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회기술

검색결과 15,088건 처리시간 0.044초

조경기술사회 탐방

  • 한국기술사회
    • 기술사
    • /
    • 제42권1호
    • /
    • pp.6-7
    • /
    • 2009
  • 조경기술사회는 1989년 9월 25일 조경기술사들이 모여 분회를 구성하여 조경기술사의 지위향상과 권익보호에 힘쓰고 있다. 조경기술사의 신기술 및 기술보급을 통하여 국토환경의 보전, 공원녹지, 공지확충계획, 신도시의 개발과 기존도시의 정비 등에 경관계획, 조성 및 관리에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한국기술사회 조경기술 사회를 탐방하여 김기성 회장을 만나보았다.

  • PDF

신첨성대 - 사회변화와 인간유형

  • 노화준
    • 과학과기술
    • /
    • 제30권11호통권342호
    • /
    • pp.22-23
    • /
    • 1997
  • 바람직한 인간형에 대한 변화는 사회변화를 나타낸다고 볼 때 80년대를 전후한 사회적성격의 변화는 농경사회에서 굴뚝사회라고 하는 공업사회로 바뀌었고 그 이후는 지식기술사회ㆍ정보화사회로 변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농경사회 굴뚝사회에서는 절약하고 황소처럼 일하는 사람이 바람직한 인간형이었다면 지식기술사회ㆍ정밀화사회에서는 절약보다는 창의력과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로 승부를 거는 사람이어야 성공의 가능성이 높게 평가된다.

  • PDF

사회.기술시스템론과 과학기술혁신정책 (Socio-technical Systems Approach and Innovation Policy)

  • 송위진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56-175
    • /
    • 2013
  • 사회 기술시스템론은 사회와 기술은 서로 분리되어 존재할 수 없는 통합된 시스템으로 존재한다고 파악한다. 사회와 기술이 서로 보완성을 형성하면서 사회 기술시스템을 구성한다. 사회 기술시스템론은 혁신체제론이 진화한 논의로서 혁신의 사용 측면, 사회적 측면을 중요한 요소로 설정하고 있다. 혁신체제론의 경제중심적 측면을 보완하면서 사회적 측면까지 분석에 포괄하고 있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사회 기술시스템론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것의 활용방안을 살펴본다. 특히 장기비전 형성, 연구개발사업 기획, 참여형 연구개발사업, 과학문화 사업에 사회 기술시스템론을 도입했을 때 나타나는 양상과 의의를 논의한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특성과 발전 방향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studies for societal challenges and policy issues)

  • 송위진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3호
    • /
    • pp.129-151
    • /
    • 2012
  • 이 글은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특성을 정리하고 그것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다룬다. 먼저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사례를 살펴볼 것이다. 복잡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 사례와 기술이 가져올 수 있는 사회적 문제를 사전적으로 성찰하고 개선하기 위한 연구를 검토할 것이다. 이어서 사회문제 해결형 융합연구를 범주화하기 위한 틀로서 <2유형>(Mode 2) 연구를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특성을 살펴본다. 이 특성을 기준으로 사회문제 해결형 인문사회-과학기술 융합연구의 역할과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 PDF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과 사회-기술기획: 현황과 과제 (Socially-oriented innovation and socio-technical planning)

  • 송위진;성지은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1-136
    • /
    • 2013
  • 과학기술혁신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지향하는 혁신정책이 부상하고 있다. 이 정책은 기술적 측면과 사회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고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위한 '사회-기술기획'이라는 새로운 활동의 필요를 제시하고 그것의 특성과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기술기획 활동 사례를 살펴보고 그 성격과 유형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사회-기술기획 활동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 PDF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echnological Risk)

  • 윤진효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5-103
    • /
    • 2003
  • 현대사회가 위험사회에 들어서면서, 기술위험이 기술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위험이라는 기존의 협의의 기술위험의 구조를 넘어서고 있다. 기술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위험이 다양한 사회 경제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면서 확대된 위험인 기술 사회 시스템 위험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위험사회의 기술위험의 구조변화 양상이다. 때로는 기술위험이 사회 경제시스템과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연시스템과의 상호작용으로 확대되어 위험의 일상화와 전면화로 연결되기도 한다. 현대 위험사회는 기술위험의 구조변화와 함께 위험에 대한 관리 절차상의 변화를 요구한다. 위험의 예상, 발생한 위험의 통제, 사후처리라는 위험관리 절차의 전 과정에서 전문가에 의한 합리적 통제뿐만 아니라 직 간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일반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가 요구된다. 즉, 현대사회에 발생하고 있는 기술위험은 위험에 대한 거버넌스의 혁신 즉, 전문가 중심의 거버넌스에서 시민참여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PDF

기술사업 활성화의 국제적 고찰

  • 허진;김주항
    • 기술사
    • /
    • 제30권5호
    • /
    • pp.24-32
    • /
    • 1997
  • 한국기술사회와 일본기술사회가 자매결연을 맺은지 30여 년이 지나고 있다. 그 동안 상호간의 정보교환으로 도움을 받고 또 주고 있는 가운데 격년별로 양국간을 왕래하면서 개최되는 한일 Symposium은 해를 거듭할수록 좋은 결실을 맺고 있다. 따라서 한국기술사회가 主管하고 있는 FEISEAP 관계를 일본에서는 어떻게 대처하고 있으며 일본기술사회에서 주관하고 있는 APEC HRD 관계는 어떻게 하고 있는지, 상호협조에 대한 협의사항과 일본기술사회의 기술사 자격시험운영실태 등에 대하여 간추려보고자 한다.

  • PDF

지식기반사회 진입의 전제 - 과학기술 우대하는 사회체제 시급

  • 최병선
    • 과학과기술
    • /
    • 제35권5호통권396호
    • /
    • pp.20-21
    • /
    • 2002
  • 21세기에는 모든 인간활동과 경제,사회 발전이 '지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지식의 바탕은 대체로 IT, BT, NT, ET, MT등 T자로 끝나는 과학기술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이공계열의 인기가 급격히 떨어져 우려되고 있다. 우리 사회가 지식기반사회로 진입하는데는 과학기술과 지식을 실질적으로 인정하고 우대하는 사회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

  • PDF

과학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성 연구: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Control and Accept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cusing on Biotechnology)

  • 이영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권1호
    • /
    • pp.71-103
    • /
    • 2001
  •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은 긍정성과 부정성의 양면을 지니고 있다. 과학기술의 긍정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사장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성을 강조하는 반면, 과학기술의 부정성에만 초점을 맞추는 사람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통제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은 이처럼 과학기술에 대한 사회적 수용과 통제를 상호 배타적인 것으로 보는 기계적 대립구도를 무너뜨리고 양자를 유기적 연관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즉, 본 논문은 과학기술에 대한 진정한 의미의 사회적 수용성은 과학기술에 대한 일반 시민들의 광범위한 참여에 기반한 공공적 토론을 통해 사회적 통제를 행사함으로써 증진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물론 이처럼 사회적 통제를 거친 다음에 수용되는 과학기술은 원래의 그것과는 내용과 형태 둥에 있어 다소 달라질 수 있는데, 이는 사회적 통제가 과학기술을 재구성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논문은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1990년대 중반 이후부터 사회적으로 격렬한 논란거리가 되어 온 생명공학 분야, 특히 유전자변형 작물과 생명복제 문제를 사례로 하여 과학기술을 둘러싼 사회적 논쟁과 시민사회단체들의 활동들을 과학기술의 사회적 통제와 수용성의 연계라는 점에서 분석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