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측정적 인기도

검색결과 20건 처리시간 0.03초

청소년의 사회측정적 인기도 및 지각된 인기도와 공격성과의 관계 (Relation Among Sociometric Popularity, Perceived Popularity and Aggression in Adolescence)

  • 도금혜;최보가;이지민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57-67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metric popularity (like-most nomination and like-least nomination) and perceived popularity (most-popular nomination and least-popular nomination )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adolescent aggression (overt, relational, and not prosocial behavior) and each of the popularities. The 377 subjects were selected from first and second graders of middle and high schoo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ociometric popularity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least-popular nomination, but not with most-popular nomination. 2) Adolescent aggression i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metric popularity, but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popularity. 3) Sociometric popular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for only girls, but perceived popul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for both boys and girls. 4) Sociometric popularity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for only middle school students, but perceived popularity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ggression for both middle and high students.

행복의 사회적 기능: 행복한 사람이 인기가 있나? (Social consequences of happiness: Are happy people popular?)

  • 구재선;이아롱;서은국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29-47
    • /
    • 2009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행복과 또래 관계 형성의 관련성을 검토했다. 이를 위해서 총 241명의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급우 관계가 형성되기 전인 1학기 초에 행복 수준(주관적 안녕감, 심리적 안녕감, 자기존중감, 낙관주의)을 측정했다. 그리고 4개월이 지난 후 인기도와 사회적 행동을 자기보고 및 또래 평가 방식으로 측정했다. 학기 초 행복 수준과 그 이후 형성된 또래 관계의 관련성을 검토했을 때, 초기 행복 수준은 4개월 이후의 긍정적인 자기 지각 및 또래로부터의 사랑과 인정과 관련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학기 초에 행복했던 남학생은 또래로 부터 좋아하는 친구로 지명되었고, 초기 행복 수준이 높았던 여학생은 창의력이 있고 남을 돕는 친구로 지명되었다. 또한 행복한 남녀 청소년은 스스로를 사회성과 리더십이 높고 또래들에게 인기가 있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행복이 바람직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 형성과 관련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수줍음과 대인관계 변인간의 상호관련성 - 사회적 기술 및 동기 요인의 역할을 중심으로 - (RELATIONS BETWEEN SHYNESS AND INTERPERSONAL VARIABLES - FOCUSING ON SOCIAL SKILL AND MOTIVATION FACTOR -)

  • 김근영;윤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6권1호
    • /
    • pp.90-99
    • /
    • 1995
  • 본 연구는 사회적 불안장애의 선행요인으로 알려지고 있는 ‘수줍음’이 대인관계에 주는 영향을 알고자 실시되었으며, 특히 자기검색 척도의 사회적 기술 및 동기요인과 수줍은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고찰함으로서 ‘동기가 높고 사회적 기술이 낮은 경우가 가장 수줍음을 많이 느낀다’는 기존의 주장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의 3개 중학교 2학년에 재학중인 497명(남 : 231명, 여 : 266명)을 대상으로, 자기검색, 수줍음과 척도법을 이용한 학급내 인기도를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자기검색을 ‘사회적 기술요인’과 ‘동기적 요인’으로 구분하였을 경우, 동기가 높고 사회적 기술이 낮은 경우가 가장 수줍음 수준이 높았으며 이들 요인 중 ‘사회적 기술요인’의 효과가 컸다. 또래 인기에 있어서는 남자의 경우는 수줍음이 적은 사람일수록, 여자의 경우는 수줍음이 많은 사람일수록 더 인기가 있었다.

  • PDF

청소년의 사회측정적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The Ec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Popularity)

