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천(司天)

Search Result 31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대순사상의 인문정신과 인류평안의 이념

  • 잔스촹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99-254
    • /
    • 2013
  • 대순사상은 인간의 행위와 정신적 틀, 즉 몸과 마음을 닦고 세상을 다스리며 백성을 평안하게 하는 도리를 설파하고 있다. 우주 공간의 질서와 깊은 연관을 맺는 이러한 도리는 인간 자신의 인지(認知)와 심신 수양의 내용을 포함하며, 사람이 사회와 우주자연과의 관계를 어떻게 처리해 나갈 것인지에 관한 문제도 다루고 있다. 따라서 대순사상을 인문이라는 관점에 입각하여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서양의 인문주의와 비교해 볼 때, 중국 전통의 인문정신은 인류 개체의 창조력과 그 성과를 인정하고, 인격적 수양과 개선을 주장하며, 사회의 조화를 강조하는 한편, 인류가 반드시 천지인의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개체와 전체의 생존을 파악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러한 인문정신은 『전경』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하나가 모악산과 단주(丹朱)에 대한 서술인데, 모악산은 산 즉 '간'(艮)괘이며 단주는 적색에 상응하니 곧 '리'(離)괘가 된다. 이 두 괘가 서로 조합하면 '비(比)'괘가 되며, 『주역』의 비괘와 연관하여 서로 간의 모순을 없애고, '바둑'을 두는 기법을 거울삼아 심성을 다스리며, 인격을 완성하고, 인신이 조화를 이루도록 하며, 사회를 안정시킬 것을 말한다. 대순 신앙의 최종 목표는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인데, 이런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인격수양을 그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인격수양의 목표는 바른 도인이 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서는 수도 공부를 해야만 한다. 수도는 춘추시기 노자 이래로 유구한 문화적 전통을 지닌 것이지만, 대순진리회는 한국사회 역사의 경향과 현실의 필요에 부응하여 수도 이론을 새롭게 수립하였다. 이를 살펴보면, 대순진리회는 수도자가 '성(誠), 경(敬), 신(信)'에 힘쓰는 품격 함양을 매우 중시한다. 또 도인들이 가정의 화목에 힘써야 하며, 솔선수범하는 도인으로서 사회의 모범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렇게 볼 때, 대순진리회는 '인도'(人道)를 함양함을 강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전통적인 유가에서 말하는 '수신, 제가' (修身, 齊家)의 정신과 그 의미가 맞닿아 있다. 또한 중국 도교의 '선도(仙道)를 이루고자 하면 먼저 인도(人道)를 행하라'는 사상적 취지와도 일치한다. 대순진리회에서 수도의 최종 목표는 도통이다. 도통은 수도자가 매우 높은 경지에 이르게 되었을 때 가지는 특수한 능력과 정신의 경지이다. '도통'에 대한 기록은 『장자·제물론』, 『문자』의 「부언편>(符言篇) 등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대순진리회가 말하는 도통은 중국의 도가 전통에 보이는 도통과도 연관되지만 강한 인륜수양(人倫修養)적 특색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것은 대순진리회가 가지는 중요한 인문적 함의라 하겠다. 대순진리회는 수도 공부로써 광제창생·보국안민·지상천국건설의 사회적 이상을 실현하고자 한다.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를 수립하기 위한 토대는 대순진리회의 종지 첫 번째인 음양합덕이다. 음양합덕은 대순진리의 인문 취지의 이론적 기초를 형성하는 사상이다. 음양합덕의 철학적 사고는 종지 두 번째인 신인조화(神人調化)의 이상으로 이어진다. 신인조화는 『상서·순전』(尙書·舜典)의 신인이화(神人以和)에서 그 사상적 연원을 찾아 볼 수 있다. 다만 신인이화가 율려 조화의 '결과'를 표현한 것이라면, 신인조화에서 중시하는 것은 '과정'이며 인간과 신의 상호작용이라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신인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공부를 해야 하며, 그 배후에는 인본(人本)의 사상이 깃들어 있다. 그것은 종지 세 번째인 '해원상생'의 내용에서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신인조화가 인간과 신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면, 해원상생은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는 것을 말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긴 역사의 과정 속에서 맺힌 원을 풀어 우주의 기운을 잘 통할 수 있게 하고 인간 사회의 정상적인 교류를 이루도록 한다. 이러한 내용은 사회적인 인문적 관심과 배려를 다분히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대순진리회의 종지 네 번째인 도통진경은 수도의 가장 높은 경지를 말하는데, 이러한 이념은 노장 일파의 도가 학자들이 말한 순박한 본성으로 회귀하자는 정신에서 그 원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는 한진(漢晉)시대 이래 중국 도교가 추구했던 '진경' 의 의미와도 합치된다. 그러나 시대와 환경이 다름으로 인해, 대순진리회의 '진경'은 사회생활의 의미까지 내포한다. 비록 대순진리회의 경전이 인본(人本)을 명확히 밝히고 있지는 않으나, 대순진리회의 요의(要義) 중 하나인 인존사상은 대순진리회의 인문정신을 말해주는 것이다. 인존사상의 직접적인 기능은 평안(平安)으로서 삶을 이롭게 하는 것이다. 대순진리회는 우주대원의 진리를 '도'라 하였는데 이러한 '도'는 중국의 도가에서 말하는 '도'와 동일하며, 여기에는 '안(安)'의 의미가 포함되어 있다. 대순진리회의 신조 중 '안심', '안신'은 마음을 정(靜)하게 하고, 몸을 편하게 하는 것으로 볼 수 있지만, 심신의 공포와 두려움을 떨쳐내어 안전과 보호를 얻는다는 의미도 있으므로 결국 평안이 전제가 된다. 이렇듯 대순진리회에서는 '평안에 대한 희구'를 근본으로 하여 신앙인들이 열심히 수도에 정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인류 평안을 기본으로 하는 종교라는 점에서, 반드시 세인들의 환영을 받을 것임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

