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서직무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19초

부산지역 공공도서관 사서들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Job Stress among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in Pusan)

  • 한계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63-181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at the stress factors are in performing their jobs among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The study further investigates to figure out the difference of the degree in cognition of job stres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e impacts of the stress factors on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study sending questionaires to 113 librarians working in 14 Public libraries in Pusa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ings: 1) Females experience higher job stress than males. 2) The younger the age, the higher the job stress. Also, the shorter the year at work, the higher the job stress. 3) The lower the license class, the higher the job stress. Also, singles than married have higher job stress. 4) In the impacts of stress factors on job satisfaction, role conflict is the most powerful factor, and then role overload, career development, role underload, role ambiguity and interpersonal relation, each in order.

  • PDF

대학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수준 측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Level of Service on Academic Library Users with Disabilities)

  • 박종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71-92
    • /
    • 2013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도서관에서 장애 학생의 교육복지 향상을 위하여 필요한 핵심적인 서비스 요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장애인 서비스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공도서관의 장애인 서비스 기준과 대학도서관의 직무단위, 그리고 선행 연구문헌을 분석하여 대학도서관에 적합한 장애인 서비스 평가요인과 하위지표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평가요인과 하위지표는 대학도서관 현장에 근무하고 있는 사서를 대상으로 사전조사와 본 조사를 실시하여 평가지표로서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평가지표 검증 결과, 대학도서관 사서 집단이 인식하는 대학도서관 장애인 서비스 평가요인은 8개 요인 33개 하위지표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사서(司書)의 직무태도(職務態度)에 대한 분석적(分析的) 연구(硏究) (A Analytic Study of the Librarians' Job Attitude)

  • 전재봉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3-38
    • /
    • 1978
  • When the Professional Librarians can be satisfied with the needs in perfoming their jobs, they feel the job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job desire consists of the directly related factors such as fitness, dexterity and the value of the work and those opinions regarding the environments, pays, problems of the promotion, promise of the job.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se factors that affect the Professional Librarans' job desire of the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perceived degree of Professional Librarians' job desire. To meet this purpose, this study is based upon A.H. Maslow's motivation theory "Hierarchy of Needs" and analyzed by the method of "Cafeteria Question" the answers gathered from 226 Professional Librarians who are work ing in University Libraries. The analyzed results show that generally the job desires of Professional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ies are low and stands in a situation that doesn't meet even the low dimensional needs of Maslow's theory. So the top library managers should establish the long-term plan to promote the job desire and the factors which cause the frustration of the Professional Librarians should be removed as soon as possible.

  • PDF

학교도서관 직원의 자질과 그 직무에 관한 연구 -사서교사를 중심으로-

  • 손문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7권
    • /
    • pp.85-114
    • /
    • 1980
  • The school library in Korea, with its short history, has not been fully awared of its importance yet. As a result, most of school libraries in Korea have not been fundtioning as the center of educational activity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 learning process and as the place of the extension of classroom, but as the place of storing books. Besides the importance of materials and facilities,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chool libraries can be fully achieved only when each school librarian clearly understands his work and duties, and accomplishes them successfully. This study, which are based on analysis of literature investigations and precedent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 1. There is an absolute lack of the number of school librarians (or alternative teachers) in comparison to the number which is specified in the regulations of Library Law. 2. There is no a n.0, ppropriate legal foundation for employment of school librarians and library assistants, and of their o n.0, pportunities for promotion. 3. The school library in korea has been stayed so far on its infantile, namely 'the period of material arrangement', in the aspect of the function. 4.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school library has not gained much recognition of its professional character. And even more the position of the school library today is not enough clear to be stable in the total school system. By solving these factors step, the newly reformed school library in Korea will play a great role in improving her education by the hand of school librarians whose spirits are re-filled with willingness and creativity.

