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기반시설물

Search Result 22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Improvement of Public Announcement of Topographical Drawing for Linear-Type Infrastructure (선형형태 사회기반시설물의 지형도면 고시 개선방안)

  • Moon, Jung Kyun;Kwon, Hun Yeong;Cho, Hyoung Sig;Sohn, Hong Gy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4 no.4
    • /
    • pp.1327-1334
    • /
    • 2014
  • Linear form of public works such as roads, railways and rivers, generally used as long work crossing administrative districts, can be several hundreds km length and narrow. These linear forms use SCM sheets, which do not include the quadrangle shape, to make a public announcement of topographical drawing in order to get the work approval. the Integrated measurement channel investigation and cadastral act that are established in 2009 apply the ITRF for the composition of design and construction books and coordinates of topographical map in order to get the work approval. However according to the article 5 of additional clause, while the cadastre is maintaining local coordinates, if there is a technical error in the content of the Public Announcement of Topographical Drawing that used the SCM,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of land borders and the efficacy or not of the announcement is raised as an administrative measure. After analysing the causes and enforcing coordinate conversion and correction taking into account linear form work's features, the result was reflected in the existing SCM. As a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proposes the improvement of the procedures of the Public Announcement of Topographical Drawing.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for Water-related ODA Projects of South Korea (물 분야 공적개발원조(ODA) 지원사업의 한계와 개선방향)

  • Park, Sung-Je;Ryu, Si-S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29-229
    • /
    • 2012
  • 물관리는 밀레니엄개발목표(Millennium Development Goals)의 달성과정에서 가장 강조되는 주제 중의 하나이다. 물관리의 최종목표는 물관리 그 자체가 아니라 자연적으로는 유한한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 사회적으로는 계층간의 형평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그러나 개발도상국들은 한정된 국가재정으로 기반시설의 투자가 부족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의 빈발로 인하여 인간다운 삶의 질을 보장받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여 있다. 이러한 인식 아래, 미국, EU, 일본 등의 선진국은 물론 이웃 중국도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물 관련 사업의 공적개발원조(ODA)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추진하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의 대 개도국 협력사업은 한국국제협력단(KOICA)이 수행하는 ODA 사업을 중심으로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우리나라의 물 분야 지원사업도 식수개발, 댐건설, 관개시설 개발, 수질오염처리, 재해방지 예 경보 시스템 및 홍수조절사업 등으로 다방면에 걸쳐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물 분야 ODA 사업은 정책 및 제도에 대한 컨설팅이나 교육훈련 등 소프트웨어 기반의 원조개발협력은 상대적으로 미진하고 물리적 인프라 위주의 지원사업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전문가 파견 및 연수생 초청 등의 인적협력의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사업내용의 대부분이 건물, 시설물 및 기자재 등의 구조적인 지원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는 일찍이 대개도국 물 분야 사업을 추진한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들이 원조협력사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도적이고 정책적인 지원을 확대하는 것과는 거리가 있다. 1992년 KOICA가 네팔 모디강 수력발전소 실시설계 지원으로 시작된 우리나라의 물 분야 사업도 이제 20년에 이르고 있다. 물 분야 지원사업도 새로운 방향전환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물 분야 ODA 지원사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나아가야 할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아시아의 스리랑카와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의 2개 국가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물관리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그리고 사례지역에 대한 우리나라의 물 분야 ODA 지원사업의 현황과 당면과제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물분야 지원사업의 추진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 물 분야 ODA 지원사업이 지향할 방향성을 제시한다.

  • PDF

Assessment Level of Safe and Maintenance Based on Safety Inspection Data of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Domestic (국내 소규모취약시설 안전점검 데이터기반 안전 및 유지관리 수준 평가)

  • Kim, Min-Su;Lee, J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5 no.6
    • /
    • pp.121-130
    • /
    • 2021
  • Recently, the need for new approaches and recognition of safety and maintenance has been raised for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Korea due to the acceleration of aging facilities, various safety accidents, and increased frequency of use. In particular, small vulnerable facilities(SVF), including most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facilities used by many of the vulnerable groups, and safety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various statuses based on safety inspection results (31,114 cases) conducted over the past 13 years (2008-2020) for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Korea, and evaluat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ield and safety and maintenance performance level. This aims to present policy directions for strengthening safety management of facilities for the vulnerable by using basic data such as improvement of safety standards and maintenance strategies for small vulnerable facilities in Korea in the future.

