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회경제적 계층

Search Result 23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Factors Affecting the Choice of Medical Care Use by the Poor (저소득층의 의료 이용과 욕구 미충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Kim, Jin-gu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
    • no.37
    • /
    • pp.5-33
    • /
    • 2008
  • This study examines the use of medical care by the poor through analysing KNHANES III databases, and the focus of the study is on under-satisfaction of medical needs and the impact of the medicare system. The results of analysis are summerized as follows; the poor had generally suffered from poor health condition, and did not have economic resoure to satisfy the medical needs. But, the beneficiaries of the medicare used much more medical care than non-poor.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suggest that the medicare affected significantly on increase of uses. Consquently, the medicare system effectively made up the lack of economic resoure of the poor. However, the Medicare did not sufficient to satisfy all the medical needs of the poor. Over 20% of the poor had experinced the abandonment of meical care uses, "the lack of econmic resource" was most important reason. The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suggest that all the poor such as Medicare I and Medicare II beneficiaries, and near-poor class had much more probabilities of giving up the use of medical care than non-poor. It is necessary to raise up the benefit level of the current medicare system such as the reduction of non-secured medical cost, the alleviation of user's burden etc.

청년기 여성의 의류상표선택과 가정환경과의 관계 연구

  • 이은실;이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Costume Conference
    • /
    • 2001.04a
    • /
    • pp.46-47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기 여성의 국내 및 외국 의 류상표선태과 가정의 가치지향성 및 물리적 가정환 경과의 관계를 조사하며. 상표선택에 따른 상표결정 동기의 차이를 파악하고 의복구매 후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조사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여고생과 여자대학생 408명이었다(여고생 224명, 여대생 184명). 가정환경변인 측정도구는 정원식의 '가정환경진단검사'중에서 가정의 가치지향 성을 사용하였으며. 사회상승주의, 물질주의, 전통주 의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였다. 상표선택은 최근에 구 입한 캐주얼웨어의 상표에 대한 내용과 구입희망 상 표를 조사하였으며, 상표결정동기는 5점 척도의 10 문항을 사용하였다. 가정의 물리적 환경은 부모의 학력, 사회계층, 주거공간을 조사하였으며, 인구통계적인 변인으로 학년, 연령, 용돈을 조사하였다. 조사기 간은 2000년 4월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고생 및 여대생이 구입한 의류상표는 국 내상표가 24.0%. 외국 상표가 37.5%. 상표명을 기억 하지 않는 상표무관심 집단이 38.5%였다. 구입희망 상표는 외국상표가 48.8%. 국내상표가 26.0%. 무관 심집단이 25.2%로서 구입한 상표보다 구입희망상표 의 경우 외국상표가 더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둘째, 가정의 가치지향성은 국내 및 외국의류상표 구입집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가정 의 가치지향성 중에서 사회상승주의는 구입희망 집 단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어, 외국상표 구입희망 집단은 가정의 사회상승주의가 높았고, 상표무관심 집단은 사회상승주의가 낮았다. 따라서 사회적 지위 상승을 추구하는 가치관을 지닌 가정의 청소년들은 부모의 가치관에 영향을 받아 외국상표 의류를 희망 하여 의복을 통해 신분상승을 추구하려는 정도가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국내 및 외국 의류상표 구입집단운 부모의 학력, 가정의 사회계층 및 주거공간과 유의 한 관계가 있었다. 아버지와 어머니의 학력이 대졸 이상의 경우 는 외국상표를 더 많이 구입하였고, 부모띄 학력이 고졸인 청소년은 상표 무관심집단이 많았다. 또 상류 층은 외국상표 및 국내상표를 구매한 비율씨 비슷하 게 높았으나 하류층은 상표 무관심집단이 더 많은 편이었다. 구입회망상표와 사회계층 및 주거공간과 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청년기 여성은 가정의 사회계층과 관계없이 외국상표의 구입을 희망 하는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외국상표 구입 집단은 국내상표 구입 집단 보다 상표를 미리 결정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백화 점에서 구입하는 정도가 더 높았다. 또한 여대생은 의류상표선택과 용돈이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나 여고생은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 다섯째. 외국상표 구입집단은 국내상표 구입집단 보다 주위 사람의 상표와 상표의 명성이 더 높은 구입동기로 작용하였으나. 품질, 유행, 할인가, 디자인, 가격, 착용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여섯째, 상표결정동기 중 할인가 구매는 가정의 사회상승주의 및 물질지향주의와 유의한 정적 관계 가 있었고, 적절한 가격도 물질지향주의와 정적 관계 를 나타냈다. 가정의 전통주의는 의복의 디자인과 부 정적인 관계, 상점의 위치와는 정적관계가 있었다. 따라서 전통주의적인 가치관을 지닌 가정의 자녀는 편리한 상점의 위치가 상표결정동기로 작용하는 데 영향을 주는 특성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의복만족에 동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디자인, 면안성, 타인의 착용( - ). 상표의 명성, 외국 상표선택, 의복품질로 나타났으며. 6개 변인을 통한 설명력은 24.4%였다. 즉 상표를 결정할 때 디자인, 편안성, 상표의 명성, 의복품질을 고려하며. 주위사람들이 착용한 상표를 고려하지 않을수록 만족도가 높았으며, 외국상표를 선택한 집단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종합적으로 볼 때 가정의 사회상승주의가 높은 청년기 여성은 외국상표 구입을 희망하는 비율이 높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외국상표 구입 빈도가 높았으며. 외국상표를 구입한 여성은 의복구 매 후 만족도가 높았다. 또한 청소년들이 외국 의류 상표를 구매하는 데에는 상표의 명성과 타인의 옷차 림이 영향을 주었으나, 타인의 착용에 영향을 받는 정도가 높을수록 의복 구매 후 만족도는 낮아진다고 할 수 있다.