대순진리회 구천상제(九天上帝) 신앙과 도교 보화천존(普化天尊) 신앙 비교

  • 위꿔칭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157-195
    • /
    • 2013
  • 대순진리회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이하 '구천상제')'를 주신(主神)으로 신앙하는 종교단체이다. 그렇다면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와 중국 도교에서 모셔지는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하 '보화천존')은 어떤 연관성이 있는 것인가? 이런 질문을 토대로 본 글에서는 이 신들의 기원과 칭호, 도세법문(度世法門 : 세상을 제도하고자 펼친 법도) 등의 관점에서 그 차이점과 공통점을 하나씩 비교해 보았다. 먼저 기원이라는 측면에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을 비교해보면, '구천상제'는 천지인 삼계의 최고신으로서 강씨 가문을 선택하여 인간의 육신으로 태어났다. 강씨 성은 상고 신농씨에서 시작되었는데, 고대 문헌에 근거하면 신농씨는 태양신, 남쪽, 불(火) 등으로 상징화된다. 이런 상징들은 '구천상제'가 인간으로 태어날 때 나타난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다", "큰 불덩이가 몸을 덮치다", "천지가 밝아지는도다" 등의 현상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은 뇌신의 특징을 가지면서 일신(日神), 월신(月神)과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런 면들은 신농씨로부터 분석한 '구천상제'의 신적 기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도교에서는 신농씨가 다스리던 세상을 중국 상고시대의 가장 이상적인 사회형태로 보고 있는데, 이것을 '구천상제'가 건설하려는 후천선경과 연관 지어 생각해보면 '구천상제'가 신농씨의 후손인 강씨 종가에서 태어난 배경을 이해할 수 있다.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중생의 이익을 도모하고, 조화로운 인간세상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것은 대순진리회 '구천상제'가 행한 대순의 목적과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은 칭호에서도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단적으로 말하자면, '구천상제'에는 '보화천존'에 비해 '강성상제'라는 칭호가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또한 도교에서는 '보화천존'을 최고신으로 모시지 않으며, '구천상제' 신앙에서는 '보화천존' 신앙에서와 달리 뇌신과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찾아볼 수 없다. 마지막으로 '구천상제'와 '보화천존'의 도세법문을 비교해보면 첫째, 구천상제는 세상이 혼란, 불공평, 죄악에 빠졌기에 육신으로 인간 세상에 강림한 후 대순진리를 선포하였다. 이와 유사하게 보화천존도 천하와 인간세상을 순시하여 죄악과 겁액을 없앤다는 '순시천하(巡視天下)' 사상이 있다. 물론 여기에는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그 중 하나는 '보화천존'은 순시할 때 인간의 육신으로 화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또 다른 하나는 '보화천존'이 인간 세상에 창교의 방법을 통하여 선경을 건설하고자 하는 목표를 전해주지 않았다는 점이다. '보화천존'은 교리를 가르치거나 신통을 발휘하는 데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구천상제'가 내린 가르침인 해원상생은 후천선경을 건설하기 위한 수단과 과정이다. 도교의 '보화천존'도 인간이 지은 많은 죄악과 겁액은 세상 사람들이 맺은 원한과 관계가 있으므로, 이런 겁액과 죄를 해소하려면 해원부터 해야 한다는 것을 수차례에 걸쳐 언급하고 있다. 도교에서 말하는 '해원'의 구체적인 내용은 주로 인간의 시비, 질병, 겁액에 관한 것이며, 그 해결 방법으로는 주로 마음속으로 『옥추보경』을 읽는 것이다. 이를 '구천상제'의 '해원상생' 가르침과 비교하면 그 사상의 폭이나 깊이, 중요성, 이론적 측면 등에서 비교적 간단한 형태로서 체계적인 면모로까지 나아가지는 못하였다. 셋째, '구천상제' 는 곤경에 처한 사람이 신명의 호칭을 부르면 그에 상응하는 신명이 달려와서 구원해준다는 '소리감응'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 방법은 도교의 '보화천존' 역시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넷째, '구천상제'는 과오를 범한 사람이 자신의 과오를 뉘우치면, 그 다음에 상제의 용서를 받음으로써 그 원한이 풀리게 된다는 참법(懺法 : 懺悔法)을 세인(世人) 교화에 자주 사용하였다. 물론 이것은 해원상생의 구체적인 적용이라 할 수 있다. 기능면에서 보면 이 방법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옥추보참(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玉樞寶懺)』의 참의(懺儀)와 공통되는 점이 있다. 참의는 수도자 스스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고, 수도에 정진하며, 사회의 안정을 도모하고, 포덕에 힘쓰고, 악을 물리치고 선을 널리 펼친다는 것인데, 이런 의미에서 양자는 일치한다고 생각된다. 필자가 생각하건대, 대순진리회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와 도교의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사이에는 공통점이 아주 많지만 동시에 차이점 또한 적지 않다. 만약 더욱 다양한 자료들을 수집하여 더욱 깊고 광범위한 연구를 진행한다면 한국 대순진리회와 중국 도교, 특히 도교의 뇌법종파(雷法宗派)와의 상관관계를 해석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대순진리회의 수도 요체와 심신 수양

