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불특성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Properties of the Variation of Fe and Mn in the Vicinity of Soil Affected by Forest Fire for the Development of Technics that Reduces Forest Fire-induced 2nd Damage from Gangwon Provinces, Korea (2차산불피해저감기술개발을 위한 강원도 산불지토양 중 Fe-Mn원소의 분포특성)

  • 오근창;양동윤;김주영;남욱현;윤정한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5 no.3
    • /
    • pp.285-297
    • /
    • 200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e the factor properties of the soil affected by a forest fire through the physical and chemical analysis and the data from the conclusion of those analysis ar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technics that reduces a forest fire-induced 2nd damage. The forest fire was in December 2000 at Gangreung city and Donghae city, Gangwon provinces, Korea. Soil samples were collected at upper layers (0-5 cm) and bottom layers (5-40 cm) in November 2001 from the burned and control sites. Values of pH in burned soils of the upper layers affected by forest fire a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soils. Both the fragments of fire-burned plant and differences of geological properties are resulted in a class of soil. Contents of organic matters in burned soils a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soils, exceptionally the contents of organic matters in burned soils that contain coaly shale are lower than those in control soils. Weathering indices in burned soils are higher than those in control soils and it concerned with loss of soil. Iron ions Fe(Fe$^{2+}$ or Fe$^{3+}$) are easily extracted from the burned soils by rainfall, but Mn ions are straightly exist in the burned soils by physiochemical adsorption of colloid. Through the sequential extraction in the burned soils and control soils, we are certificate the extraction of Fe ions and the disturbance of Mn ions from the burned soils. As a consequence of factor analysis in burned soil and control soil, we are certificate that the influence of forest fire results in a disturbance of positive correlation factors.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s between 1991 and 2007 (1991년부터 2007년까지 산불의 공간적 특성)

  • Lee, Byung-Doo;Lee, Myung-Bo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3 no.1
    • /
    • pp.15-20
    • /
    • 2009
  •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forest fire, understanding of regional forest fire patterns is needed. In this paper, forest fire ignition and sprea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ased on forest fire statistics. Fire occurrences, burned area, rate of spread, and burned area per fire between 1991 and 2007 were parameterized for the cluster analysis, which results were displayed using GIS to detect spatial patterns of forest fire. Administrative districts such as cities and counties were classified into 5 clusters by fire susceptibility. Metropolitan areas had fire characteristics that were infrequent, slow rate of spread, and small burned area. However, 4 cities and counties showing fast rate of spread, and large burned area, in the eastern regions of Taeback Mountain range, were the most susceptible areas to forest fire. The next vulnerable cities and counties were located in the West and South Coast area.

Analysis of Forest Fire Conditions on Forest Structure Changing Annually (산불연료 조건에 따른 산불특성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Hae-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421-425
    • /
    • 2011
  • 산불연료 조건에 따른 산불특성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활엽수림이 4개소, 칩엽수림 1개소, 양양군은 침엽수림이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침엽수림이 2개소, 강릉시의 경우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임상구조에 따른 편면연소율은 침엽수림은 67.4%, 활엽수림 47.9%로 침엽수림의 편면연소율이 활엽수림보다 19.5%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침엽수림은 51.1%, 활엽수림 44.2%로 침엽수림의 수관피해율이 활엽수림보다 6.9%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침엽수림은 44.0%, 활엽수림은 42.3%로 침엽수림의 임목고사율이 활엽수림보다 1.7%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Analysis of Forest Fuel Quality by Forest Fire Damage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Myung-Woog;Lee, Hae-Pyeong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196-196
    • /
    • 2011
  •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 분석을 위하여 산불피해의 조사지역은 2009년, 2010년 산불이 발생했던 강원도 고성지역과 양양지역, 강릉지역과 삼척지역을 조사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고성군의 경우 숲구조가 유령림인 활엽수림이 2개소, 칩엽수림 1개소, 장령림인 활엽수림 2개소로 총 5개소, 양양군은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장령림 침엽수림 2개소 총 3개소, 삼척시의 경우는 숲구조가 유령림인 침엽수림이 1개소 외 대조구 장령림 침엽수림 1개소, 강릉시의 경우 숲구조가 장령림인 침엽수림이 3개소 총 13개소를 각각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산림연료 특성별 산불피해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지 규모는 $10m{\times}10m$로 하였으며, 현장 조사 항목은 조사지내의 산불피해 상태, 조사지 지형특성으로 나누어 조사를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상태는 산불진행방향, DBH, 총수고, 지하고, 고사여부, 편면연소, 밀도,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을 조사하였고, 조사지의 지형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조사지의 위치(GPS), 해발고도, 사면방위, 산지경사, 지형을 조사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조사장비로는 조사지의 지형도, 야장, 디지털 카메라, GPS, 수고측정기, 직경테이프, 캘리퍼, 50m 줄자 2개, 2m 폴대, 클리노메타, 바인더끈 등을 사용하였다. 산불사례 현장조사를 통해 임목고사여부, 편면연소, 수간피해율, 수관피해율 등의 산불피해 특성을 분석한 결과 연료의 특성별 유령림과 장령림의 편면연소율은 유령림은 97.3%, 장령림은 16.5%로 유령림의 편면연소율이 장령림보다 80.8%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관피해율은 유령림은 95.4%, 장령림은 19.9%로 유령림의 수관피해율이 장령림보다 75.5%더 피해를 입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임목고사율은 유령림은 73.8%, 장령림은 24.5%로 유령림의 임목고사율이 장령림보다 49.3% 더 피해를 받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 PDF

