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적 도구

Search Result 1,67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 (한국어로 번역된 UCLA 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조사)

  • Kim Ok Soo;Rn., Ph.D.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7 no.4
    • /
    • pp.871-879
    • /
    • 1997
  • 인간은 사회적 접촉을 필요로 하고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원하는 사회적 동물이다. 외로움은 한 개인의 사회적 관계의 망이 양적이나 질적으로 부족할 때 발생하는 불유쾌한 감정이다. 외로움은 매우 보편적인 감정이나 고통스러울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이 지속되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해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자살을 초래하기도 한다. 특히 노인은 여러 가지 종류의 변화와 상실을 경험하기 때문에 외로움을 더 느낄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통해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에 대한 한국어 UCLA 외로움 사정도구를 만들고 이 도구를 한국노인에게 적용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개정판UCLA외로움 사정 도구는 각각 3번씩의 번역과 역번역 과정을 통해 원본 영문도구와 역번역된 영문도구 사이에 의미의 차이가 없다고 판단될 때까지 만들어졌다. 번역과 역번역 과정은 미국에서 석사나 박사학위를 취득한 6명의 한국유학생들에 의해 이루어 졌으며 원본 영문도구와 역번역된 도구사이의 의미의 차이는 본 저자와 미국인 간호학 교수에 의해 사정되었다. 번역된 한국어 외로움 사정도구는 미국의 3개 주에 거주하는 203명의 한국노인들을 대상으로 신뢰도와 타당도 조사가 이루어졌다. 한국어 UCLA외로움 사정도구의 신뢰계수는 .93으로 한국어 도구의 내용이 전반적으로 동질성을 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Barren등(1992)이 미국인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얻은 신뢰계수 .87보다 높은 것이었다. 한국어 도구의 구성타당도를 조사하기 위해 요인 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도구는 친밀한 주변인, 사회적 주변인, 및 소속감 등의 3개 요인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성타당도에 대한 이러한 결과는 미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Austin(1983)의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었다. 각 요인에 대한 신뢰계수는 .88(제 1요인), .90(제 2요인), .84(제 3요인)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은 한국어 도구에 대해 이해를 잘 하는 편이었으나 부정문인 4번 항목, '나는 혼자라고 느끼지 않는다'에 대해서는 응답을 할 때는 다른 항목에 비해 시간이 더 소요되거나 연구보조자에 의한 반복 설명이 필요하기도 하였다.

  • PDF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사회적지지 및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 이국행;이영환;김현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1-166
    • /
    • 2003
  • 우리나라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영재아의 개념정의와 판별도구 개발, 영재발굴, 선발 및 그들의 교육에 편중되어 있는 반면 영재아들의 적응, 자기지각, 또래관계등 사회정서발달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과학영재아동의 개인 및 일상생활에서의 적응수준 및 성별에 따른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지지의 차이를 파악하며, 그들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 수준을 살펴보고 영재아의 사회적 성취나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적응(개인적응, 사회적응, 부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차이가 있는가\ulcorner, 둘째, 과학영재아동의 적응, 자기지각 및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ulcorner, 셋째, 과학영재아동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지각, 사회적 지지 수준은 어떠한가\ulcorner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 100명의 아동이며, 이들은 교사추천 및 전북대학교 과학영재연구소의 과학과 수학시험을 통해 선발된 과학 영재아동이다. 설문결과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총 39명(남아 59명, 여아 30명)이 최종 연구대상이 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 아동의 적응능력검사도구는 한국교육평가센터(KETC)에서 1998년 개발하여 표준화과정을 마친 종합적응능력검사를 사용하였으며, 개인적응영역(자아개념 12문항, 성취동기 10문항, 자기기획 15문항), 사회적응영역(사교성 15문항, 애착 9문항, 사회적 긍정성 10문항), 부적응영역(스트레스 20문항, 욕구좌절 10문항, 편견 12문항) 총 1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자기지각검사도구는 Harter(1985)의 Self-Perception Profile이며, 학업역량, 사회적역량, 운동역량, 신체외모역량, 행동품행역량, 자기가치감 각각 6문항씩 총36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의 사회적 지지검사도구는 한미현(1996)이 제작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부모지지, 교사지지, 학교친구지지, 친한 친구지지 각각 6문항씩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PDF

한국의 가족 및 친족간의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의 양상: 국제간 비교의 맥락에서