  • 양옌
    •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 /
    • v.21
    • /
    • pp.323-367
    • /
    • 2013
  • 한국의 대순진리회는 증산 성사의 가르침을 숭신하는 종교단체로서, 한국 사회에 상당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1969년 창설된 대순진리회는 포덕·교화·수도를 삼대 기본사업으로, '음양합덕·신인조화·해원상생·도통진경'을 종지로, '안심·안신·경천·수도'를 사강령으로, '성·경·신'을 수도의 삼요체로 삼고 있다. 또한 인간개조와 포덕천하·구제창생·보국안민을 통하여 지상천국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순진리회는 사상적 측면에서 무(巫)와 유(儒)·불(佛)·도(道)를 포용하고 있다. 이러한 대순사상을 바탕으로 대순진리회의 도인들은 근엄하고 세밀한 실천수도를 수행하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중국 유·불·도의 양생문화와 많은 공통점이 있는 동시에, 또한 뚜렷한 한국 문화의 특색을 띠는 부분도 있다. 이런 면들은 모두 개인적 수도와 사회적 안정을 실현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안심·안신·경천·수도'의 사강령은 대순진리회의 도인들이 지켜야 할 가장 기본적인 행위규범이다. '성·경·신'의 삼요체는 사강령을 실천하기 위한 내면적 수양으로서 모든 수도활동의 근본이 되는 것이다. 삼요체 중에서 '성'을 가장 근본적인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오직 '성'을 갖춘 사람만이 '경'과 '신'을 논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마음속에 망념이 있거나 경거망동을 하는 사람들은 상제에 대한 '경'과 '신'을 잃게 된다. '성실함'이라는 내면적 도덕 품성은 인간으로 하여금 더욱 정직하고 안정되며 오래 지속되게 한다. 뿐만 아니라 '성'은 수도자들로 하여금 더욱 순수해지고, 어리석음을 버리게 한다. 크나큰 도를 성취하려면 먼저 이렇게 얼핏 보기에는 어리석지만 끈기 있는 마음이 필요하다. '성'하면 기운이 솟구쳐 내면이 더욱 안정되고 번뇌는 사라진다. 성심을 수련하면 마음이 안정되고, 마음이 안정되면 정신이 안정되는데, 정신이 안정되면 걱정이 사라지기에 몸도 건강해진다. 삼요체중 '경'과 '신'에 있는 큰 의미 가운데 하나는 상제님에 대한 경배와 믿음을 끝까지 가지라는 것이다. '해원상생·보은상생'은 대순사상의 가장 중요한 대도(大道) 윤리로서 도인들의 수도를 인도하는 기본적인 법칙이다. 대순진리회에서 말하는 해원은 단지 개인 한 사람의 해원이 아니라 우주의 질서를 바로잡는 해원이라는 점에서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대순진리회 도인들은 개개인으로 시작하여 자신의 원한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땅의 원한, 천민의 원한, 여인의 원한 등 모든 원을 해결해 주고자 한다. 즉 삼계의 모든 불평등을 해소하고 불합리한 부분을 바로잡는 것이다. 해원의 다른 측면은 보은이라 할 수 있다. 해원과 보은은 상보상조의 관계에 있는데, 이는 곧 도인들이 행하는 수도의 양 날개라 생각된다. 해원을 통하여 과거의 장애를 제거하고, 보은을 통하여 현재의 덕을 쌓는 것이다. 보은을 하려면 항상 감사의 마음을 간직해야 한다. 그 의미는 인간관계에 있어서 다른 사람이 베푼 은혜를 항상 고맙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며, 더 나아가 천지가 우리에게 베푼 은혜도 감사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모든 원한이 풀어지고, 모든 은혜를 다 갚았을 때 삼계가 조화롭고 통하게 될 것이다. 대순진리회에서는 도인들의 실천수도 면에서 두 가지 측면을 강조하는데, 즉 포덕교화와 근언신행이다. 근언신행은 자아발전을 위한 도인들의 내적 수련이며, 포덕교화는 도인들이 외부 세상에 대순사상을 알리고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양자는 동전의 양면과 같이 떨어질 수 없는 관계에 있다. 다른 사람을 포덕·교화 하려면 도인들 스스로가 먼저 말과 행동에 조심해야 한다. 왜냐하면 말과 행동을 조심하는 것 자체가 곧 포덕교화에서 다른 사람의 모범이 되기 때문이다. 인생을 살면서 추구해야 할 가장 높은 목표는 덕(德)을 세우는 것이고, 그 다음은 공(功)을 세우는 것이며, 그 다음은 언(言)을 세우는 것이다. 덕·공·언은 세월이 지나도 그 가치가 빛을 바래지 않는다. 이 세 가지 중 한 가지를 이룬 사람이면 불후하다고 할 수 있다. 성인들이 성인으로 칭송 받았던 이유는 모두 육체를 초월한 덕·공·언으로 세상을 풍요롭게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비록 그들이 세상을 떠났다 하더라도 마치 살아있는 것처럼 영원히 추앙되니, 이것을 통하여 영생을 얻는 것이다. '영생(永生)' 만큼 높은 경지에 도달하는 '양생'이 또 어디에 있겠는가? 대순진리회 실천수도의 최고목표는 바로 인간 내면의 수양을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리는 것으로서 이는 곧 음양합덕·도통진경이다. 다시 말해서 영원히 불후한 경지에 이르고 만세(萬歲)토록 영생하는 것이며 신(神) 그리고 성인이 되는 것이다.