Study on the installation of Forest Fire Simulation Facility (산불 모의 실증 시험 설비 구축)

  • Lee, Won-Kyo;Choi, In-Hyuk;Lee, Sang-Yun;Noh, Hee-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9.07a
    • /
    • pp.361_362
    • /
    • 2009
  • 우리나라 송전선로의 위치는 대부분 산악지형에 포설되어 있어 산불 발생으로 인한 피해에 취약한 구조이다. 주로 산불에 의한 화염, 열, 연무 등 복합적인 환경 요인이 송전선로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로 인해 송전 선로를 구성하는 전선 및 애자를 포함한 금구류 등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어 전력 공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산불 진화에 사용하는 물과 방재용 약재에 의해 발생하는 부가적인 송전 선로의 특성 변화 역시 잠재적인 사고 발생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산불 발생시 송전선로에 미치는 영향 및 특성 연구를 위해 산불의 특성을 살펴보고 특성을 모의하여 시험 할 수 있는 산불 모의 실증 시험 설비를 구축에 대해 설명한다.

  • PDF

Developing the restoration method in forest fire damaged area using virtual GIS (Virtual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 복원기법 개발기법)

  • 조명희;이명보;임주훈;김준범;김성재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133-139
    • /
    • 2004
  • 우리나라의 경우 1990년대에 들어와서 산불발생건수 및 피해지역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산불피해지 복원기술은 주로 사방복구와 조림 등 녹화기술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산불피해지를 중심으로 산불특성, 임지환경을 고려한 내화수종의 선발 및 GIS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내화수림대를 조성하고 Virtual GIS의 활용을 통하여 공간정보자료가 산불피해지역 복원에 있어서의 경관생태학적 접근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적용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GIS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대형산불방지를 위한 산불 연소 특성을 고려한 내화수종을 GIS의 공간 분석을 이용하여 조성된 내화수림대에 적정 임분배치를 수행하였다. 아울러 연구 대상지의 나무 생장 모델을 이용하여 경년에 따른 산림경관을 조성하였으며 Virtual GIS를 활용하여 현실세계와 가장 유사한 3차원 지형을 구축하고 Tracking Simulation을 수행하였다.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and Spatial Patterns of Forest Types by the Ecoregions of South Korea (한국의 생태지역별 산불특성과 임상분포패턴과의 관계)

  • Lee, Byungdoo;Song, Jungeun;Lee, Myungbo;Chung, Joosa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7 no.1
    • /
    • pp.1-9
    • /
    • 2008
  • It is necessary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patterns of forest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fire and forest. By the ecoregions of South Korea, we computed landscape indices for whole types of forests(landscape level) and pine forests(class level),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using statistics of forest fires from 1991 to 2006. We performe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to mode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ndscape indices and the statistics of forest fires. At landscape level, forest patches were larger and more complex in the ecoregions which had higher percentage of forest area. At class level, pine forest patches were more complex and closer to neighbor patches in the coastal ecoregions. The ecoregions including metropolitan areas and cities had more frequent fire occurrences per 1,000ha, while mountainous coastal ecoregions had more burned areas and faster spread of fire growth rate. The canonical correlation between the landscape indices for pine forests and the statistics of forest fir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05 level and explained more than 70% of the variation in fire variables. The results showed that combustion time per fire was longer in the ecoregions which had larger and more aggregated pine forest patches.