  • PDF

A Case Study on the UK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for Inclusive Urban Regeneration (영국의 포용적 도시재생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사례 연구)

  • Kim, Jung-Hwa;Kim, Yong-G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7 no.5
    • /
    • pp.78-90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policies for parks and green spaces for inclusive urban planning and regeneration. By reviewing the status, budget, and laws pertaining to urban parks in Korea, as well as assessing the inclusivity of urban parks, this study revealed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in Korea as follows. First, the urban park system, which takes into account indicators such as park area per capita and green space ratio, is focused only on quantitative expansion. Second, the distribution of urban parks is unequal; hence, the higher the number of vulnerable residents, the lower the quality of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Moreo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UK central government, along with the five local governments, including London, Edinburgh, Cardiff, Belfast, and Liverpool. Through an analysis of the contexts and contents establishing UK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that can reduce socioeconomic inequalities while at the same time increase inclusiveness. This study discovered the following. The government's awareness of the necessity of tackling socioeconomic inequalities to make an inclusive society, the change in the urban regeneration policies from physical redevelopment to neighborhood renewal, and the survey and research on the correlation of parks and green spaces, inequality, health, and well-being provided the background for policy establishment. As a result, the creation of an inclusive society has been reflected in the stated goals of the UK's national plan and the strategies for park and green space supply and qualitative improvement. Deprived areas and vulnerable groups have been included in many local governments' park and green space policies. Also, tools for analyzing deficiencies in parks and methods for examining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parks were developed. Besides, for the sustainability of each project, various funding programs have been set up, such as raising funds and fund-matching schemes. Different ways of supporting partnerships have been arranged,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collaborative bodies for government organizations, allowing for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organizations. The study results suggested five policy schemes, including conducting research on inequality and inclusiveness for parks and green spaces, develop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ark services, identifying tools for analyzing policy areas, developing park project models for urban regeneration, and building partnerships and establishing support systems.