Habitat characteristics and prediction of potential distribu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for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Odonata: Macromiidae) (노란잔산잠자리(Macromia daimojiOkumura, 1949)의 서식지 특성 및 기후변화에 따른 잠재적 분포 예측)

  • Soon Jik Kwon;Hyeok Yeong Kwon;In Chul Hwang;Chang Su Lee;Tae Geun Kim;Jae Heung Park;Yung Chul Ju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6 no.1
    • /
    • pp.21-31
    • /
    • 2024
  • Macromia daimoji Okumura, 1949 was designated as an endangered species and also categorized as Class II Endangered wildlife on the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IUCN) Red List in Korea.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is species ranged within a region delimited by northern latitude from Sacheon-si(35.1°) to Yeoncheon-gun(38.0°) and eastern longitude from Yeoncheon-gun(126.8°) to Yangsan-si(128.9°). They generally prefer microhabitats such as slowly flowing littoral zones of streams, alluvial stream islands and temporarily formed puddles in the sand-based lowland stream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similar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in M. daimoji habitats, to predict the current potential distribution patterns as well as the changes of distribution ranges under global climate change circumstances. Data was collected both from the Global Biodiversity Information Facility (GBIF) and by field surveys from April 2009 to September 2022. We adopted MaxEnt model to predict the current and future potential distribution for M. daimoji using downloaded 19 variables from the WorldClim database. The difference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 assemblages in the mainstream of Nakdonggang were smaller than those in its tributaries and the other streams, based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stream sizes. MaxEnt model presented that potential distribution displayed high inhabiting probability in Nakdonggang and its tributaries. Applying to the future scenarios by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SP1 scenario was predicted to expand in a wide area and SSP5 scenario in a narrow area, comparing with current potential distribution. M. daimoji is not only directly threatened by physical disturbances (e.g. river development activities) but also vulnerable to rapidly changing climate circumsta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the habitat environments and establish conservation strategies for preserving population of M. daimoji.