  • 도금혜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4호
    • /
    • pp.43-5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variables on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Independent variables were organism(sex, age, aggression, self-esteem, impulsiveness, prosocial behavior, dominance), microsystem(parenting style, family support, friends relationship, teacher support), mesosystem(family-peer relationship, family-school relationship), and exosystem(positive community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extended family, school's policy). The subjects were 835 - 1st and 2nd graders of two middle and two high schools in Daegu.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and ecological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questionnaire.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was measured with sociometric popularity questionnaire. Organism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sex, age, aggression, self-esteem, impulsiveness, prosocial behavior and dominance questionnaire. Microsystem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parenting style, family support, friends relationship and teacher support questionnaire. Mesosystem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family-peer relationship and family-school relationship questionnaire. Exosystem variables were measured with positive community environment, social support of extended family and school's policy questionnaire. The data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cronbach's $\alph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was affected by age, overt aggression, academic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impulsiveness of organism variables. Second,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was affected by mother's affectional parenting, mother's control parenting, and attachment to friends of microsystem variables. Third,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was affected by family - peer relationship and family - school relationship of mesosystem variables. Fourth, adolescent's sociometric popularity was affected by appraisal support of extended family, after-school activity, and circle activity of exosystem variables.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사회적지위 유형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IA Relation between Social Status Typ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Upper Grad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 안이환;이창우
    • 초등상담연구
    • /
    • 제11권1호
    • /
    • pp.21-33
    • /
    • 2012
  • 본 연구는 사회성측정(sociometry)을 통한 사회적지위의 유형에 따라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K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201명을 대상으로 성별의 분리를 적용하여 7가지(인기, 평범, 배척, 높은 공격성에 의한 배척, 높은 수동성에 의한 배척, 무시, 양면성아동)로 지위유형을 분류한 다음, 각각의 지위집단 유형이 보여주는 학업성취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사회적지위 유형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5가지 사회적지위 유형을 분류하기 위하여 안이환(2007)에 의해 개발된 한국형 사회성 측정의 전산프로그램이 사용되었으며, 나머지 2가지 하위유형 분류는 실험조건에 따라 분류되었다. 종속변인은 2011학년도 1학기 중간학력평가 교과군별 점수였다. 성별과 지위유형에 따라 인문군(국어와 사회)과 자연군(수학과 과학)의 평균치가 비교되었다. 이때의 준거집단은 평범아동 집단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남자아동의 경우,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무시된아동의 성적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양면성아동이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가장 낮은 성적을 보였다. 여자아동의 경우에는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인기, 무시, 양면성아동이 유사한 범위에서 가장 높은 성적을 보였으며, 배척아동이 인문군과 자연군에서 모두 가장 낮은 성적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업성취도는 초등학생의 사회적지위 유형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계지향적 학습형태를 지향하는 오늘날의 교육과정에 대한 흐름을 고려해 볼 때, 초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사회적관계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 PDF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교우관계문제 (Peer Relationship Problems in Relation to Children's Peer Status)

  • 정성철;홍상황;김종미
    • 초등상담연구
    • /
    • 제10권2호
    • /
    • pp.167-184
    • /
    • 2011
  • 본 연구는 사회성측정을 사용하여 선별한 5가지 또래지위 집단의 교우관계문제에 어떤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소재 9개 초등학교의 5, 6학년 551명을 대상으로 안이환(2007)이 개발한 사회성측정과 정혜원(2007)이 개발한 교우관계문제 검사를 실시하여 5개의 또래지위 집단별 교우관계문제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또래지위 집단에 따른 8가지 교우관계문제 영역의 점수를 비교하기 위해 다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포함된 551명의 아동을 사회성 지위를 분석한 결과 평범아동(319명, 57.9%), 인기아동(111명, 20.1%), 배척아동(70명, 12.9%), 양면성 아동(41명, 7.4%), 무시된 아동(10명, 1.8%)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른 교우관계문제검사의 요인별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아동의 또래지위에 따라 교우관계문제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인기아동 집단은 통제지배, 자기중심성, 냉담, 비주장성이 5가지 또래지위 유형 중 가장 낮게 나타났고 배척아동 집단은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자기희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동의 또래지위 집단에 따라 교우관계문제검사 프로파일에 확연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기아동 집단의 프로파일이 가장 작게, 배척아동 집단의 프로파일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특성을 보였으며 교우관계문제의 하위요인에서 배척아동이 인기아동보다 사회적 억제와 비주장성이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기아동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또래관계 문제가 적음을 시사되었다.

  • PDF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 유형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와 또래지위 및 공격성과의 관련성 탐색 (Classifying the Latent Grou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Social Achievement Goals Types and the Exploration of Peer Status and Aggression)

  • 최은영
    • 한국심리학회지:학교
    • /
    • 제17권2호
    • /
    • pp.223-241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성취목표의 세 가지 유형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를 잠재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이 또래지위와 공격성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성취목표와 사이버 공격성은 자기보고 방식으로, 또래지위와 외현적 공격성과 대인관계 공격성은 또래지명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사회적 성취목표는 사회적 숙달목표와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사회적 수행회피목표로 나누었으며, 또래지위는 지각된 인기와 사회적 선호로, 공격성은 외현적 공격성, 대인관계 공격성, 사이버 공격성으로 구분하였다. 전체 연구 대상은 클래스넷 4차년도 자료 중 학년 비율을 고려해 무작위 추출한 초등학생 1,239명(남 633명, 여 606명)이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이용해 사회적 성취목표 유형을 분류한 결과 세 집단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성취목표의 세 집단은 각각 '숙달지향 성취목표형(184명, 14.9%)', '평균 성취목표형(852명, 68.8%)', '고사회적 성취목표형(203명, 16.4%)'으로 명명되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해 또래지위 및 공격성 간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1차 시기 사회적 선호가 높을수록 고사회적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았고, 사이버 공격성이 높을수록 숙달지향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낮았다. 또한 2차 시기 대인관계 공격성이 높을수록 평균 성취목표형 집단보다 고사회적 성취목표형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았다.

