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진측량학

검색결과 457건 처리시간 0.023초

단사진의 외부표정요소 결정을 위한 후방교회법 알고리즘의 비교 (Comparisons of Single Photo Resection Algorithms for the Determination of Exterior Orientation Parameters)

  • 김의명;서홍덕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5-315
    • /
    • 2020
  • 본 연구는 사진측량, 컴퓨터 비전, 로보틱스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하는 단사진의 후방교회법의 알고리즘을 비교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항공사진 및 근거리 사진측량에서 사용되고 있는 카메라를 기준으로 지형을 시뮬레이션하여 실험 데이터를 생성하여 알고리즘을 비교하였다. 거의 수직으로 촬영되는 항공사진측량용 카메라에 대한 실험을 통해서 3개의 지상기준점으로도 외부표정요소를 결정할 수 있었으나 프로쿠르스테스 알고리즘은 지상기준점 배치에 민감하였다. 카메라의 자세각이 크게 변하는 근거리 사진측량용 카메라를 대상으로한 실험에서도 프로쿠르스테스 알고리즘의 지상기준점 배치에 민감하였으며 모든 알고리즘이 적어도 6개의 지상기준점이 필요하였다. 두 종류의 카메라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서 코사인법칙 기반의 후방교회법은 반복회수가 짧고 명시적인 초기값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전통적인 사진측량 알고리즘과 유사한 성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드론을 활용한 3차원 DSM추출을 위한 연구 (A Study of Three Dimensional DSM Development using Self-Developed Drone)

  • 이병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6-52
    • /
    • 2018
  • 이 논문은 자체 개발된 드론을 이용하여 사진측량기술을 적용하여 3차원 수치지표면모델(DSM)개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DSM을 개발하기 위하여 제주도 지역을 선정하여 24장의 사진을 개발된 드론으로 직접 촬영을 수행하였다. 촬영된 사진의 정확한 3차원 좌표를 부여하기 위하여, 10개의 지표기준점(GCP)점을 선정하여 상대측위 지구위치시스템(DGPS)측량을 실시하였다. 사진의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GCP점을 선정하여 사진상의 좌표와 지상점의 좌표의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사진좌표계과 지상좌표계의 정확도를 평가한 결과 수평오차는 8.8-14.7 cm로 나타났으며, 연직오차는 12.4 cm로 나타났다. 이 정확도는 국토지리정보원(NGII)이 인정하는 1/1,000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가지는 측량결과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된 드론과 사진측량기법이 제주지역에서 우리가 원하는 DSM자료를 얻는데 유용한 기술임을 알 수 있었다.

무인항공사진측량 방법에 의한 수치지도 갱신 (Digital Map Updates with UAV Photogrammetric Methods)

  • 임수봉;서춘욱;윤희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97-405
    • /
    • 2015
  • 현재 우리나라의 수치지도는 전통적인 항공사진측량 방법을 통해 제작되고 있다. 항공사진측량은 넓은 지역에 대한 지도를 제작하는데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기상 등의 영향으로 적기 측량이 어렵고 측량 면적이 좁은 경우에는 경제성 측면에서 비효율적이다. 따라서 전국에 산재된 소규모의 지형변화지역을 일일이 촬영하여 지도를 갱신하기에는 시간과 비용 면에서 어려움이 크다. 이에 반해 무인항공사진측량은 구름 아래의 저고도에서 촬영하므로 흐린 날씨에서도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성이 우수하고 촬영이 신속하며 측량비가 저렴하여 여러 군데에 산재한 소규모 지도제작에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SIFT와 SfM 기법을 사용한 무인항공사진측량 방법으로 소규모 지형에 대한 정사영상과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그 정확도를 검증함으로써 향후 수치지도 갱신에의 적용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제작한 수치지도의 정확도는 검사점에 대한 지상측량 성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수치지도의 좌표는 실측좌표와 비교하여 평균제곱근 오차가 X방향으로 ±2.6cm, Y방향으로 ±2.8cm, 수직방향으로 ±5.8cm의 범위에 들어 무인항공사진측량이 수치지도 갱신에 충분히 적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다중근접사진측량에 의한 구조물 내부전면의 3차원 해석 (Three Dimensional Analysis of the Whole Interior-Surface of Structures by Multiple Close-Range Photogrammetry)

  • 이진덕;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7-18
    • /
    • 1993
  • 비지형대상물의 전면해석을 위한 다중지점 사진측량강의 설계에는 촬영점의 기하학적 배치, 영상의 기하학적 조건, 기준점 배치 및 조정의 경중률 등 많은 문제들이 복합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며, 특히 좁고 긴 구조물의 내부를 측량할 경우에는 특수한 사진측량망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 내부의 전면해석에 수반되는 주요 난점들의 해결안을 제시하고 결과의 정확도 및 신뢰도의 향상을 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내부의 형상과 크기에 적합한 다중사진측량망을 구성하고 광속조정법에 의하여 3차원 자료를 취득, 강의 구성요소에 따른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개발된 과대오차의 검출연산법은 사진측량 해의 신뢰도 향상에 그 활용이 기대된다.