  • Jeong, Jae-Gi
    • Proceed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Korea Conference
    • /
    • 2007.11a
    • /
    • pp.155-170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가족 및 친족관계의 특성을 국제 비교적 맥락에서 분석하는 것이다. ISSP(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의 모듈인 '사회관계와 지원체계'를 조사한 2004년 한국일반종합조사의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의 친족 간 접촉빈도와 사회적 지원에서 친족이 차지하는 위치를 비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한국의 대면적 친족접촉빈도가 조사대상 국 중 최하위 권에 있으며, 한국의 가족 및 친족이 정서적 지원보다는 도구적 지원의 대상으로 작동하는 성격이 보다 강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의 낮은 친족접촉빈도는 한국의 경제발전 수준이나, 강한 가족주의의 전통으로는 쉽게 설명되기 어렵다는 점에 주목하여, 유교적 전통 중 위계적 집합주의가 섬소한 대면적 접촉빈도를 설명할 수 있음을 주장하였다. 사회적 지원과 관련하여서는 한국의 가족주의가 도구적 가족주의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는 한편, 친족집단의 낮은 정서적 지원정도와 위계적 집합주의와의 관련이 논의되었다. 또, 이러한 낮은 정서적 지원의 양상이 반드시 한국의 가족관계가 비정서적인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 지적되었다.

  • PDF

가상강좌의 성과에 영향을 주는 정보기술, 수업내용, 서비스의 품질과 자기효능감 - 측정도구의 타당성 검증

  • 이웅규;이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4.05a
    • /
    • pp.88-95
    • /
    • 2004
  • 가상강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각종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방식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에도 가상강좌의 효과 즉, 가상강좌 수강생들의 만족을 측정하는 도구의 개발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초기의 가상강좌가 정보기술을 이용한 실험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기존의 오프라인 교육을 대치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대두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가상강좌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좀 더 종합적인 접근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상강좌 특히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가상강좌의 네 가지 요소인 학습관리시스템, 강의 컨텐츠, 학습에 대한 인적 서비스 그리고 학생 자신의 심리적 상태 등을 고려한 종합적인 접근에 의한 가상강좌 만족 모형을 제시하고 그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정보기술 사용 측면, 정보품질적 측면, 서비스 관리적 측면 그리고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 가상강좌 측면에 만족을 주는 이론적 변수 및 측정도구를 제시하고 측정도구에 대한 타당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한다.

  • PDF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Science-Gifted Students on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 Shin, Eunji;Choi,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41 no.1
    • /
    • pp.1-10
    • /
    • 2021
  • In this study, a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with emphasis on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for 10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in Jeollanamdo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S (science technology society) relationship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class. After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the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STS relationships as follows: Science-gifted students have come to perceive that experimental tools and technolog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eory,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all social problems with only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at science is a social interaction activity. In addition, science-gifte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aware of the relevance of STS through intensive inquiry conducted on the same subject for several hour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in another group through peer reviews, communication to solve problems with colleagues in the same group, activities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inquiry, inquiry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In order for students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STS in science-gifted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erience to solve problems using various experimental tools, experience to have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experience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who conduct inquiry activities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share the results with other groups, and inquiry activities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Health Status and Ddepression of the Elderly (노인의 건강상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Yoon, Hyun-Sook;Koo, Bon-Mi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2
    • /
    • pp.303-324
    • /
    • 2009
  • This study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Through stratified multi-state random sampling, 1409 individuals aged 65 and over who lived in Seoul and Chunchen, and who had their own children were selected. Social support was composed of three types: 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and financial support, and included both support-received from and provided to childre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proposed by Kenny and Baron was used. As the results, first, the elderly get more depressed when having lower health status and lower social support. Second, there is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association with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Comparing by gender, instrumental support received from children, and emotional and instrumental support provided to children are mediators in the link betwee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in the case of male. In the case of female, emotional, instrumental and financial support received from children, and instrumental and financial support provided to children shows the mediating effects between health status and depres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support both received from and provided to children reduces the negative impacts of health status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 PDF

A Predictive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ICF Model (ICF 모델에 근거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구조 모형)

  • Park, Yong-Kyung;Suh, Soon-Ri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2
    • /
    • pp.113-123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odel was based on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60 elderly who were more than 65 years ol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visual-motor integration and social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IADL. That is,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less chronic illness, the better IADL.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had indirect effect on IADL. This model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in IADL.

The Development of the Checklists for Students' Interaction with Others in Learning Mathematics (수학 학습에서 학생의 상호작용 분석을 위한 도구 개발)

  • Koh Sang Sook;Koh Ho Kyung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2 no.4
    • /
    • pp.443-455
    • /
    • 2002
  • 정보화시대를 맞아 어느 때보다도 활발히 전교과에 걸쳐 학생의 의사소통의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모색되고 있다. 학교현장의 수학교육자는 수학교수-학습에서 어떤 상호작용이 일어났는지, 특히 다루기 쉬운 도구로써 계산기가 주어졌을 때 어떻게 학생의 지식 발달이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는지를 알아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생의 상호작용을 분석할 때 필요한 분석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예비연구와 본 연구를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의 구성요소가 세 영역, 즉, 지식구성 진술, 사회적 상호작용 진술, 그리고 교사의 교육어 진술에서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료를 이용하여 특히 학생의 지식 구성 발달에 따른 상호작용의 구성요소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에 필요한 언어적 상호작용의 역할과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연구가 가능하다.

