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dictive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Based on ICF Model

ICF 모델에 근거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구조 모형

  • 박용경 (경일대학교 간호대학) ;
  • 서순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7.12.29
  • Accepted : 2018.02.12
  • Published : 2018.02.28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model was based on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model. The participants were 260 elderly who were more than 65 years old. Physical and psychological function, visual-motor integration and social activities had direct effects on IADL. That is, the bett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lower the depression and the less chronic illness, the better IADL. Personal factor, social support and social activities had indirect effect on IADL. This model explained 32% of the variance in IADL.

본 연구는 WHO의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모델을 기반으로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 모형을 구축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65세 이상의 재가노인 260명이었고, 자료 분석은 SPSS Window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정 결과 모든 지수 기준을 충족하여 모형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재가노인의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신체 심리적 상태였다. 즉,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우울이 낮을수록, 만성질환이 적을수록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좋았다. 직접적인 영향력이 두 번째로 큰 요인은 시각-운동 통합능력으로 확인되었고, 세 번째로 큰 요인은 사회활동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개인 요인, 사회적 지지, 사회활동 순이었다.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대한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32%였다.

Keywords

References

  1. http://www.kostat.go.kr. 2017. 1. 1.
  2. 원장원, 노용균, 선우덕, 이영수,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노인병학회, 제6권, 제4호, pp.273-280, 2002.
  3. 강윤희, 김미영, 이에리쟈, "재가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 수행 능력, 영양 상태 간의 관계," 한국간호과학회, 제38권, 제1호, pp.122-130, 2008.
  4. 임영규, 유병욱, 조용진, 오정은, 유병욱, 조용진, "노인 환자의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연관된 인자," 순천향의대논문집, 제14권, 제1호, pp.97-108, 2008.
  5. 이연숙, "노인의 여가스포츠 활동참가와 일상생활수행능력 및 우울증의 관계,"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제21권, 제2호, pp.343-364, 2008.
  6. S. Mueller-Schotte, N. Bleijenberg, Y. T. van der Schouw, and M. J. Schuurmans, "Fatigue as a long-term risk factor for limitations i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or mobility performance in older adults after 10 years," Clinical Interventions in Aging, Vol.Nov, No.9, pp.1579-1587, 2016.
  7. 왕명자,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기 효능감, 신체활동 및 인지기능의 관계,"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21권, 제3호, pp.101-109, 2010.
  8. 안태규, 이선란, 변민경, 박진성, 조영남, "시,지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제5권, 제2호, pp.51-60, 2011.
  9. T. A. Stamm, K. Pieber, R. Crevenna, and T. E. Dorner, "Impairment i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osteoporosis, osteoarthritis and chronic back pain: a secondary analysis of population-based health survey data,"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Vol.17, p.139, 2016. https://doi.org/10.1186/s12891-016-0994-y
  10. 백옥미, "지역사회 재가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결정요인," 한국지역사회복지학, 제38권, pp.1-27, 2011.
  11. 정지연, 김준수, 최현정, "한국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도구적 일상생활 수행능력과 관련된 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3기(2005년) 자료를 중심으로," 대한가정의학회, 제30권, 제8호, pp.598-609, 2009.
  12. 조근종, "노인의 사회활동참여와 사회적지지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39권, 제3호, pp.198-207, 2000.
  13. 정은숙, 전미경, "노인의 우울유무에 따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수면의 비교," 디지털정책연구, 제11권, 제1호, pp.289-297, 2013.
  14. http://www.who.int/classifications/icf/en/, 2018.2.1.
  15. 신은경, "장애인의 기능과 장애, 환경요인에 관한 ICF 활용방안," 한국직업재활학회지, 제23권, 제1호, pp.151-175, 2013.
  16. 김미애, 박용경, 김은휘, 김미한, 정성화, 서순림, 김홍, "연령에 따른 시지각과 시각-운동통합 능력의 변화," 한국노년학회, 제33권, 제1호, pp.39-52, 2013.
  17. 박종한, 권용철,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 제2편: 구분점 및 진단적 타당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28권, 제3호, pp.508-513, 1989.
  18. 김계수, AMOS 18.0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3.
  19. M. P. Lawton and E. M. Brody,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Vol.9, No.3, pp.179-186, 1969. https://doi.org/10.1093/geront/9.3_Part_1.179
  20. 임주영, 노인의 스트레스와 불안과의 관계에 대한 위협적 상황 인지와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경북대학교 아동가족학과, 박사학위논문, 2010.
  21. M. P. Lawton, M. Moss, M. Fulcomer, and M. H. Kleban, "A research and service oriented multilevel assessment instrument," Journal of Gerontology, Vol.37, No.1, pp.91-99, 2003. https://doi.org/10.1093/geronj/37.1.91
  22. 기백석, "한국판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의 표준화 예비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제35권, 제2호, pp.298-307, 1996.
  23. K. E. Beery and N. A. Beery, The Beery-Buktenica developmental test of Visual-Motor Integration(6th ed), Pearson, 2010.
  24. 권미형, "일 지역사회 노인의 웰빙 예측모형," 성인간호학회 학술대회, 제2013권, 제5호, pp.94-96, 2013.
  25. 한영란,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종교성과 죽음에 대한 공포,"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8권, 제3호, pp.400-409, 2007.
  26. 김덕주, 권기옥, 박윤희, 이선명, 김경미, "초등학교 저학년아동의 운동실행과 시지각 능력과의 상관관계 비교," 제14권, 제2호, pp.69-79, 2006.
  27. 윤효순, 김미애, 김미한, 서순림, 김홍, "노인 당뇨환자의 시각-운동 통합능력 평가," 한국노년학회지, 제31권, 제3호, pp.641-652, 2011.
  28. 배진희, "고령노인의 일상생활기능 저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참여와 노인학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지, 제29권, 제1호, pp.353-368, 2009.
  29. K. Tomioka, N. Kurumatani, and H. Hosoi, "Associ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Journal of epidemiology, Vol.26, No.10, pp.553-561, 2016. https://doi.org/10.2188/jea.JE20150253
  30. 주애란, 김혜원, "일 보건진료소 관할 지역 노인의 건강 관련 특성, 우울, 사회적 지지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노인간호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54-162,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