  • PDF

무인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농경지 필지 경계설정 정확도 (Accuracy of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UAV-Photogrammetry)

  • 성상민;이재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62
    • /
    • 2016
  • 최근 초경량 무인비행장치(UAS: Unmanned Aerial System)에 저가의 소형 항법장치와 카메라 등의 센서를 탑재하여 지상의 공간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는 무인항공사진측량(UAV Photogrammetry)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무인 항공사진측량은 저가의 일반 카메라로 취득된 다량의 고해상 영상을 컴퓨터 비전기술을 접목한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로 정사영상과 DEM 등을 신속히 생성할 수 있어 기존의 항공사진측량을 서서히 대체하고 있다. 따라서 무인항공사진측량의 활용분야는 정밀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대축척 지형도제작과 지적측량 등에까지 확장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로 지상표본거리(GSD: Ground Sample Distance) 4cm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농경지 필지의 경계설정 정확도 실험 결과를 소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비교하여 무인항공 정사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필지경계점의 정확도는 8cm미만으로 축척 1:500 지적측량을 위한 연결교차의 허용범위를 만족하였다. 그리고 면적오차는 비교 기준면적인 1,969m2에 비하여 약 0.2%(3.3m2) 미만의 무시가능한 미소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무인항공사진측량은 농경지의 필지경계 설정을 위하여 충분히 적용 가능한 전도유망한 기술임을 입증하였다.

단위 모델을 이용한 항공 사진의 3차원 위치 해석 (Analysis of Three Dimensional Position Using Unit Models in Aerial Photogrammetry)

  • 강인준;유복모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49-57
    • /
    • 1986
  • 블록 조정은 조정의 최소 단위가 무엇인가에 따라 번들, 모델, 스트립 법으로 나눌 수 있다. 본 연구는 항공 사진 측량의 단위 모델을 이용한 3차원 위치 해석에 관한 것으로. 기준정 배치에 따른 오차 분포를 비교 고찰하였다.

  • PDF

비측량용 카메라를 이용한 3차원 형상 해석 (The Analysis of 3-Dimensional Shape Using Non-Metric Cameras)

  • 정수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1-99
    • /
    • 2009
  • 지형공간정보 분야에서 대상물의 3차원 형상에 대한 자료는 기본 자료로 취급되고 있다. 특히, 공간에 관련하여 계획, 유지, 관리 등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물리적 형상 정보가 필요하다. 종래의 사진측량은 고가의 측량용 카메라와 숙달된 전문가가 운용하는 해석도화기를 이용하여 수행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수치사진측량의 발달로 인하여 저가의 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해 컴퓨터 환경에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비측량용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근거리 사진측량에 의해 신속하게 3차원 형상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기술을 연구하고, 이를 지형공간정보 분야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형공간정보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3차원 형상에 대한 정보의 취득을 원활하게 하는 것을 목적하였다. 비측량용 카메라 중에서 보급형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고 대상물 내의 단 하나의 길이 성분만을 관측하여 대상물의 3차원 형상을 해석한 결과 1화소 이하의 정확도로 대상물의 크기를 해석할 수 있었다.

  • PDF

근거리 수치사진측랑을 이용한 국부지형모형의 생성 (The Generation of Local Terrain Model Using Digital Close-Range Photogrammety)

  • 이재원;홍순헌;김정희;정공운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7-154
    • /
    • 2003
  • 근거리 수치사진측량은 카메라의 취급이 비교적 간단하고 카메라의 노출점을 임의로 결정하여 카메라와 대상물의 관계를 자유로이 조정할 수 있으므로 소규모지역 또는 지상의 대상물을 측정하는데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휴대가 간편하고 수치영상의 자체 저장능력을 가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조건의 다양한 변화에 따른 위치오차를 분석하며, 광속 조정을 통하여 높은 정확도의 부화소 좌표를 획득하여 3차원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 자료와 근거리 수치 사진측량기법의 국부지역모형생성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

GPS/INS 항측에 의한 대축척 수치지형도 제작의 효율성 평가 (Evaluation of Large Scale Digital Mapping by Photogrammetry with GPS/INS)

  • 위광재;서용운;양인태;최윤수;이자영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48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GPS/INS 항공사진측량 기술을 이용하여 1/1,000 수준의 대축척 수치지형도를 제작하고 전통적인 항공사진측량과의 차이점, 즉 정확도, 경제성 등을 평가하여 GPS/INS 항측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지상 기준점측량 공정에서 약 40%의 작업량 절감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업지역의 크기에 따른 작업효율성은 1/5,000 항측의 경우 전통적인 방법과 동일한 정확도를 유지하는 것을 기준으로 할 때 대략 10모델과 20모델 블록에서는 55%, 30모델 블록의 경우 60%의 지상기준점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PDF

고지도와 사진에 의한 월미도의 3차원 영상 복원 (3D Image Restitution of Weolmido by using Old Maps and Photos)

  • 박경식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7-124
    • /
    • 2010
  • 월미도는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많은 변화를 겪은 지역이다. 본 연구에서는 월미도의 옛모습을 3차원으로 영상복원하고 그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18년, 1928년, 1969년도 종이지도와 2008년도 수치지도 그리고 1954년도 항공사진을 활용하였다. 또한 당시의 사진을 통해 건축물의 모습과 지형지물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를 복원에 활용하였다. 영상복원은 지도제작과 사진측량학적 방법에 의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 각 시대의 모습을 3차원으로 복원하고 그 변화를 비교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