The Effect of Rubber Banding Material on Root Development after Transplanting of Landscape Trees - For Pine Trees - (고무밴드 결속재가 조경수목 이식 후 뿌리발달에 미치는 영향 - 소나무류를 대상으로 -)

  • Park, Hyun;Park, Y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3 no.3
    • /
    • pp.52-62
    • /
    • 2015
  • This study conducted an experiment to clarify the effect of rubber bands used as a root connector during the process of transplanting landscape trees on the development of the root system and the rooting process. The research period was four years, from April 2007 to April 2011, and the test conducted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at the experimental field located at 398-2 Bangdong-ri, Sacheon-myeon, Gangneung-si, Gangwon-do. Twenty 15-year-old Pinus densiflora Siebold & Zucc. with good growth conditions were harvested and transplanted from the forest in Jebi-ri, Gujeong-myeon, Gangneung-si, Gangwon-do for the field experiment.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as applied for plot design, with 10 pines without rubber bands and 10 pines with rubber bands. Pinus densiflora for. multicaulis Uyeki was selected as the official tree of the pot test and was planted in a transparent pot to observe the development of the root system.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was applied for plot design, with 3 pines without rubber bands and 3 pines with rubber band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on the effect of rubber bands used as a root connector on root system development and the rooting process are as follows. 1. The rate of height growth in the field test was 4.1% lower in the trees with rubber bands when compared to trees without rubber bands. Trees with rubber bands were 4.2% wider than those without rubber bands in root diameter. The chlorophyll content was 6.8% higher in trees without rubber bands, but the rate of height growth, root diameter, and chlorophyll content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2. In the comparison of fresh root weight in the field test, trees with rubber banding had roots weighing 1,740.0kg and those without rubber bands had roots weighing 1,433.3kg. Root dry weight was 522.3g in trees with rubber bands and 450.0g in those without rubber bands, bu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whether the rubber band was attached. 3. In a comparison of root number between surfaces touching and not touching the rubber band in trees with rubber banding, the surface touching the rubber band was observed to have more roots growing, the difference of which was deemed significant. 4. The shoot growth rate in the pot test was 1.1% higher in trees without rubber bands when compared with trees with rubber bands. The chlorophyll content was 0.02 higher in trees with rubber band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5. In the pot test, no significance was found in comparison of root number, root length, and root dry weight in trees with and without rubber bands. These test results imply that removing rubber bands as a connector does not present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ground growth or root development of transplanted pine trees. As it is shown that surface touching rubber bands grow more roots in trees with rubber bands, more active related research must be undertaken.

Determination of Total CO2 and Total Alkalinity of Seawater Based on Thermodynamic Carbonate Chemistry (해수중의 총이산화탄소와 총알칼리도 분석을 위한 탄산염 화학 이론 및 측정방법)

