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산림군집구조

Search Result 198,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The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Mt. Minjuji (민주지산의 산림군집구조분석)

  • 최송현;조현서;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1
    • /
    • pp.111-125
    • /
    • 1997
  • To investigate the climax forest structure and to construct the ecological basic data, forty nine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in Mt. Minjuji, Chungchongpukdo.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y was divided by seven groups of Pinus densiflora-Carpinus laxiflora-Quercus serrata(community I), Q. mongolica-Q. serrata-Platycarya strobilacea(community II), Q. mongolica(community III), Fraxinus mandshurica-Acer mono(community IV), Cornus controversa-F. mandshurica(community V), F. mandshurica-Carpinus cordata(community VI), and F. mandshurica-C. laxiflora(community VII). I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species structure, similarity, diversity and DBH, except for community I~III, it was founede out broadleaves-mixed-climax forest. Constructed basic data will be applied to sustainable development such as ecotourism, nature trail etc.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Breeding Bird Community and Forest Structure at a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Hokkaido, Japan (일본 북해도 낙엽활엽수림의 산림환경구조와 번식 조류 군집과의 관계)

  • Lee, U Si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19 no.4
    • /
    • pp.353-353
    • /
    • 1996
  • 이 연구는 1988년 5월 초순부터 6월 중순까지 일본 북해도 대학 토마코마이 연습림에서 산림시업에 의한 산림구조가 다른 두 지역에서 산림환경구조와 번식조류군집과의 관계를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지간의 차이를 밝히기 위한 정량적인 서식지분석과 조류군집을 평가하기 위한 세력권 도시법과 길드분석을 하였다. 우점수종은 신갈나무, 일본목련, 산벚나무, 고로쇠나무 등이었다. 임층의 피도는 상중층은 비간벌지가, 하층은 간벌지가 높았다. 조사지에서 34종의 조류가 관찰되었고 21종이 세력권을 확보하였다. 황금새, 산솔새, 박새, 섬참새, 동고비, 쇠박새가 우점종이었다. 조사지간에 번식조류의 종수는 동일하였으나 조류군집구성은 달랐다. 수동영소길드 조류 종수와 쌍수는 비간벌지에 많았으나, 지면영소길드 조류는 간벌지에서 많았다. 그리구 수관층영소길드는 조사지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므로 적정한 간벌과 같은 산림시업은 모든 산림조류에 부적당한 것이 아니고 관목, 지면 영소길드와 나무와 관목, 지면채이길드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또 산림시업이 수동과 수관영소길드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Analysis and Comparison of Community Structural Attributes by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천연활엽수림의 지형적 위치와 사면방위에 따른 군집 구조적 속성 분석 및 비교)

  • Yang, Hee-Moon;Kim, Ji-Hong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v.18 no.1
    • /
    • pp.73-86
    • /
    • 2001
  • Taking account of the structural variation on species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topographic positions and aspects, the forest community attributes such as species composition,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coefficient were comparatively analyzed for the three topographic positions and the four aspects in the natural deciduous forest of Mt. Gari a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overstory were Quercus mongolica in the mid-slope, the ridge, and all aspects areas, however, the stands of the topographic positions were less similar than the stands of the aspects in species composition, because of the appearance of the specific domonant species such as Juglans mandshurica in the valley area and Pinus densiflora in the ridge area. 2. Among the three topographic positions, the mid-slope area had greatest species diversity index in overstory, but the index of the valley had greater value than those of mid-slope and ridge in mid-story and understory. The north-east area among the aspects had greatest the index in all canopy layers. However, The stands of the aspects showed more smaller variation than the stands of the topographic positions. 3. The ridge area showed greatest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ith the mid-slope area, but showed least similarity coefficient value with the valley. However, similarity coefficient among the topographic positions had much smaller value than similarity coefficient among the aspects.

  • PDF

Analysis on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the Area of Donghaksa-Nammaetap. Kyeryongsan National Park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납매탐구간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 최송현;조현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4
    • /
    • pp.252-267
    • /
    • 2001
  • 계룡산국립공원 동학사-남매탑구간의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64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식생구조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의 기법 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집분리를 시도하였으며, 그 결과 소나무 군집(I), 굴참나무-소나무군집(II), 서어나무-굴참나무군집(III),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IV), 서어나무-까지박달군집(V), 신갈나무-서어나무군집(VI), 느티나무-졸참나무군집(VII) 그리고 느티나무군집(VIII)의 8개로 분리되었다. 연륜분석결과 이지역의 임령은 약 60년 안팍이었으며, 단위면적(100$\m^2$)당 평균출현종수는 15.0$\pm$3.2종. 평균출현개체수는 95.7$\pm$37.3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계룡산국립공원이 동학사-남매탑구간 지역은 소나무림에서 굴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림을 거쳐 서어나무, 까지박달림으로 천이가 진행될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

Change of Plant Community after Road construction -Case Study on Seongsamjae Road in Chirisan National Park- (도로건설이 식물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지리산국립공원 성삼재관통도로를 사례로-)

  • 김보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4 no.2
    • /
    • pp.127-138
    • /
    • 2000
  • 도로건설에 의한 식물생태계 영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기 위하여 도로로부터 산림 내부에 이르는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의 변화, 비탈면에 도입한 외래종의 식생천이 및 확산현황, 귀화식물의 분포현황을 파악하였다 도로로부터 거리에 따른 식물군집구조 분석결가 도로건설로 인해 발생된 비탈면과 비탈면 끝지점에서 산림방향으로 10~20m 구간까지 종구성의 변화가 나타났다. 절개비탈면 급속녹화용으로 도입된 큰김의털(Tall Fescue) 경관 및 식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성토비탈면에 파종된 외래종들은 빗물이나 바람을 따라 산림 내부로 유입되어 햇빛이 잘 드는 계곡부나 산림 내부에 잔조하고 있어 식물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성삼재관통도로변에서 조사된 귀화식물은 총 13과 35속 44종 1변종으로 45종류이었고 도로건설로 나지가 넓게 분포하는 곳이나 이용객이 집중되는 지역에서 출현종수 및 빈도가 높았다.

