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재난

Search Result 714,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Research on the Building Method of Collaborative Network for Disaster Response (재난 대응을 위한 협력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

  • Park, Miri;Oak, Young-Suk;Chon, Jae-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56-3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재난관리에 있어 지방정부와 민간과의 네트워크를 지역특성별로 구성하는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현재 우리들이 살고 있는 과학기술이 발달한 현대 산업사회를 '위험사회' 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최근 재난의 유형이 다변화되고 피해규모가 증가됨에 따라 본래의 정부주도하의 재난대응보다는 협업과 협력을 통한 재난관리가 필요하다. 국외에는 이러한 재난대응을 위한 협력구축네트워크를 광역방재거점 등을 설치 운영함으로써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협력을 구축하고 운영 중이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협업 및 협력에 대한 매뉴얼 등을 통한 소프트적인 체계구축에 중점을 두고 대응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사례를 통해 실질적인 거점형태의 민관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당지역에 적합한 운영방안을 선택하는 데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Manuals and Mission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the Public Library (공공도서관의 재난상황 대응을 위한 매뉴얼 및 임무 분석)

  • Bae, Kyungjae;Chung, Da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5 no.1
    • /
    • pp.231-249
    • /
    • 2021
  •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manuals for responding to disasters in public libraries has emerged after COVID-19 was confirmed in Korea in January 2020. The library is a social organization directed affected by COVID-19. Therefore, a reasonable and consistent disaster response manual should be developed and used as a guideline for responding to disasters at the library sites.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by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of public library manuals for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Furthermore, the responses of overseas libraries experiencing major disasters were analyzed and issued to reflect the current domestic situa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library's role as a social organization for disaster response should be enhanced, and that disaster experience needs to be implemented, as guidelines, toolkits, and archive.

재난으로서의 신종인플루엔자 유행

  • Wang, Sun-Ju;Choe, Gi-H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ocietal Security
    • /
    • v.2 no.3
    • /
    • pp.9-15
    • /
    • 2009
  •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은 현대사회에서 국내에서 겪어보지 못한 전염병의 창궐이란 점 뿐 아니라 재난관리체계를 21세기에 들어 새로이 발생하고 있는 신종 및 특수재난까지 대상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요구한다. 전통적 재난관리에 익숙한 많은 재난 관련 인력들이 신종인플루엔자의 대유행을 단순히 새로운 전염병의 시각으로 본다면 향후 새로운 형태의 특수한 재난에 대하여 국가사회적 역량을 효율적으로 집결시키기 어렵다. 따라서 신종인플루엔자가 어떠한 것이며 대유행 시 대웅 원칙과 예상 피해 및 세계 및 국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대비하고 대처하려고 하는지 흐름을 이해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어 그에 대한 개략적 정리를 하였다. 이를 통하여 새로운 재난으로서 신종인플루엔자 대유행을 이해하고 적절한 대처방안을 지속적으로 수정, 도출해나가야 한다.

  • PDF

A Study of the Integrated Risk Assessment Technologies on the Social Disaster (사회재난 지능형 융합 위험도 기술 연구)

  • Park, Gil-Joo;Song, JungHwa;Lee, Kwang-Ju;Cho, An na;Lee, Chang 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63-64
    • /
    • 2022
  • 전통적인 사회재난 위험도 분석은 재난 발생 가능성과 취약성과 경감 노력에 기반하여 연구되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인명 피해에 대한 사회적 문제로 인하여 중대재해처벌법의 시행과 같이 인명 피해 중심의 위험도에 대한 분석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인명피해에 대한 중요성을 부여한 지능형 융합 위험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는 전통적 위험도 평가에 가중 개념으로 수행되었다.

  • PDF

The Study on the Impact of Awareness of the Serious Accident Punishment 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중대재해처벌법 인식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연구)

  • Song, Du-Hwa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71-172
    • /
    • 2023
  • 본 연구는 건설현장 관리자를 대상으로 중대재해처벌법 인식이 건설업체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이다. 최근의 사회적 이슈가 되는 중대재해처벌법이 건설회사 이미지 실추, 경제적 손실 등의 간접적인 손실뿐만 아니라, 최고경영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설업체에서 중대재해 발생시에는 중대재해처벌법에 의하여 최고경영자의 구속등으로 기업의 업무연속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재난이다. 건설현장을 운영하는 기업의 사업주에게 중대재해로부터 실질적인 대처방안이 필요하며, 대안으로 건설현장 관리자의 중대재해처벌법의 위험성에 대하여 인식을 강조하여, 건설현장에서의 관리자가 주체가 되어 중대재해를 예방하고, 기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An Analysis of the Problems Related to Resource Mobilization in Disaster Response by Disaster type (재난유형별 재난대응 시 자원동원관련 문제점 분석)