  • Mo, Ahra;Son, Juwon;Park, Yongch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8 no.1
    • /
    • pp.1-8
    • /
    • 2015
  • To evaluate accuracy and precision of determination of total alkalinity ($Alk_T$) and carbon dioxide ($TCO_2$) derived from present study, experiment was applied with $CO_2$ CRM (Batch 132, Scripps Institution of Oceanography; $Alk_T=2229.24{\pm}0.39{\mu}mol/kg$, $TCO_2=2032.65{\pm}0.45{\mu}mol/kg$). As the result, average concentration of $Alk_T$ and $TCO_2$ was $2354.09{\mu}mol/kg$ (~5.6% difference with $CO_2$ CRM) and $2089.60{\mu}mol/kg$ (~2.3% difference with $CO_2$ CRM), respectively. For previous method (Gran Titration) by addition $NaHCO_3$ to deionized water($Alk_T$ $2023.33{\mu}mol/kg$), average concentration was $2193.39{\mu}mol/kg$ (sd=57.15, n=7). Whereas, average concentration was $2017.02{\mu}mol/kg$ (sd=10.98, n=7) for the present study. Recovery yield experiments of total alkalinity in deionized water and seawater were implemented by addition of $NaHCO_3$. The recovery yield of deionized water in the range 0 to $4952.39{\mu}mol/kg$ was 100.8% ($R^2$=0.999), and seawater in the range 0 to $2041.32{\mu}mol/kg$ was 102.3% ($R^2$=0.999). Comparison of $pCO_2$ sensor (PSI $CO_2-Pro^{TM}$) with present method showed very meaningful correlation coefficient ($R^2$=0.977) in the range of 427 to $705{\mu}atm$ and 9.16 to $15.24{\mu}mol/kg$ throught elapsed time for two weeks. Field experiment of diurnal variation of total carbon dioxide was accomplished at Sachon harbor in the coastal waters of East Sea of Korea. Concentration of $Alk_T$ and $TCO_2$ was increased during night, and decreased during daylight hours. The results showed mirror type between $TCO_2$ and dissolved oxygen, which was attributable to photosynthesis and respiration of phytoplankton. Also, open ocean field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vertical profile of $Alk_T$ and $TCO_2$ in C-C zone (Clarion-Clipperton Fracture Zone), Northeastern Pacific. Average concentrations of $Alk_T$ in the surface mixed layer (0~60 m) and deeper layer below 200 m were $2422.38{\mu}mol/kg$ (sd=78.73, n=20) and $2465.87{\mu}mol/kg$ (sd=57.68, n=103), respectively. And average concentrations of $TCO_2$ were $2134.47{\mu}mol/kg$ (sd=65.4, n=20) and $2431.87{\mu}mol/kg$ (sd=65.02, n=103) in the same depth ranges such as $Alk_T$. Vertical distributions of $Alk_T$ and $TCO_2$ concentrations tended to increase with depth, and analyzed concentrations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previous studies in this area.

Semantic Interpretation of the Name "Cheomseongdae" (첨성대 이름의 의미 해석)

  • Chang, Hwalsi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3 no.4
    • /
    • pp.2-31
    • /
    • 2020
  • CheomSeongDae (瞻星臺) is a stone structure built in Gyeongju, the former Silla Dynasty capital,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632~647AD). There exist dozens of hypotheses regarding its original purpose. Depending on to whom you ask, the answer could be a celestial observatory, a religious altar, a Buddhist stupa, a monumental tower symbolizing scientific knowledge, and so on. The most common perception of the structure among lay people is a stargazing tower. Historians, however, have suggested that it was intended as "a gateway to the heavens", specifically the Trāyastriṃśa or the second of the six heavens of Kāmadhātu located on the top of Mountain Sumeru. The name "Cheom-seong-dae" could be interpreted in many different ways. 'Cheom (瞻)' could refer to looking up, staring, or admiring, etc.; 'Seong (星)' could mean a star, heaven, night, etc.; and 'heaven' in that context can be a physical or religious reference. 'Dae (臺)' usually refers to a high platform on which people stand or things are placed. Researchers from the science fields often read 'cheom-seong' as 'looking at stars'; while historians read it as 'admiring the Trāyastriṃśa' or 'adoring Śakra'. Śakra is said to be the ruler of Trāyastriṃśa' who governs the Four Heavenly Kings in the Cāturmahārājika heaven, the first of the six heavens of Kāmadhātu. Śakra is the highest authority of the heavenly kings in direct contact with humankind. This paper examined the usages of 'cheom-seong' in Chinese literature dated prior to the publication of 『Samguk Yusa』, a late 13th century Korean Buddhist historical book that contains the oldest record of the structure among all extant historical texts. I found the oldest usage of cheom-seong (瞻星臺) in 『Ekottara Āgama』, a Buddhist script translated into Chinese in the late 4th century, and was surprised to learn that its meaning was 'looking up at the brightness left by Śakra'. I also found that 'cheom-seong' had been incorporated in various religious contexts, such as Hinduism, Confucianism, Buddhist, Christianism, and Taoism. In Buddhism, there was good, bad, and neutral cheom-seong. Good cheom-seong meant to look up to heaven in the practice of asceticism, reading the heavenly god's intentions, and achieving the mindfulness of Buddhism. Bad cheom-seong included all astrological fortunetelling activities performed outside the boundaries of Buddhism. Neutral cheom-seong is secular. It may help people to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physical world, but was considered to have little meaning unless relating to the spiritual world of Buddhism. Cheom-seong had been performed repetitively in the processes of constructing Buddhist temples in China. According to Buddhist scripts, Queen Māyā of Sakya, the birth mother of Gautama Buddha, died seven days after the birth of Buddha, and was reborn in the Trāyastriṃśa heaven. Buddha, before reaching nirvana, ascended from Jetavana to Trāyastriṃśa and spent three months together with his mother. Gautama Buddha then returned to the human world, stepping upon the stairs built by Viśvakarman, the deity of the creative power in Trāyastriṃśa. In later years, King Asoka built a stupa at the site where Buddha descended. Since then, people have believed that the stairway to the heavens appears at a Buddhist stupa. Carefully examining the paragraphic structure of 『Samguk Yusa』's records on Cheomseongdae, plus other historical records, the fact that the alignment between the tomb of Queen Seondeok and Cheomseongdae perfectly matches the sunrise direction at the winter solstice supports this paper's position that Chemseongdae, built in the early years of Queen SeonDeok's reign (632~647AD), was a gateway to the Trāyastriṃśa heaven, just like the stupa at the Daci Temple (慈恩寺) in China built in 654. The meaning of 'Cheom-seong-dae' thus turns out to be 'adoring Trāyastriṃśa stupa', not 'stargazing platform'.

