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교육적

Search Result 7,97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hanges in Epistemologies : Understanding Teacher Education from Constructivism and Sociocultural Theories (인식론의 변화: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주의를 통해 이해하는 수학 교사 교육)

  • Kyungsoon Jeon
    •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 /
    • v.10 no.1
    • /
    • pp.1-10
    • /
    • 2000
  • 본 논문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째, 구성주의와 사회문화주의의 통합적인 이해를 통해 수학 교사 교육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론적인 잠재성을 토의한다. 둘째, 비고츠키의 사회문화주의에 대한 토의가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사회문화주의자들의 주장을 교사교육적 관점에서 설명한다. 학습을 개인적 타원에서 설명하는 구성주의와 학습을 사회적 차원에서 설명하는 사회문화주의는 그 발생 원리상 큰 차이점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차이점에 대한 논란보다는 어떻게 이 두 가지 이론이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과 이론적 지지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지 다루고 있다.

  • PDF

초등수학교육에서 사회적 구성주의가 교사에게 주는 도전

  • 김정효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33-43
    • /
    • 1997
  • 최근 초등수학교육에서 구성주의는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수학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수학교육의 이론적 연구와 실제적 개혁을 이끌어 오고 있다. 그러나, 구성주의적 인식론은 수학교육에서 그 자체가 수학교수에 대한 하나의 대안으로 받아들여져서, 교수활동에 대한 실제적인 모색은 활발하지 못했다.(중략)

  • PDF

Using Outcome-based Evaluation to Assess the Impact of a Museum-based Program (박물관을 활용한 사회적 약자 지원 교육 프로그램 영향 평가)

  • Han, Ju Hyoung;Noh, Eun Je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11
    • /
    • pp.930-943
    • /
    • 2014
  • Museums increasingly are expected to be accountable for effectiveness of both new and existing programs, and to broaden and diversify community members served. One approach is to expand program services beyond those for traditional on-site visitors to non-traditional more diverse populations, including at-risk populations. Program evaluators are challenged to verify achievement of such lofty goals in the short term and during early program implementation. Nevertheless, it is critical to examine impacts of newly developed programs to determine viability and to improve them.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s and efficacy of an on-going, non-traditional museum program targeting transitional homeless people in the community. Results presented a strategy for conceptually framing an assessment of a collaborative museum program serving non-traditional museum clients. Also, this study showed how aspects of one program were perceived by participants, and how those perceptions correspond with program outcomes.

Basic Nursing Education, Present and Future (기초간호교육 - 현재와 미래)

  • Hahn Yoon Bok
    • The Korean Nurse
    • /
    • v.18 no.2 s.100
    • /
    • pp.57-69
    • /
    • 1979
  • 오늘날 건강은 생존하는 인간이 지녀야 할 기본권리로 인정되고 있으며 국민의 복지향상이 없는 경제발전은 국제사회에서도 신망을 얻지 못하는 시대에 이르렀다. 국민의 건강수준은 그 사회전체의 문명척도를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에 세계도처에서 인간의 복지향상과 인권보존을 위해 여러가지 형태로 건강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건강관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간호의 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1903년, 외국 선교사에 의해 간호교육기관이 설립된 이후 사회 정치적 배경에 따라 교육제도상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대학과정은 1950년에 개설했으나 6.25동란으로 첫번 학사 간호원은 1959년에 배출되었으며 현재 14개 대학이 있어 대학원과정도 운영하고 있다. 3년제 간호교육은 간호교육이념에 따라 1962년부터 초급대학 수준으로 승격되었고 1970년에는 교육법령이 개정되면서 전문학교로 개칭하게 되었으며 1979년 부터는 전문대학으로 개편하여 입학수준을 대학입학예비고사 합격자로 수준을 높였다. 계속 교육제도에 있어서는 석사 및 박사과정 이외에 여러가지 전문분야의 연구과정 및 실무 수련과정이 마련되어 있다. 간호교육 이념정립과 제도 개선을 위해 학계에서는 꾸준한 연구를 지속하여 정책수립에 반영했다. 지금까지의 진료중심의 간호에서 지역사회 건강중심의 간호역할로의 전환기에 있음을 인식하여 바람직한 변화가 올 수 있도록 교육목표를 설정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고 본다. 전문기관에서는 양적, 질적 간호인력 수급계획을 마련해야 할 것이며 간호원의 사회 경제적 지위향상은 물론 간호원의 역할을 법적으로 규정하여 효율적인 인력활용을 위해 계속 연구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앞으로의 간호교육은 첫째, 현직 간호원의 사회 경제적 지위를 향상하고 둘째, 적성에 맞는 학생을 선발하고 셋째, 유능한 교수를 확보하는 일이라고 본다.