  • PDF

Analysis of Social Communication Measurement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Literature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자폐범주성장애 아동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 문헌 내 사회적 의사소통 측정 도구 분석)

  • Yoo, Ga Eul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 /
    • v.13 no.1
    • /
    • pp.61-87
    • /
    • 2016
  • With broad individual variability in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increasing focus on interventions targeting social communication of this population, there is a need for systematic analysis of how social communication outcomes are measured. This study aimed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measurement tools used in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s for improving social communication of children with ASD. Electronic databases and music therapy journals were searched for controlled studies published between 1980 and 2015. A total of 21 studies were includ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direct observation of behaviors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and the combination of targeted social communication areas and specific measurements used for a specific skill varied among the studies. In addition, 90.4% of studies reported interrater reliabilit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has been a diversity in approaches to measur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despite increasing attempts for systematic measurements. In consideration of the nature of social communication development in children with ASD, multifaceted strategy to understand and assess the target skills in terms of specific behavior acquisition, social functioning in general, and social cognition was recommended.

Maternal Role Attainment at Eight Months following Birth (8개월된 아기 어머니의 모성역할 획득 모형)

  • Lee, Hae kyung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5 no.2
    • /
    • pp.244-258
    • /
    • 1995
  • 아기의 출생은 부모에게 환경적, 신체적, 정신적 부담을 준다. 이렇게 부모가 된 사람들은 부모역할 수행시 어려움을 겪고 있고, 그 중에서도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역할수행시 더 많은 어려 움을 겪고 있다고 한다. 본 연구는 생후 8개월 된 아기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역할이 론을 토대로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이의 적합성을 검정하므로 써 어머니들의 모성역할 획득을 촉진하기 위하여 필요한 간호 정보를 제공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모성역할 긴장과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고, 모성역할 긴장이 모성역할 획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이론적 기틀을 구성하였다. 연구도구로는 모성역할 획득 중 모성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Osgood(Walker et al., 1986a에서 인용)도구, 모성역할 수행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보완 된 Gibaud-Wallston(1977)도구와 어머니가 지각한 모아 상호작용정도 도구를 이용하였고, 모성역할 긴장측정에는 수정 보완된 Hobbs(정, 1985에서 인용)도구를 이용하였다. 아기 기질은 수정 보완한 The degree of thor inventory(Mercer, 1986 에서 인용), 남편의 정신적지지 측정은Taylor(Durrett, 1986에서 인용)의 도구를 이용하였고,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남편의 신체적 지지 및 주위의 지지측정은 연구자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1993년 1월부터 1994년 1월까지 대전시 5개 보건소에 등록된 대상자들에게 우편으로 설문지를 보내어 221명이 회수되어 회수율이 약72%였다. 일반적인 서술적 자료 분석은 SPSS PC+ 를 이용하였고, 가설적 모형은PC-LISREL 7.13 (Joreskkog & Sorbom,1988)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변량구조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성역할 획득에 모성역할 긴장,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 지지가 영향을 주며, 모성역할 긴장에는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 아기 기질, 사회적지지가 영향을 준다고 설정된 가설적 모형〈Figure 1〉의 분석 결과 전반적 지수는 자유도 23에 카이자승치 60.17, GFI와 AGFI의 값은 .944, .891였고, NFI와 NNFI의 값은 .8823, .7932 이었다. 그러나 세부적 지수 중 모성역할 긴장에서 모성역할획득으로의 경로,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에서 모성역할 획득으로의 경로, 아기 기질에서 모성역할 획득으로의 경로의 고정지수가 절대치 2에 미치지 못하여, 세 경로계수를 영(0)으로 고정시킬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더 간명하며 부합도가 좋은 모형을 찾기 위하여 가설적모형에서 고정지수가 낮은 경로 부터 고정시켜 나가 세경로(모성 역할 긴장에서 모성역할 획득,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에서 모성역할 획득, 아기 기질에서 모성역할획득)를 고정시킨 수정 모형 의 PFI (간명도)가 .5986으로서 가설적모형의 PFI(간명도) .5636보다 커 부합도 를 손상하지 않고 더 간명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수정모형 의 고정 지수를 살펴 본 결과 절대 치 2에 미치지 못하는 경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공변량구조분석 결과 나타난 변인간의 관계를 보면 가) 모성역할 긴장은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Lisrel Estimates=-1.591), 아기 기질이 순하다고 생각할수록(Lisrel Estimates=-.266), 일상생활의 시간적 여유가 많을수록(Lisrel Estimstes=-1.771) 낮았고, 나) 모성역할 획득은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Lisrel Estimates=1.120) 잘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