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림면적

Search Result 7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K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서영권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4
    • /
    • pp.296-302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연천봉고개(해발 700m)를 중심으로 남향사면인 시원사~원천봉고개와 북향사면인 갑사~연천봉고개를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교목층과 아교목층의 산림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남향사면은 북향사면에 비하여 교목측의 밀도는 높은 반면 평균흉고직경은 작았다. 특수한 지형인 주능선부에 위치하는 정부를 제외하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교목층과 아교목층 전체의 평균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인 남향사면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북향사면은 남향사면에 비하여 교목층과 아교목층 전체의 동다양도와 균재고가 높았다. 남향사면에서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느티나무, 졸참나무, 까지박달, 신갈나무등이었으며,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굴참나무, 서어나무, 때죽나무 등이었다. 북향사면의 경우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중요치가 증가하는 수종은 까치박달, 쪽동백나무 등이며,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때죽나무, 졸참나무 등이었다. Cluster 분석결과 남향사면중, 하부의 굴참나무-낙엽활엽수군집지, 남향사면 상부와 북향사면상, 중의 신갈나무-낙엽활엽수군집, 북향사면 하부와 정부의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등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굴참나무, 산벚나무, 밤나무 등 3개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었으며, 유의적인 정의 상관을 보인 굴참나무, 산벚나무, 밤나무 등 3개 수종은 당당풍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다.

  • PDF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계곡부의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산림구조)

  • 박인협;임도형;문광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1
    • /
    • pp.11-17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의 장터목을 중심으로 남향사면인 중산리-장터목지역과 북향사면인 가내소폭포-장터목지역을 대상으로 사면방향과 해발고에 따른 교목츠의 산림구조를 조사분석하였다 북향사면은 남향사면에 비하여 교목층의 밀도 흉고단면적 종다양도가 높은경향을 보였다 특수한 지형인 주능선부에 위치하는 정부를 제외하면 해발고가 ?아짐에 따라 교목층 전체의 평균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은 북혀 사면에서는 감소하는 반면 남향사면에서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종수, 종다양도, 균재도는 남향사면과 북향사면 모두 해발고가 높아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남향사면과 북향사면에서 모두 해발고가 증가함에 따락 중요치가 높아지는 수종은 구상나무 철쭉꽃 등이었으며 중요치가 감소하는 수종은 졸참나무 서어나무 생강나무 등이었다 cluster 분석결과 남향사면 하부의 졸참나무-활엽수군집 남향사면 중부와 북향사면 하부의신갈나무-전나무군집 남향사면 상부와 북향사면 상중부의 구상나무-활엽수군집 정부의 구상나무군집 등 4개 유형의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졸참나무 산뽕나무 비목나무 고로쇠나무 서어나무 다릅나무 등의 수종간에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 있어으며 구상나무와 사닥나무는 노각나무와 유의적인 부의 상관이 있었다.

  • PDF

GIS based Estimation of Carbon Emission for a Local Government Unit (지자체 단위의 GIS기반 탄소발생량 추정)

  • Kim, Tae-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9 no.4
    • /
    • pp.81-89
    • /
    • 2011
  • Low-carbon Green Growth is highlighted as the main issue from in and outof Korea. Recently Korean government and local goverment constructed a master plan and related database. Considering this as a starting point the carbon gross emission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city planning and management of local goverment unit. This research wa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arbon gross emission and the environment of carbon occurrence using statistics and digital forest map for the Gyeonggi-do. Further research need to analysis the carbon absorption using satellite image for periodic database. These database will be available basic data for the policy making.

The Variation in Foliar Characteristics of Natural Population of Camellia japonica L. (동백나무 천연집단(天然集團)의 엽형질(葉形質) 변이(變異))

  • Kim, Yong Sh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69 no.1
    • /
    • pp.69-75
    • /
    • 1985
  • Thes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know the variation of foliar characteristics of Camellia japonica distributed in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values such as leaf length, leaf width, and leaf area were the most highest in Chukdo population, while the lowest in Chejudo population. 2) The values of Wando population showed the most highest in leaf serration characters, while the values of Kochang population the lowest. 3) In the number of cort warts, the values of Chundo population showed the most highest, while Dodcong population the lowest.