  • Jang, Dae-Won;Kim, Ji-Yeong;Kim, Yon-Soo;Jeon, Jae-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45-346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재난유형별 재난 대응시 재난관리자원 동원과 관련하여 발생한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재난 발생시 재난확산방지를 위하여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나, 재난대응에 대한 문제점 분석이 미흡한 실정이다. 재난대응에 대한 분석을 위하여, 최근 20년(1996~2015년)동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및 지역재난안전 대책본부가 운영된 사회재난 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재난사례 중 자원동원관련 정보 확인이 가능한 사회재난에 대하여 재난유형을 분석하고, 발생빈도가 높은 재난유형에 대하여 재난 대응시 자원동원과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재난유형 분석결과, 화재사고가 34건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폭발사고가 14건, 교통사고가 10건으로 발생하였다. 재난유형 중 발생 건수가 많았던 화재, 폭발, 교통사고의 재난 대응시 자원과 관련하여 문제점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초기대응 미흡으로 인한 자원동원 소요시간 증가문제가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그 다음으로 보유자원 부족으로 인한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다.

  • PDF

Factors Influencing the Disaster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College Students (간호대학생의 재난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요인)

  • Nam Jiin;Cho Kyeonghwa;Park Meer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4
    • /
    • pp.383-392
    • /
    • 2023
  •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survey study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to identify disaster awareness, attitude, disaster preparation, nursing professionals, social support, and disaster nursing capabilities, and to prepare measures to improve disaster nursing capabilities by identifying predictors of disaster nursing capabilities. Data collection was collected from 160 nursing students in G-do from March 27 to April 7, 2023, and a total of 158 copies were finally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5.0 program, technical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analyzed. The result show that fourth grade(β=.20, p=.027), disaster nursing education is 'existent'(β=.15, p=.041), disaster readiness(β=.27, p<.001) nursing professional(β=.21, p=.012)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y. Disaster preparation was found to be the best predictor of disaster nursing competency, followed by "nursing professionals," "fourth grade," and "disaster nursing education" with 26.3% of explanatory power.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for disaster nursing practice that can enhance awareness of disasters, attitudes toward disasters, disaster preparation, nursing professionals, and social support.

Considerable Factors and Disaster/Safety Content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Technology (가상현실 재난안전 콘텐츠 적용 및 고려요소)

  • Chin, Seongah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3
    • /
    • pp.91-98
    • /
    • 2020
  • Since disaster-safety accidents cause serious damage to human life and property, preparations and responses have been critically challenged by the country and industry. Recently, the government and industry have recognized its importance and are seeking solutions to the causes of disasters in various ways. If virtual reality technology is actively used, it will be easier to prepare and train for disasters, as the social costs will be reduced. However, academic research on this has not been actively studied. In particular, it seems difficult to seek data that comprehensively analyzes or organizes disaster-safety with virtual reality contents.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and overseas focused on virtual reality disaster/safety contents, examine its characteristics, and point out the direction required for advanced service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implications of the numerical data of the accident type have been derived,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academic research, and industry have also been investigated. Finally, technical considerations are presented as well.

Analysis of disaster-accident inform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재난사고정보 분석)

  • Ahn, Jaehwang;Choi, Youngje;Lee, Inhwa;Chae, Heecha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06-106
    • /
    • 2017
  • 우리나라는 현재 재난의 유형을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으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재난 사고 사례를 살펴보면 단일재난으로 인한 피해보다 자연재난이 발생한 이후 사회재난으로 재난이 전파되는 복합재난의 형태가 종종 나타나고 있다. 복합재난은 단일 재난에 의한 피해(인적, 물적) 보다 크게 나타나고 복합재난의 발생원인 및 전파과정을 분석하기 어려워 이에 대한 다각적인 분석과 동시에 재난상호간의 연관성을 도출하는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과거 재난사고정보를 분석하는 연구는 일반적인 통계기법을 활용한 분석에 머물러 있으며 수집된 재난사고사례가 많지 않아 분석에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잡하게 나타나는 재난 사고를 분석하기 위하여 최근 각광받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법을 연구에 고려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첫째로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인공지능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하고 여타 연구분야에서 적용되고 있는 인공지능 분석기술을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둘째로 수집가능 한 재난사고정보를 수집하고 인공지능 모형에 적용가능 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하였다. 셋째로 변환된 재난사고정보를 대표적인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재난사고정보 분석모형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적용한 모형의 신뢰성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재난사고정보 분석에 적용가능 하며 질문(목적)에 부합하는 최적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