A Study of Perspective on Cheon Gwan(天觀) of Toegye (퇴계(退溪)의 천관(天觀) 연구(硏究))

  • Hwang, Sang Hee
    • (The)Study of the Eastern Classic
    • /
    • no.56
    • /
    • pp.147-170
    • /
    • 2014
  • To divide by the concept of Cheon (天) before and after the period of Song Dynasty: before Song Dynasty; according to the ancient Book of Odes (Sigyeong-詩經), "Cheon (天) gives birth to a large number of people", and, Confucius(孔子) say "Cheon(天) gave me Virtue(德)." Mencius(孟子) say "The person done with all his heart knows Seong(性, personality), so if he knows such Seong(性, personality), then he knows Cheon(天)." In Doctrine of the Mean(中庸), it says "Cheon(天) ordered it to be called - Seong(性, personality)." So, Cheon(天) had a religious meaning, such as Sangje(上帝) - Supreme Ruler. During the Song period, Cheon(天), the source of its existence, had construed as Mugeuk i Taegeuk Non(無極而太極論 - Theory of Supreme Ultimate while being Indeterminate) and Theory of li and ki (iginon-理氣論). Juja (朱子, a honorary name of Juhui, 朱熹) had said a reasonable Cheon(天), that is, Heavenly Principle (天理 - Cheolli) by interpreting Cheon(天) as Taegeuk(太極 - Supreme Polarity) and li(理) of Muwi(無爲 - uncontrived action). That's why Juja had lost the religiosity because of his reasonable fram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dentify of the quality of being religious of li(理) on the basis of attribute of Cheon(天) argued by Toegye and Juja. In the text of Seomyeong(西銘 - Western Inscription), we can see their interpretation of the content that Toegye as "西銘考證講義"(Lecture on Historical Research of Western Inscription), and Juja as "西銘解"(Commentary on the Western Inscription). Seomyeong(西銘 - Western Inscription) was expounded as a logic of 'iil bunsu' (理一分殊 - coherence is one and distinguished into many). '理一分殊' means to live in as meaningful as possible according to the human nature that has been bestowed upon thyself. Juja and Toegye both said that in the aspect of 'iil'(理一 - coherence is one), Reverence(事天) ought to be done, but to look into the aspect of 'bunsu'(分殊-distinguished into many), Juja argued that people should follow the order of Heavenly Principle(天理 - Cheolli), and Toegye argued that people should have to perform the filial piety(孝). There are differences in methods of Toegye and Juja on account of distinction between attributes of Cheon(天). Such a distinction affects the attribute of li(理). Juja said divisively that Soiyeon(所以然-why its principle is so) is li(理), and Sodangyeon(所當然-what should be so) is Sa(事-divine project). Toegye argued that Sodangyeon(所當然-what should be so) is indeed li(理). It is the position of Toegye that to know Seong(性-the personality) of Sodangyeon(所當然-what should be so) is the first, rather than to know Cheon(天) of Soiyeon(所以然-why its principle is so) that is out of reach in a faraway place. Seong(性-the personality) is li(理) that bestowed by Cheon(天). In view of discussion about the essence and existence, for Toegye, the existence is the first, rather than the essence. The issues of existence is now enabled to talk about amid the discussion of metaphysics, namely li(理). Different from Juja, a theory noticed in Toegye is the theory of 'Lijado'(理自到). 'Lijado'(理自到) denotes 'Li(理) leads on their own.' It tells that separate from thing-in-itself, there is an energy that moves and oversees the thing. This is an issue of response between "I" as the principal agent and other people. If "I" as the principal agent is sincere to others, the others will come to me insomuch as they will be revealed through me. Here, a problem between the host and guest arises. Toegye perceived this problem that do not see me and others as same, and also do not see me and others as two. This is the logic of 'ilii iiil'(一而二 二而一 - looks like one but two, looks like two but one) of '理一分殊' (coherence is one and distinguished into many). The first thing to do between these two processes is to recognize the existence of 'iil'(理一). Toegye strongly displays a religious attitude identifying Cheon(天)=Li (理)=Sangje(上帝- Supreme Ruler) in the same light.