Evaluation of the Water Quality Impact of Bibong Mountain Forest Basin for Forest Fire Damage (산불로 인해 훼손된 비봉산 산림유역의 수질 영향 평가)

  • Sung Hoon Ahn;Ui Seok Kim;Yong Bin An;Eun Mi H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16-416
    • /
    • 2023
  • 전 국토의 산지 비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산림지의 특성이 수질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산림지역의 화재에 있어 산림이 갖는 수질, 토성의 변화와 발생한 연소 퇴적물, 유기물로 인해 수자원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산불은 단순한 산림지의 자원 유실뿐만 아니라 토양층의 물리적약화와 강수저류 효과를 떨어뜨려, 산불 후 유출의 증가를 보인다. 삼척시의 산불 선행연구에 따르면, 산불 발생 직후, 지역의 직접 유출이 기저 유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에 따라, 모든 수질인자의 평균 농도는 비발생지역에 비해 발생 지역의 농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며, 이 중 T-N, T-P, SS의 농도가 특히 크게 나타났다. 또한, 계류 수질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한 결과, BOD와 COD는 산불 발생 최소 4개월의 기간을 거친 후 점차 안정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산불로 인해 훼손된 물 환경의 상황을 복구하고자 하는 연구의 데이터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22년 4월 산불이 발생한 강원도 양구군 양구읍 송청리 비봉산 일대의 산불 유역을 대상으로 산불에 따른 물 환경의 변화를 밝힘으로써 산불로 훼손된 지역의 효과적인 수질 회복과 물 환경 보전 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2023년 4월 양구 비봉산의 산불 복구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데 복구 전 현재 수질의 상황을 살펴봤다. 조사 지역은 비봉산 일대의 산불 지역과 비발생 지역, 오봉산 일대까지의 유역 출구 총 7개의 지점을 선정하였다. 기본 수질항목은 현장에서 YSI PROPLUS (Mobile Multi Sensor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채취한 시료는 무균 채수 병에 담아 실험실로 운반하여 SS (Suspended Solids), TP(Total Phosphorus), TOC (Total Organic Carbon) 항목에 대해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SS, TOC, t-p의 경우, 지정학적 특성, 산불에 의한 퇴적물들의 변화와 토양의 형태 및 식생의 변화로 인한 결과의 차이를 보였다. 1년이 지난 지금 산불 직후처럼 높은 수치는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아직 복구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아 그 영향에 대해 무시할 정도로 안정화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산불 발생 후 강우 및 토사유출에 대한 비 산불 지역과의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수질 오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이다. 또한, 수처리 기술개발을 포함한 예방책을 만들어 내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길 바란다.

  • PDF

The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in Korea (우리나라 30 ha 이상 산불피해의 분포 및 특성 분석)

  • Lee, Hyung-Seok;Lee, Si-You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5
    • /
    • pp.39-46
    • /
    • 2011
  • In order to consider the prevention countermeasure to the occurrence of forest fires, analysing characteristic of the past forest fire data is needed. This research analyzed distribution and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based on statistics data of forest fires in Korea between 1975 and 2010. As a result, the number of forest fires damage over 30 ha as 23 was most occurred in 1978. Forest fires show an upward tendency from 1970 to 2000. Forest fires of 30 ha~50 ha damaged area was most occurred. Forest fire in Gangwon province was occurred as the number of total 66 (37.0 %). Gangwon province was superior in point density analysis. The number of forest fire occurrence over 30 ha was most high to 114 (63.0 %) in April and to 44 (24.3 %) in Sunday. The occurrence number of forest fire and damage caused by forest fire is increasing more and more since 1975, appropriate authorities can use effectively in devising policy for forest fire prevention from this result.

Characteristic Analysis of Forest Fire Burned Area using GIS (GIS를 이용한 산불피해지역 특성분석)

  • Lee, Si-Young;Kang, Yong-Seok;An, Sang-Hyun;Oh, Jeong-S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5 no.1
    • /
    • pp.20-26
    • /
    • 2002
  • The forest fire occurrences and burned area are increasing every year since 1990 in Korea, of which 65% is covered by forest.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f forest fire burned area using GIS, and we also applied the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the fire characteristics such as weather, forest as fuels and topography in small and large forest fire burned areas. The result of the statistical analysis shows that the size of forest fire was related to the slope length, slope degree, wind speed, forest type, and forest continu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