeok Special R&D Zone" in 2005. This paper examines the success factors of famous Cluster in advanced countries and China, and proposes the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in Daejeon through boosting Daedeok Innovation Cluster. Although 30.5% of government R&D investment is being concentrated in Daedeok along with 10% of the country's doctorate degree holders, it is lack of increasing revenue by linking corporate R&D with a creative and challenging entrepreneur spirit. The core of the innovation cluster is the integration and mutual networking of the main participants. This paper suggests strategies for developing as a world class innovation cluster, global networking and clustering, venture ecosystem formation, commercialization the knowledge by interacting with market. It also explains the necessity of regional integration for cluster to cluster linkages in the East Asia Region.

  • PDF

In Search of an Alternative Regional Industrial Policy by Linking Cluster Policy with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the Triple Helix Innovation System (스마트전문화 전략 및 트리플헬릭스 혁신체계와 클러스터 정책의 연계를 통한 대안적 지역산업정책의 모색)

  • Lee, Jong-Ho;Lee, Chul-W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9 no.4
    • /
    • pp.799-811
    • /
    • 2016
  • After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began, various cluster policies in explicit and tacit forms had been promoted. However, an opinion of coming up with new policy alternativ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is recently brought up for strengthening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agglomerations. This research attempts to discuss the ways in which both a smart specialization strategy and a triple-helix innovation system approach, as an alternative approach to regional industrial policy, are theoretically associated with the existing cluster policy. Through this discussion, it highlights that post-cluster policy should be not just based on regional specificity, but also facilitated by establishing the consensus space of innovation on the bassis of voluntary cooperation among industry, academy and government. It also stresses that it is necessary to focus on nurturing a new industry by systematic and intensive investment and the diversification of industrial cluster for reinforcing competitiveness of local universities and revitalizing practical cooperation between industry and university.

제조업과 정보통신 산업 클러스터 특성 비교분석 - 국내외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 Lee, Gi-Dong;Park, Jeong-Hui;Kim, Hak-Hui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12a
    • /
    • pp.489-505
    • /
    • 2003
  • 본 연구는 정보통신 산업 클러스터의 사례분석을 통해 제조업과 비교.분석하여 정책적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국내외 정보통신 산업 클러스터의 사례로 미국의 실리콘밸리, 일본의 테크노폴리스, 중국의 중관촌, 스웨덴의 시스 타와 국내의 대덕 밸리를 중심으로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산업 클러스터는 마이클 포터의 연구를 시작으로 하여 OECD 에서 국가혁신체제의 주요 주제로 제안하면서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등장하게 된다. 정보통신의 발달은 지역에 기반한 글로벌 경쟁력을 가진 산업 클러스터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이에 대한 정책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정보통신 산업 제품의 특성상 기술혁신 속도가 빠르고 제품의 라이플 사이클이 제조업 제품에 비해 짧은 특징을 지니고 있어, 투자에 대한 위험 (risk)이 발생한다. 또한 지식창조산업으로서 생산위주의 제조업과는 다른 지리적, 공간적 특성에 차이가 있으며, 고급 인력기술자의 활용도가 높아 안정적인 환경이 요구된다. 따라서 통신, 교통 등의 물리적인 기반시설뿐만 아니라 정보통신 관련 업체간 연계와 독특한 사회.문화적인 분위기 등이 어울려져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 산업 클러스터의 특성을 통해 본 연구는 경제의 신 성장동력 중에 하나인 정보 통신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세계적 수출산업으로 육성, 정보통신 중심지로서의 역할 수행 및 동북아 경제 중심 실현을 위해 정책적인 제안을 한다.

  • PDF

A Study on the regional cluster of munition industry by Social Network Analysis (사회연결망분석을 통한 군수품 산업의 지역별 클러스터 관계에 관한 연구)

  • Park, Dongsoo;Kim, JeongHwan;Lee, Donghu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0
    • /
    • pp.386-393
    • /
    • 2018
  • The Korean military supplies industry tends to become limited in terms of its development to specific areas in line with strategic promotion policies of the local private direct industrial site. However, the relation between base and small cluster is getting lower of the local industrial site. In this study, information related to authorized test reports for munitions was collected through the military quality information system and subjected to social network analysis(SNA). SNA was performed through the relationships among defense quality assurance agencies, test institutions, contracts and cooperative firms through UCINET's Two-Mode Network. In the field of weapon systems, the median technology industry, and the test analysis dependent are high in Seoul, so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rengthening the infrastructure for test analysis is needed. Also, it was deemed necessary for government-driven political support. Besides, the field support system was efficiently utilizing a relatively local test analysis. It was analyzed that they are overcoming the regional boundaries of small clusters by strategically changing their contract and cooperative firms' status. The research found some spatial inconsistencies between base and small clusters in the military supplies industry, and it was judged that a political suggestion was needed.

Main Elements for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s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세계적-지방적 연결성을 위한 주요 요소들)

  • Park, Yong-Gyu;Jung, Sung-H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4
    • /
    • pp.642-659
    • /
    • 2012
  • The main aim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oretical issues on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 and regional innovation system which have been presented since the 2000s in terms of three different aspects. Firstly, the concept of 'geographical proximity' is discussed within the context of its importance for the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by considering relationships of cluster, local buzz and global pipeline. Secondly, concepts on knowledge gatekeeper and temporary cluster are explored with respect to their role of a mediator in forming or transforming global-local connectivity. Finally, policy implications of the global-local connection are presented. Authors arguments are as follows; firstly, in order to improve regional industrial cluster on the basis of geographical proximity, relational proximity which is beyond different spatial scales has to be secured. It means that geographical convenience and inconvenience are required simultaneously for regional industrial development. Secondly, A base of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is socal capital and embeddedness. Therefore, it needs to understand that relational proximity is embedded into different culture and habit at different spatial scales. Finally, within the context of the global-local connectivity, in order to overcome spatial hierarchy by the division of labor of firms, it needs to consider the complex system which is composed of vertical and horizontal hierarchy by the spatial division of labor by firms, openness and closeness of clusters, and the scope of policies' inclusion and exclusion by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