  • PDF

The Importance of Intensive Forestry Management for Fiber and Energy Production in Korea (섬유(纖維) 및 에너지생산(生産) 증대(增大)를 위(爲)한 집약적(集約的) 임업경영(林業經營)의 필요성(必要性))

  • Hyun, Sin Kyu;Lee, Don K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44 no.1
    • /
    • pp.43-47
    • /
    • 1979
  • Increased demand for wood products and recent energy crisis have stimulated much attention over the world to the concept of intensive forestry management systems. This shows great potential of increasing biomass yields. Biomass probably will not be a major source to solve the whole problems of fiber and energy shortage but as an alternative source it will, in part, help meet the remarkable demand. In Korea, the systems are not only feasible because of available land areas, many appropriate tree and existing forestry techniques already available, but also urgently needed.

  • PDF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WAT predicted forest soil moisture and MODIS NDVI image (SWAT 모형의 산림 지역 토양수분과 MODIS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NDVI와의 상관성 분석)

  • Hong, Woo-Yong;Park, Min-Ji;Park, Jong-Yo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111-11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SWAT 모형에서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해 MODIS NDVI의 활용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MODIS 위성영상을 이용하여 시간해상도 16일, 공간해상도 250m의 NDVI를 추출하였으며, 대상유역은 면적이 약 $6661.3km_2$ 이고 그 중 산림이 약 82.2%를 차지하고 있는 충주댐 유역으로 하였다. 보다 신뢰성 있는 자료를 얻기 위해 토양, 토지이용 등 유역의 특성이 다른 상류와 하류로 나누어 다지점 검보정을 수행하였으며, 2003년부터 2006년까지의 유출 자료를 이용하여 모형을 보정하고, 2000, 2001 그리고 2002년에 대하여 검증하였다. 검보정 결과 모형 효율성 계수는 상류와 하류에 대하여 각각 0.91, 0.87, 결정계수는 각각 0.90, 0.80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기간은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이고, NDVI의 특성에 따라 봄기간과 가을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선형회귀 방적식과 결정계수를 이용하여 상관성을 판단하였다. 분석결과 SWAT에서 모의된 토양수분과 MODTS NDVI는 약 55%의 상관성을 나타내었고, 가뭄해인 2001년에 약 85%로 상관성이 매우 높고, 비가 많이 온 해인 2002년에 약 2%로 상관성이 매우 낮아 NDVI는 가뭄 기간 SWAT에서 모의된 토양수분의 신뢰성을 검증할 수 있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 PDF

The impact of topography and soil property to spatial and temporal distribution of soil moisture at a Forest Hillslope in the Cheong-Mi Catchment (청미천 산림사면에서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및 토성인자들의 영향)

  • Gwak, Yong Seok;Jang, Eun Se;Kim, Sang 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72-472
    • /
    • 2015
  • 토양수분은 수문학에서의 물 순환을 비롯한 여러 다양한 자연과학적 분야에 중요한 인자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사면인 지형학적, 토양학적으로 복합적이고, 불균질한 작은 산지사면에서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에 대한 지형, 토성인자의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한다. 토양수분은 TDR방식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안정적으로 측정이 되었으며, 각 영향인자들은 사면의 지형분석 및 토성분석을 실시하여 확보되었다. 지형인자는 습윤지수, 기여사면면적, 지역적 경사 그리고 토양깊이 인자이며, 토성은 모래, 실트, 점토함량, 가밀도 값을 이용하였다. 사면의 측정된 토양깊이별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변동에서의 각 인자와의 상관분석 및 다변량 분석을 통해, 각 영향인자들의 관련성 평가하였다. 사면 전체측정지점들의 토양수분의 시공간적 분포와 영향인자의 상관분석을 통해서 토양수분의 결정에는 지형보다는 토성의 영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났지만, 모래함량이 높은 토성을 가진 측정지점들에 한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지형의 영향은 증가하였고, 토성의 영향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토양깊이별 상관분석에서는 토양깊이 10cm의 각 인자와의 관련성이 30, 60cm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변화에 따른 각 인자와의 상관계수 변화는 토양수분이 약 28~32%정도의 포화되기 전의 습윤한 조건일 때, 각 인자들과의 상관성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Predicting Landslide Damaged Area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적용한 산사태 피해면적 변화 예측)