  • PDF

The Possibility of Social-cultural Creativity Education: A Case Study of "Imaginative Innovator" at H University (사회문화적 창의력 교육의 가능성 제안 : H대학교 '상상력 이노베이터' 교과목 개발 및 운영 사례)

  • Lee, J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7
    • /
    • pp.448-458
    • /
    • 2021
  •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ccelerates, universities have made great efforts to develop and reform creative convergence courses for improving the students' creative convergence capabilities. Although various subjects such as "Capstone" and "Design Thinking" to the improvement of students' creative convergence competences, many courses focus on creativity education in the direction of creating new products or outputs such as engineering, design, and art, so there is still a lack of systematic education and subjects on creative convergence capabilities from a humanities and sociological perspective. In order to overcome their limitations of creative courses, "H" University developed a 'Imaginative Innovators' class with the purpose of solving creative problems on social issues related to sciences, culture, politics, economics, and so on. In this study, we introduced the purpose, methodology, students' best practices etc. of the "Imaginative innovator" course.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complements as well as the advantages and possibilities of the course.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creativity education.

Networks of Rural Youth Education and Training in Asia (아시아 농촌 청소년 교육과 훈련의 연결망)

  • 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9 no.1
    • /
    • pp.131-145
    • /
    • 2002
  • 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국제연합에서는 $15{\sim}24$세의 젊은이를 청소년이라고 정의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농촌청소년은 미래 농촌발전의 핵심주체라 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촌청소년은 그들 부모세대보다 더 높은 교육수준과 도전의식 그리고 더 높은 창의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들은 미래가 자신의 장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전망, 미래의 비전에 관심이 크다. 청소년에 대한 교육은 민주사회의 미래에서 한 사회가 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투자 중의 하나라고 인식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의 경쟁적인 시장경제로의 진입에서 청소년의 사회경제적 비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교육과 훈련의 질적 양적 향상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세계무역기구 출범 이후 농산물 수출국가와 선진국에서의 소득균형은 일반적으로 향상되었으나 순식량 수입국가나 개발도상국가에서는 소득균형이 더 악화되고 농업영역의 쇠퇴를 초래하고 있는 부작용이 국제연합 식량농업기구 등의 분석이다. 더욱이 식량안전상황은 농산물의 급격한 수입으로 여전히 불안하고 농가 판매의 지속적인 악화, 농촌과 도시간의 소득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의 건강과 환경에 유해한 유전자조작 농산물 (GMO)의 교역은 소비자의 식품안전과 잠재적 위해 때문에 합당한 조치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농업교육, 연구 그리고 지도, 특히 아시아의 주요작물 영역에 대한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며 많은 아시아국가들에서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농촌 청소년교육은 빈곤퇴치,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그리고 지속적이고 균형있는 농촌개발 등이다. 이를 위한 정부와 국민, 특히 농촌 청소년들의 연결망을 통해 함께 협력해야 빈곤퇴치와 식량의 안정적 공급 및 식품의 안전 등 농촌의 사회경제적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아시아지역 농촌사회 및 식량농업의 발전을 위한 청소년 연결망을 예시적으로 검토하고 미래사회에서의 협력을 위한 접근을 탐색하였다.