얼굴 매력의 교차문화적 비교 (The cross-cultural comparison of facial attractiveness)

  • 김수정
    • 감성과학
    • /
    • 제11권2호
    • /
    • pp.271-284
    • /
    • 2008
  • 한 시대나 사회의 얼굴매력에 대한 관점을 영화배우 등 인기연예인의 얼굴분석을 통해 알 수 있다는 가정 하에 물리적 특징에 기반 한 한국 및 외국 연예인 얼굴 의 교차 문화적 특징 및 추세를 알아보았다. 얼굴인상감성모형을 이용하여 각 연예인얼굴의 물리적 특징을 측정하고 얼굴유형을 분류하였다. 분석대상은 한국의 여자연예인 47명, 남자연예인 47명, 외국 여자연예인 116명과 남자연예인 87명으로 총 297명이었다. 교차문화적인 분석에서 나타난 한국과 외국의 남녀 연예인 얼굴의 공통적인 특징은 날카로운 인상이었다.

  • PDF

학교폭력 피해자의 정신병 실태 조사 (A SURVEY OF THE PSYCHOSIS AMONG SCHOOL VIOLENCE VICTIMS)

  • 권석우;신민섭;조수철;신성웅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1권1호
    • /
    • pp.124-143
    • /
    • 2000
  • 본 연구는 학교폭력의 피해자를 대상으로 정신병리에 대한 특성을 알아내고, 조기 정신병과의 관계를 규명함을 기본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더 나아가서는 조기정신병의 발견과 아울러, 조기 치료를 시행함으로써 심각한 정신병의 예방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서울시 전 구역 중 16개 중학교를 선정하여 중학교 1, 2학년 남 ${\cdot}$ 녀 학생에게 간이정신진단검사, 피어스-해리스 자아상 검사의 인기도와 학교 적응 소척도, 저자들이 개발한 따돌림 척도를 배포하여 따돌림을 당하는 정도의 점수가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는 대상을 선정하고, 이들 중에서 스스로 인기가 없다고 여기면서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보고된 대상을 선정하여'정신병의 전구기에 있는 군'으로 판정하여, 이들의 대상의 수를 계산하여 위험도를 산출하고, 정신병 전구기에 있다고 판단되는 대상의 임상적 특성을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을 통해 정신병적 증상과 관련된 임상적 척도들을 파악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따돌림 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받은 군은 총 157명(5.3%)이었고, 그 중에서 47명(29.9%)이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정신병적 증상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 따돌림 척도에서 높지 않은 점수를 보인 2,135명 중 정신병적 증상이 높은 군은 50명이어서, 따돌림 척도에서 높게 나온 군의 정신병적 증상이 높게 나올 위험도(odds ratio)는 17.8이었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치였다(${\chi}^2$=274.8, df=1, p<0.05). 즉 따돌림을 당한다고 호소한 집단은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았고, 이를 통해 왕따 피해자는 정신병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고 할 수 있었다. 2) 자신은 남들에게 인기도 없고, 따돌림을 당한다고 여기며 정신병적 증상을 가진 군(47명, 남자 31명, 여자 16명)은 단순히 정신병적 증상이 높은 군에 비해 불안 척도, 우울증 척도, 공격성, 대인 민감성, 학교 및 사회 적응 척도, 강박증상 척도, 공포불안 척도, 정신병적 증상, 신체적 증상 호소 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자신이 따돌림을 받는다는 호소와 편집증은 더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학교폭력 피해자 중에서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게 측정되었고, 스스로 인기가 없다고 생각하는 대상들에서는, 불안 증상, 우울증, 공격성, 대인 예민성, 강박증상, 편집증, 신체 증상 호소 등이 정신병적 증상을 잘 설명해주었다 ($r^2$=0.93). 즉, 따돌림을 당한다고 호소한 집단은 정신병적 증상이 유의하게 높았고, 이를 통해 왕따 피해자는 정신병 발병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다고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따돌림과 같은 학교폭력 피해자가 불안증상, 우울증, 공격성, 대인 예민성, 강박증상, 편집증, 신체 증상 호소와 같은 문제를 보였을 경우에는 정신병적 증상 유무와 학교 적응, 집중력 장애, 사고개념 형성 장애 등을 확인하여 정신병의 진단을 고려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