The Effect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 Focusing on Whole Residents and the Elderly - (도시 오픈스페이스가 옥외 여가활동에 미치는 영향 - 전체 주민과 노인을 대상으로 -)

  • Youn, Jeong-Mi;Choi, Mack Joo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2 no.4
    • /
    • pp.21-29
    • /
    • 2014
  • In terms of quality of life, leisure and health have become important issues with increasing incomes and decreasing working hours in Korea. 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urban open space on outdoor leisure activities, emphasizing that parks, river banks, and physical activity sites can provide opportunities such as walking, jogging, stretching, and cycling, free of charge to all residents. Based on 2010 sample survey data on leisure activities, multiple regression model as well as hierarchical linear model are estimated, taking account of bo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on demand and environmental/areal factors on supply side, including open space. Major findings include: first, urban open space significantly increases residents' outdoor leisure activities, second, the effect is more significant for the elderly and third, the effect is more valid for those with relatively low incomes and less education. These results imply that urban open space could be available as a local public good to cope with population aging and to realize health city and social welfare, since this space is not only a leisure place but also public health and welfare facilities.

철도의 전기$\cdot$신호설비 감시$\cdot$보전 시스템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s.261
    • /
    • pp.70-76
    • /
    • 1998
  • 철도분야에서의 전기$\cdot$신호설비 고장은 열차의 정상운행에 차질을 일으켜 사회적으로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되므로 설비의 유지관리를 위해서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또 이러한 보전작업에는 철도 설비가 널리 산재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을 수반하는 작업, 열차가 통과하지 않는 야간 작업, 만일의 경우 위험을 수반하는 작업 등, 이 분야 특유의 작업이 있다. 한편 보전작업에 종사하는 기술자는 해마다 줄어들고 있으며 앞으로 젊은 근로자의 부족은 더욱더 심해질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이유로 설비보전의 자력화, 미연의 고장방지, 고장의 조기복구와 재발방지를 목표로 지금까지 사람의 손에 의지해 오던 설비보전을 기계화하고 자동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다. 이 시스템은 대상설비에 따라 다음의 3가지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cdot$신호설비 보전시스템 $\cdot$변전$\cdot$수배전설비 보전시스템$\cdot$연선전기설비 보전시스템 이들시스템에 공통적인 주요 특징을 들면 아래와 같다. (1)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고원인을 규명 이벤트발생 전후의 변화나 중장기트렌드를 원격감시할 수 있다. (2)시스템의 변경$\cdot$증설이 용이 인텔리전트단말에 의하여 처리를 계층화하였기 때문에 빌딩블록식으로 시스템을 확장할 수 있다. (3)경제적인 시스템 필드 네트워크의 채용으로 공사비를 삭감할 수 있다.

  • PDF

자활지원사업, 더 이상 새로운 도전이 아니다!

  • Eom, Tae-Yeong
    • Social Workers
    • /
    • no.2 s.34
    • /
    • pp.24-27
    • /
    • 2005
  • 2000년 10월 사회복지분야에서 커다란 변혁이 일어났다. 그동안 우리나라 빈곤정책의 근간이었던 생활보호제도가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로 대체된 것이다. 변혁이라는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측면 때문으로 볼 수 있다. 즉 근로능력의 유무와는 상관없이 소득, 재산기준이 일정수준 이하이면 국가가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주는 생계급여의 한 축과, 강제성에 대한 논란은 있으나 근로능력이 있는 빈곤계층이 스스로 가난을 탈피할 수 있는 자활지원의 또 다른 한 축이 균형을 이루며 제도를 구성하고 있다는 점이다. 결국 자활지원 사업은 빈민운동에서부터 출발하여 90년대 중반 시범사업의 과정을 거쳐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의 시행과 함께 안정적인 제도화의 길을 걸을 수 있게 되었다. 자활지원사업과 관련된 민간 전달체계로는 현재 자활후견기관 242개소가 전국적으로 운영되고 있고, 수급자를 포함하여 빈곤소외계층을 대상으로 적절한 일자리 창출을 통한 경제적 자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 PDF