Sasang Herb medicine, IRCT (InfraRed Computer Thermography), Yakchim (Korean herb-acupuncture) remedy (체통환자(體痛患者)의 사상의학적(四象醫學的) 사초(四焦)와 이목구비(耳目口鼻)를 중심(中心)으로 한 체열(體熱) 분석(分析))

  • Kim, Su-Beom;Song, Il-Byung
    • Journal of Sasang Constitutional Medicine
    • /
    • v.8 no.1
    • /
    • pp.377-393
    • /
    • 1996
  • Lumbago is the common disease in the human, many people have been sicked the Lumbago. As the traditional methods of Lumbago treatment, acupuncture, moxibustion, herb medicines have been applied to a patient, nowadays, new methods have been applied physical remedy, Yakchim (Korean herb acupuncture) remedy, Chuna remedy to. This report was collected 73 Lumbago patients by name, sex, age, motive, symptoms, X-ray, CT, MRI, lRCT, Sasang constitution type, Sasang herb medicine, Yakchim, Chuna, period of remedy, satisfaction of remedy, at the "WooRee Korean Medical Clinic" during 21 months from Sep. 14, 1994 to May 25, 1996. And this report was studied about the distribution of the Sasang constitution type, the Sasang herb medicine, the effect, the perio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Lumbago patients were distributed like that; Taeum-ln (太陰人) 47 (66.3 %), Soyang-In 16 (21.9 %), Soum-In (13.7 %), Taeyang-In (太陽人) 0. This was different from distribution of Donguisuseibowon (東醫壽世保元), Taeum-In (太陰人) 50%, Soyang-In (少陽人) 30 %, Soum-In (少陰人) 20 %, Taeyang-In (太陽人) little, this report shows that the number of Taeum-In (太陰人) is more than that of Donguisuseibowon and the number of Soum-In is less than that of Donguisuseibowon. 2. The average satisfaction of remedy was 60.3 %, Taeum-In's satisfaction was 66.0 %, Soum-In's satisfaction was 56.3 %, Soyang-In's satisfaction was 60.0 %. 3. The effective herb medicines were as follows, Soyang-In used the Hyong Bang Ji Hwang Tang (荊防地黃湯), Yuk Mi Ji Hwang Tang (六味地黃樓), Soum-In used the Sib Yi Mi Goan Jung Tang (十二味寬中湯), Taeum-In used the Chung Sim Yon Ja Tang (淸心蓮子陽), Chung Pae Sa Gan Tang (淸師爾肝湯), Yeol Da Han So Tang (熱多寒少湯). 4. The period of remedy was about 6 weeks. The period of remedy of each types was as follows, Taeum-In was about 5.7 weeks, Soum-In was about 6.8 weeks, Soyang-In was about 4.2 weeks. 5. The method of Lumbago remedy is divided three types, sprain Lumbago, Pyobyong (表病 : outside Syndromes) Libyong (裡病 : inside symdromes). Soum-In's methods are Pyobyong's ascending the Yang (陽), adding the Gi (氣) [升陽益氣], and Libyong's descending the inside Yim (裡陰) [裡陰降氣], Soyang-In's methods are Pyobyongs's decending the outside-Yim [表陰降氣], and Libyong's ascending the cool Yang (濟陽) [淸陽上升]. Taeum-In's methods are Pyobyong's ascending the Lung's Yang (肺陽升氣), and Libyong's colding the dried hot liver (淸肝燥熱). Taeyang's methods are strong the liver and making Yim. (補r肝生陰) 6. There are two methods for using the YakChim (Korean herb-acupuncture) by Sasang constitution medicine, one is to select the Yakchim, the other is to choice the point for appling the Yakchim. The first, to select the Yakchim, the other is follows; Soum-In can select the bee Venom, Soyang-In can select the H.O. (Hong Whoa 紅花), Taeum-In can select the I (Hodo 胡挑), V, O.K. (Ungdarn, 薦膽), Uwhang 牛黃, Sa-Hyang 麝香, etc., Palgang Yakchim (eight principles Korean herb-acupuncture (八剛藥鐵)) could made by abstracted Sasang herb medicine. The second, to choice the points for applying the Yakchim are used in the TaeGiuk Acupuncture method (太梗針法), Sacho (四焦, four warmer) by Sasang constritutional physiology and patholog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