  • PDF

다문화 교육의 현실 문제와 개선 방안

  • Cha, Min-Jeong;Gang, Eun-Suk;Jeong, Ji-Yun;Gang, Gyeong-Sik
    • Proceedings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Conference
    • /
    • 2011.04a
    • /
    • pp.471-479
    • /
    • 2011
  • 한국의 어두운 역사적 배경 속에서 '혼혈아'라 불리던 국제결혼자녀 또는 미군아버지로 부터 버림받은 사생아들은 한국 사회에 포용이 될 수 없었다. 더불어, 그 이후 유입된 새터민, 외국인 노동자, 중국동포의 다문화 가정자녀들도 외국인도 내국인도 아닌, 외계인으로 사회적 고립으로 말미암아 소외계층으로 밀려나야 했는데, 이는 단일 민족주의를 긍지로, 여기는 한국의 주류층과의 차이가 차별(discrimination)로 변질된 현상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들의 차이는 '잠재적 역량'이 될 수 있는 이면적 장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한국의 사회. 문화적 신념에 의한 배타적 성향을 지닌 한국 주류층들은 물론이거니와, 다문화사회 구성원들조차 인식하지 못하거나, 활용되지 못하는 것이 현 실정 이었다. 글로벌 사회의 도래로, 다문화 사회를 바라보는 전체사회의 의식변화를 요구하는 사회 각계각층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시작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체류외국인 100만 명 돌파의 시대에 돌입 후 정부는 다문화사회 도래에 대한 다양한 대비책을 마련하는 현 상황에서 다문화사회 구성원들의 정부시책에 대한 관심과 자체적 노력이 더욱 요구되며, 이런 노력 하에 전체사회의 변화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다문화사회의 미래인 그들의 자녀들을 위해 교육적, 제도적, 정책적 인프라구축의 노력에 결실을 가져오리라 본다. 한국사회가 송출국에서 수민국가 대열에 서게 된 이 시점에서 다른 국가들의 이민과 교육정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이주자 대상별로 전반적 다문화 가정 자녀의 교육 현실 및 한국 다문화 교육 정책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미래지향적 다문화 교육에 대한 앞으로 한국의 다문화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PDF

Fostering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Intention through Work Meaningfulness Found in Experiential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Moderating Role of Social Class (사회적 창업교육 장면에서의 일 의미감 경험은 사회적 창업 효능감과 의도를 증진하는가?: 객관적 및 주관적 사회계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Kawon Kim;Seoyoung Park;Nayeon Lee;Jihyun Koo;Hee Chan Yoon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9 no.3
    • /
    • pp.123-138
    • /
    • 2024
  • Experiential social entrepreneurship education offers participants opportunities for active engagement in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Highlighting the significance of psychosocial experiences within the program, this study examines work meaningfulness discovered in this process as the antecedent to forming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Furthermore, drawing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that emphasizes the role of agency in career decisions, we propose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the underlying mechanism and social class as the moder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meaningfulness and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formation. The propositions were tested with a two-wave survey dataset collected among 145 university students taking part in an experiential social entrepreneurship program in South Korea. Our results indicate that work meaningfulness positively affects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hich subsequently promotes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Moreover, when participants' social class, measured by either household income or perceived rank, is lower, the positive effect of work meaningfulness on social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s well as intention is amplified. Theoretically, these findings shed light on the crucial role of work meaningfulness in strengthening potential entrepreneurs' agency in the domain of social entrepreneurship, particularly for those from lower classes. Practically, we provide guidelines for designing an inclusive experiential social entrepreneurship program that allows participants to find meaningfulness by realizing their strengths and justifying their prosocial contribution.

  • PDF

Examining Present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rough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Ideology & Social Welfare Education Practice Theory of Deok Joon Kim (김덕준(金德俊)의 사회복지 사상과 사회복지 교육 실천원리를 통해 본 현재의 한국 사회복지 교육)

  • Lee, Jun-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
    • /
    • pp.496-51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ocial welfare ideology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practice theory of Deok Joon Kim(1919-1992) who was a pioneer in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a founder of Korea's very first independent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rough examining his life, and social welfare related works, ideology and education practice theory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Relationship involving first, spirit of shalom, second, human dignity, third, love of the cross, fourth, social justice, fifth, worshiping God and loving human being, and sixth, love of neighbors were found. These social welfare ideology and social welfare education practice theory of Deok Joon Kim are values that can resolve today's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problems and insights which would reestablish essential goals and objectives in cultivating social workers with principles. These could be applied to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in forms involving social worker's justice, stance, role, and function.

The Present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Education - Focused on Ethical Sensitivity - (사회복지윤리교육의 현황 및 효과에 관한 연구 - 윤리적민감성을 중심으로 -)

  • Choi, Myung-Mi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1 no.4
    • /
    • pp.381-402
    • /
    • 2009
  • This Study explores and describes the present status and effects of Korean social work ethic course , reflecting increasing concerns about social worker's ethics. Using the member list of the Council of Korean Social Welfare Education,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extent to which the ethic course is established and how the course is managed. Then,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he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using the test scores designed to measure the students' sensitivity to ethical issues, this study compared test scores between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and those who did not. This study also compared pre-post test scores of students who attended the course. The results show that enrollment in the course contributes to significant changes in the students' ethical sensitivities, in spite of social work education system that does not very yet empathize the ethics curriculum very strongly. Further, enrollment in the ethic course is proved to be a more powerful factor to ethical sensitivity than any other demographic or education related factors. These findings suggest a stronger emphasis abd serious consideration of the course, as well as more efforts to bring up professionals and invest in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al work ethic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