  • Song Eu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5 no.4
    • /
    • pp.376-386
    • /
    • 2023
  • Due to climate changes, landslide hazards in the Republic of Korea (hereafter South Korea) continuously increase. To establish the effective landslide mitigation strategies, such as erosion control works, landslide hazard estimation in the long-term perspective should be proceeded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climate change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hange in landslide-damaged areas in South Korea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the multivariate regression method. Data on landslide-damaged areas and rainfall from 1981-2010 were used as a training dataset. Sev en indices were deriv ed from rainfall data as the model's input data, corresponding to rainfall indices provided from two SSP scenarios for South Korea: SSP1-2.6 and SSP5-8.5. Prior to the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e conducted the VIF test and the dimension analysis of regression model using PCA. Based on the result of PCA, we developed a regression model for landslide damaged area estimation with two principal components, which cov ered about 93% of total v ariance. With climate change scenarios, we simulated landslide-damaged areas in 2030-2100 using the regression model. As a result, the landslide-damaged area will be enlarged more than the double of current annual mean landslide damaged area of 1981-2010; It infers that landslide mitigation strategies should be reinforced considering the future climate condition.

Analysis of Spatial Information Characteristics for Establishing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Matrix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매트릭스 작성을 위한 공간정보 특성 고찰)

  • HWANG, Jin-Hoo;JANG, Rae-Ik;JEON, S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1 no.2
    • /
    • pp.44-55
    • /
    • 2018
  •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a greenhouse gas inventory is emerging for policymaking and its implementation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us, it is needed to establish Approach 3 level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matrix that is spatially explicit regarding land use classifications and changes. In this study, four types of spatial information suitable for establishing the LULUCF matrix were analyzed - Cadastral Map, Land Cover Map, Forest Map, and Biotope Map. This research analyzed the classification properties of each type of spatial information and compare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aps in Boryeong city. Drawn from the conclusions of the quantitative comparison, the forest area showed the maximum difference of 50.42% ($303.79km^2$) in the forest map and 46.09%($276.65km^2$) in the cadastral map. The qualitative comparison drew fiv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data construction scope difference, data construction purpose difference, classification standard difference, and classification item differ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evident that the biotope map was the most appropriate spatial inform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LULUCF matrix. In addition, if the LULUCF matrix is made by integrating the biotope, the forest map, and the land cover map, the limitations of each spatial information would be improved. The accuracy of the LULUCF matrix is expected to be improved when the map of the level-3 land cover map and the biotope map of 1:5,000 covering the whole country are completed.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aerial photographs for forest inventory (항공사진(航空寫眞)을 이용(利用)한 산림자원조사법(山林資源調査法)의 연구(硏究))

  • Kim, Kap D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30 no.1
    • /
    • pp.1-7
    • /
    • 1976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Bo-Eun Gun, Chung-Cheong Buk Do. The forest types having been classified, the each area was measured by dot-grid method. The 820 sample points having been obtained by systematic sampling method, the tree heights, crown densities, crown diameters in the points were measured on the aerial photography, and the volumes per hectare were estimated by the comparison with stereogram. Thirty eight plots, which amounted to about 4.5% of all the sample points, were sampled with double sampling method and volume were measured by the ground survey metho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tia between the values measure by dot-grid method and the statistical values obtained by the authority for the area. 2.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tia between the estimated values and the measured values for the volume. And the coefficient (b) was 1.18. 3. The heights of conifer trees were easily measured more or less, but it was some difficult for the deciduous trees, because the tops of trees were not observed easily. 4. All the values had a tendencies to be overestimated in the low stocked stand and to be underestimated in the high stocked stand. 5. When the aerial volume table method by ground checking needs to be used together, the work should be performed by the experienced technician and the photgraphic volume table should be made in advanced of the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