  • PDF

Studies on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of the Seonghwoanglim(Natural Monument No. 93) in Wonju (원주시 성황림(천연기념물 제93호)의 식생구조 및 관리대책에 관한 연구)

  • 백길전;김갑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61-69
    • /
    • 1999
  • 본 연구는 치악산국립공원에 위치하는 성황림의 산림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20개의 조사구를 성황림의 평지림과 사면림에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성황림의 산림군집은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과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군집으로 분리되었다. 평지림의 졸참나무 - 복자기나무군집으로 복자기나무 - 졸참나무군집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이라 판단되며, 사면림의 고로쇠나무 - 층층나무군집으로 그대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된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느릅나무와 으름덩굴.복자기나무.줄딸기, 복자기나무와 으름덩굴, 회잎나무와 졸참나무, 참회나무와 국수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아주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동질적인 지위(niche)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산뽕나무와 쪽동백나무, 복자기나무와 쪽동백나무.당단풍 등의 수종들 간에는 비교적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보여 이질적인 지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의 종다양도는 1.2303~1.2741로 높은 종다양성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the Forest Community Structure in the Woraksan National Park - Case Study of Yeongbong and Doraksan Region - (월악산국립공원의 산림군집구조 - 영봉 및 도락산 일원을 중심으로 -)

  • Oh Koo-Kyoon;Choi Song-Hyun;Kim Sung-Hyun;Choi Woo-Kyong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2
    • /
    • pp.90-98
    • /
    • 2005
  •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Woraksan National Park, twenty-two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lassification by TWINSP 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by six groups;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Q. mongolica-Q. serrata, Q. mongolica-Betula davueica, P. densiflora-Q. mongolica, Q. mongolica, Q. mongolica-Acer pseudosieboldianum. Successional sere of the forest vegetation in the surveyed area were proeeding from Pinus densiflora to Quercus serrata, Quercus monogolica in the canopy layer group and from Rhododendron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to Fraxinus sieboldian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in the understory layer group. But Q. mongolica might be edaphic climax species in some area.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the Sinhungsa - Wasondae Area, S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 산림식생구조 - 신흥사~와선대지역 -)

  • 최송현;권전오;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0 no.2
    • /
    • pp.270-282
    • /
    • 1997
  • This investgation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program of the Soraksan national park. Sixty plots were set up and surveyed in the Sinhungsa-Wasondae Area.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two communiti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serrata communit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CA ordination. It was found out that the succession of the Pinus densiflora comunity would proceed to Quercus serrata community of which components was dominant in understory layer and shrub layer. And it was found out that in the Quercus serrata community the Pinus densiflora being mainly big size in DBH would becomr dominant comtinuously. Shannon's diversity of both community were 1.2554 and 1.1134 respectively. The numbers of woody species per 100m$^{2}$ ranged 7 to 26, and the average number of woody species was 13.

  • PDF

Vegetation Structure of the Songinbong Virgin Forest(Natural Monument) in Ullungdo, Korea (울릉도 성인봉 원시림의 산림군집구조)

  • 한봉호;김동완;조현서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2
    • /
    • pp.138-146
    • /
    • 1998
  • Ten plots were established to study the vegetation structure of the Songinbong virgin forest in Ullungdo. It was classified into three communities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commnunity, Acer okamotoanum-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community, and Acer okamotoanum community. Shannon's diversity indicies of this area were not high(0.5150~0.8437), due to the geographical and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Considering the community structure(importance value, distribution of DBH class, and so on), the vegetation of the Songinbong virgin forest are thought to be stable continuously. With the analysis of plant growth type, it was presumed that Acer okamotoanum have increased after artificial disturbances in this area where Fagus crenata var. multinervis had been dominanat.

  • PDF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Ch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 산림군집구조)

  • 송광섭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4
    • /
    • pp.382-391
    • /
    • 2000
  • 지리산국립공원 연하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기 위해서 48개의 조사구(1개 조사구 단위면적 100m2)를 설정하고 식생조사를 하였다 48개의 조사구는 DCA 분석에 의하여 2개의 군집(들메나무군집 시날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층위별상대우점치와 흉고직경급별 분포 분석결과 들메나무와 신갈나무는 현상태를 계속유지할 것으로 보이며 들메나무군집은 계곡부 토지극상림을 이루고 있었다 연하천계곡의 Shannon 종다양도지수는 들메나무군집은 1.0810 신갈나무군집은 0.2468이었다 들메나무는 함박꽃나무 물참대 참회나무 바위 마발도리 개회나무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신갈나무 생강나무, 조릿대, 노린재 , 당단풍과 부의상관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