Hydrological performance analysis of green wall through indoor experiment (실내실험을 통한 벽면녹화에 따른 물순환 효과 분석)

  • Ji Hyun Moon;Jae Rock Park;Soon Chul Kwon;Jae M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02-302
    • /
    • 2023
  • 최근 도시의 왜곡된 물순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저영향개발은 자연의 침투, 증발산, 여과 등의 자연기작을 모방하여 강우유출수를 침투 및 저류시키는 기법으로 물순환 체계를 회복시킬 수 있다. 저영향개발 기법의 하나인 벽면녹화는 건축물이나 기반 시설물의 벽면과 같은 인공지반에 기반을 조성하고 식물을 식재하는 시설로 짧은 시간에 녹지 면적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건축물로 인해 생겨난 수직적인 면을 녹지로 활용할 수 있어 도시에 매우 특화된 시설이다. 본 연구는 벽면녹화의 저영향개발 시설로서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실내 실험을 진행하여 강우유출수 저감효과 및 지체시간 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강우유출수 저감효과는 유입량 대비 저류량을 기준으로 유출저감률을 산정하여 분석하였으며, 총 유출시간을 측정하여 지연효과를 판단하였다. 벽면녹화 현장실험 대상지는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교 양산캠퍼스에 위치한 한국 녹색인프라저영향개발센터이며, 실내에 플랜터형 벽면녹화 시스템을 적용하였다. 부산시 금정구 2012년~2021년의 강수량을 사용해 백분위수 강우사상을 기준으로 30, 50, 70mm/hr의 강우 시나리오를 선정하였다. 물순환 효과를 판단하기 위해 불투수면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불투수면의 유출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지표면 유출을 모니터링 하였다. 그 결과, 30, 50, 70mm/hr 시나리오별 유출률은 91.76%, 92.18%, 94.54%로 불투수면과 대비하여 유출이 적게 발생하였으며 총 유출시간은 불투수면대비 47분, 88분, 58분 증가하여 지연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을 통해 벽면녹화의 수문학적 성능을 분석하고자 유출량 저감효과와 지연효과를 확인하였다. 추후 다양한 강우 시나리오와 제원에 따라 실험이 수행된다면 더 정확히 벽면녹화의 물순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omotion plan of water circulation improvement project in the basin unit for improving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통합물관리 실현을 위한 유역단위의 물 안심공간 사업 추진방안)

  • Min Woo Lee;Sang Whoing Lee;Jin Won Par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53-253
    • /
    • 2023
  • 유역의 수량, 수질, 수생태, 지하수, 하천환경, 기후변화, 오염원, 하천 친수공간, 농업경작지 등 수자원 관점의 물순환의 범위를 넘어서 환경, 기후변화 적응, 경제성, 사회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포함한 통합적인 유역의 물관리 이슈와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물순환 관리의 개념은 국토개발과 도시화에 따라 파생된 물순환 왜곡 및 그에 따른 제반 물문제(홍수량 증가에 따른 침수피해, 직접 유출량 증가에 따른 가용 수자원의 감소 등)의 해결을 위한 물관리 행위 전체로 볼 수 있다. 물순환 관리의 범위는 홍수량 감소를 위한 홍수관리, 가용 수자원의 증대를 위한 물 확보 등 물관리 전반을 포함해야 한다. 기존의 물순환 사업은 비점오염 관리에 중점을 두고 LID를 활용한 빗물 침투율 증대와 빗물 재이용 등의 관련 정책을 추진하였으나 이는 물순환 체계 전반을 다루고 있지 못하고 수질 개선에그 효과가 집중되었다. 따라서, 수량·수질·수생태·재이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물순환 관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개별적이고 시설물 중심인 기존 대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통합물관리 관점의 물순환 건전성을 기반으로 유역의 안심공간 조성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전반을 연계한 통합적인 물관리를 통하여 물 안심공간을 조성하기 위한 토대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통합물관리 관점의 물순환 관련 데이터 수집, 유역별 물순환 수준의 진단 및 평가를 통하여 시범사업 모델을 마련하고, 사업에 따른 효과분석을 기반으로 중장기 추진계획 수립을 통한 실행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Assessing the Climate Change Impacts on Future Upland Drought using the Soil Moisture Model and CMIP5 GCMs (CMIP5 GCMs와 토양수분모형을 이용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밭가뭄 평가)

  • Jeon, Min-Gi;Nam, Won-Ho;Hong, Eun-Mi;Hwang, Seon-A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6-66
    • /
    • 2020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기온상승이 야기되고 있으며, 농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기상학적 및 수문학적 변화가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7년 동안 지역별로 극심한 가뭄이 매년 발생하고 있고, 가뭄의 발생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밭의 경우 농업용 저수지 등 수리시설물로부터 관개용수를 공급받는 논 작물과 달리 자연 강우를 통해 필요한 용수량을 공급받는 천수답이 대부분이고 관개시설이 부족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의 취약성이 높다. 밭작물은 작물의 생육 시기와 기후 환경, 수자원 환경에 민감하고 토양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생육하기 때문에 이러한 밭작물의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은 증발산량 뿐만 아니라 토양내 수분의 이동을 고려하여 수분 부족량을 산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 기후변화에 의한 밭가뭄 평가를 위하여 밭 작물별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을 추정하기 위한 밭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 (Soil Moisture Model)을 구성하였다. 또한 대표농도경로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RCP) 시나리오 기반의 제5차 결합기후모델상호비교사업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 CMIP5)에서 제공하는 RCP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한 전지구 기후모델 (General Circulation Model, GCM)의 기후예측결과를 적용함으로써 미래 밭 가뭄 평가를 수행하였다. 과거 기상자료 및 미래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와 작물 기초자료를 수집하여 과거 및 미래 작물증발산량을 산정하였으며, 토양수분 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밭작물의 토양수분 변화를 모의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별/생육시기별 소비수량 및 관개용수량을 추정하였다.