Integrated Application for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care Using Public Data and AI (공공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접목 시킨 임신, 출산, 육아 어플리케이션)

  • Kim, Seol-Ha;Lee, Je-Yoon;Lee, Ha-Yon;Park, Jong-Beo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16-1018
    • /
    • 2022
  • 우리나라의 생산 가능 인구는 올해를 정점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앞으로 1,000 만 명 이상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양육과 교육비에 대한 부담이 단산까지 이어지고 있다. 우리나라에 있는 임신, 육아, 출산에 대한 서비스는 매우 적은 편이며 기존에 존재하는 기술의 경우 특정 사용자를 대상으로 해서 소외되는 계층이 생겨나는 문제가 있다. 사람들이 경제적인 격차와 사각지대에 놓여 정보적 격차를 느끼는 만큼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복합적인 서비스와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한 기능이 필요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과 공공데이터를 이용한 임신, 출산, 육아 통합 앱 개발을 통해 모든 사용자가 차별 없이 정확하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혜택을 받아 사회적인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제안한다.

Service model development and importance analysis using shared economic service - As a specialization center for mail service (공공서비스의 공유경제 서비스모델 도입 위한 중요요인 분석 -우체국 서비스를 중심으로)

  • Park, Sung Hwan;Leem, Choon Se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0 no.5
    • /
    • pp.181-188
    • /
    • 2019
  • People can easily use a shared economic service system based on ICT technology. Most of the shared economic services are provided by private companies, and discussion on public goods is insufficient. If we look at the current shared economic serv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courier service, $\ddot{U}ber^{\prime}s$ system can be an alternative. The post office courier service uses ICT technology but differs from the service of the shared economy. This study uses Delphi analyzer method and AHP methodology to derive important factors in introducing shared economic system. As a result,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the most important in the upper tier, and the shared economic platform, sharing of idle resources, popularization of smartphone, and increase of e - commerce were the four important factors in the lower tier. In order to maximize efficiency, which is the essence of the shared economy, the necessity of introduction into the shared economic system and important factors in the introduction of public goods are presented.

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도시교통의 사회적 영향)

  • Noh, Shi-Ha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 no.2
    • /
    • pp.37-47
    • /
    • 1996
  • It is well agreed that transportation is not the end by itself, rather it is a means to achieve other goal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ly, various social impacts of transportation systems, such as destruction of community social life of urban residents, separation of community area, and accessibility restriction on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 which can deteriorate the quality of life of the residents should be considered seriously in the process of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The urban transportation planning process of Korea which emphasizes too much on the of efficiency objectives of transportation, however, have neglected greatly the social sides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This paper discusses major 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systems in Korea and proposes several research fields related to the social impacts of urban transportation.

  • PDF

Evolutionary Approaches to Low Fertility in Modern Societies (현대 사회의 저출산에 대한 진화적 분석)

  • Joonghwan Jeon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
    • /
    • v.18 no.1
    • /
    • pp.97-110
    • /
    • 2012
  • The sharp decline of fertility in industrialized countries since the 19th century constitutes a major problem for evolutionary approaches to human behavior. Why would people voluntarily reduce their total number of offspring, despite the fact that resources are so abundant in modern times? Here I review three evolutionary hypotheses for low fertility in modern societies, and discuss how the evolutionary perspective could shed new light on solving the problem of low fertility in Korea. Low fertility may be 1) a maladaptive outcome from the mismatch between our ancestral environments and evolutionarily novel environments, 2) a consequence of gene-culture coevolution where traits that reduce genetic fitness can still spread through a population as a result of imitation, especially if the traits are expressed by high-status people, or 3) an adaptation that maximize parents' long-term genetic fitness in knowledge-based industrialized societies where high parental investment is required for rearing competitive offspri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I suggest how the evolutionary explanations of low fertility can be applied to increasing the birth rate in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