  • PDF

A research framework for development of a LCCA based tunnel asset management system (LCCA기반 터널 자산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 프레임웍 설계)

  • Lee, Seung Soo;Kim, Kwang Yeom;Kim, Dong-Gyou;Shin, Hyu-Soung;Seo, Jong W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6 no.6
    • /
    • pp.615-625
    • /
    • 2014
  • As many parts of Korea are mountainous, many tunnels have been constructed to be in step with rapid economic development since 1970's. However, the interest on maintenance of tunnels is far less than the awareness of need for tunnels. As the tunnel maintenance system is the responsive maintenance system which responds to the problems found during the inspection,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respond to each problem with the limited budget and manpower of the government agencies when the number of aged tunnels rapidly increase in the future. As such, this study presents the need for the LCCA (Life Cycle Cost Analysis) based tunnel asset management system to transform the tunnel maintenance to a preventive management system in a strategic and long-term viewpoint and proposes the framework for development direction. It observed the asset management implementation cases of social infrastructure in other countries and analyzed the need for asset management technique to manage the tunnels in Korea. Moreover, it applied the LCCA model, which is the economic and engineering quantitative decision making technique, for tunnel asset management to present the concrete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an asset management model and designed the R&D framework to systemize it.

Development of SVM-based Construction Project Document Classification Model to Derive Construction Risk (건설 리스크 도출을 위한 SVM 기반의 건설프로젝트 문서 분류 모델 개발)

  • Kang, Donguk;Cho, Mingeon;Cha, Gichun;Park, Seunghe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841-849
    • /
    • 2023
  • Construction projects have risks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onstruction delays and construction accidents. Based on these construction risks, the method of calculating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construction project is mainly made by subjective judgment that relies on supervisor experience. In addition, unreasonable shortening construction to meet construction project schedules delayed by construction delays and construction disasters causes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poor construction, and economic losses are caused by the absence of infrastructure due to delayed schedules. Data-based scientific approaches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needed to solve the risks of such construction projects. Data collected in actual construction projects is stored in unstructured text, so to apply data-based risks, data pre-processing involves a lot of manpower and cost, so basic data through a data classification model using text mining is required. Therefore, in this study, a document-based data generation classification model for risk management was developed through a data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SVM (Support Vector Machine) by collecting construction project documents and utilizing text mining. Through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future research results, it is expected that risk management will be possible by being used as efficient and objective basic data for construction project process management.

Improvement Plan for Construction Management and Legislation of Donation Collection Facilities (기부채납 시설의 건설관리 및 법제에 관한 개선방안)

  • Lee, Juyong;Jung, Youngchul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25 no.1
    • /
    • pp.3-12
    • /
    • 2024
  • The donation collection system to secure infrastructure and land necessary for public development projects has been actively applied as an effective means of realizing public interest and the concept of recovering development profits, and has contributed greatly to society in public difficult financial conditions. However, due to the ambiguous legal standards and lack of legal grounds for the operation of the donation collection system, it has been arbitrarily used for administrative convenience in the form of granting a donation collection assistant to install infrastructure. In addition, infrastructure is a facility that is constructed and donated within development profits to obtain licenses, and is promoted to minimize construction costs to improve profitability, posing a risk of poor infrastructure planning, design, and construction, resulting in increased safety and maintenance costs for citizens. Continuous system and legal improvement are needed to improve the excellence, convenience, and safety of facilities that citizens will use for half a centur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donation system.

A Study on the Performance-Based Bridge Asset Valuation Methods Considering Hazard (교량의 위험성을 고려한 성능기반 자산가치 평가방법에 관한 연구)

  • Yong-Jun Lee;Kyung-Hoon Park;Jong-Wan Su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8 no.5
    • /
    • pp.30-37
    • /
    • 2024
  • The valuation of infrastructure assets is typically conducted using the straight-line method, which employs the depreciated replacement cost as a basis. However, this approach has the limitation of failing to accurately reflect the actual value of the facility. In light of these considerations, the performance-based depreciation (PBD) method has been proposed as a means of evaluating the asset value of bridges on the basis of their performance, although it is not designed to take account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ridges. This study proposes a hazard-performance based depreciation (HPBD) method that considers the risk level of individual bridges in the PBD method proposed in previous studi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was evaluated on more than 8,000 bridges. The risk factors for deterioration of bridges were selected, the hazard level of individual bridges was evaluated, and weights based on the hazard level were applied to the PBD method. The evaluation resulted in a present value comparable to that of the PBD method and a relatively high future value. It is postulated that the HPBD method, which considers the risk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bridges, can be used for a more reasonable evaluation and decision-making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