  • PDF

한국 공공도서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Problems and Solutions for Public Libraries in Korea)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399-421
    • /
    • 2003
  • 정보화 시대에 공공도서관이 필수불가결한 기관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보의 생산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경쟁력 회복과 정보격차의 해소를 지원하기 위해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복지의 핵심기관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현재 한국의 공공도서관은 그 수가 절대 부족하고, 장서도 부족하며, 인력활용이 비효율적이고, 제공하는 서비스도 영세하며, 도서관의 건축구조도 적합하지 않으므로 이러한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이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기업, 시민이 협력하여 공공도서관의 건립운동을 전개하여 절대수를 늘리며, 장서구입비도 대폭 확충하고, 다양한 서비스 프로그램도 개발하며, 사서는 이용자와 자료의 중개자로서의 전문적인 직무를 수행하도록 하여야 하며, 도서관은 도서관의 이념을 구현할 수 있도록 건축되어야 한다.

  • PDF

국내 공공도서관의 정책적 현안과 과제 (Policy Issues and Task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윤희윤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1-54
    • /
    • 2007
  • 이 연구는 $\ulcorner$도서관법$\lrcorner$ 개정에 따른 정책 환경의 변화를 공공도서관의 현주소와 연계 분석한 다음에 공통의 현안과 과제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도서관발전종합계획의 수정 보완, 도서관 행정체계의 정비, 지방 도서관 정보정책시스템의 제도화, 직무분석과 사서직제의 개선, 인프라 확충과 각종 기준의 개정, 경영평가 및 통계시스템의 표준화, 도서관 유관기관과의 연계성 강화를 정책적 과제로 설정하고 추진방향과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질적 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업무의 시대별 수행 형태 및 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A Qualitative Study on the Period-Specific Changes of Job Factors and Performance Features in Academic Libraries)

  • 조철현;노동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37-165
    • /
    • 2015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업무의 수행 형태와 요소의 변화를 시대별(도서관1.0, 도서관2.0, 도서관3.0)로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업무를 경영관리, 장서개발 및 관리, 자료조직, 이용서비스, 정보시스템 구축 및 관리의 5개 직무로 구분한 다음 각 직무별 세부 업무에 대하여 도서관 현장의 중견 사서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교수들을 대상으로 2차례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대학도서관의 업무가 참여, 공유, 개방(도서관2.0 시대)을 넘어서 소셜 네트워크, 시맨틱(도서관3.0 시대)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업무의 수행 형태 및 요소에도 많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2.0 시대에서 시작한 모바일, RFID, SNS, NFC 등 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서관3.0 시대에는 이용서비스에 대한 변화가 급격하게 이루어져서 이를 지원하는 도서관 시스템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북미 지역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 특성 연구 - 서비스 간 계층 구조와 직책 및 직책별 직무내용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Data-related Service in North American University Libraries: Focusing o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Services, Job Titles, and Job Descriptions)

  • 김규환;박종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453-475
    • /
    • 2023
  • 본 연구는 북미 지역 50개 대학도서관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과 서비스명 간의 계층 관계, 연구데이터 서비스 담당자의 직책명과 직무내용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북미 지역 대학도서관의 경우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 간에는 분명한 계층 관계가 존재하였고 이를 통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명들의 계층 구조를 파악할 수 있었다.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 담당자의 직책명으로는 'Librarian'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었고 'Librarian'이 담당하는 직무내용이 가장 폭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Librarian' 외에 'Specialist', 'Analyst' 등의 다양한 연구데이터 관련 전문인력의 직책명이 사용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다양한 직책명의 존재는 대학도서관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의 전문성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파악되었다. 국내 대학도서관의 연구데이터 서비스 구성체계는 '연구데이터 서비스'를 최상위 서비스명으로 하고 '연구데이터 관리 서비스', 'GIS 서비스', '데이터 시각화 서비스'를 하위 서비스명으로 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초기에는 기존 대학도서관 사서 간에 업무조정을 통해 연구데이터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점진적으로 연구데이터 관련 전문 인력의 신규 채용을 고려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전문도서관의 이슈와 정책제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ssues and Policy Proposals of Specialized Libraries)

  • 노영희;박양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129-15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전문도서관에 대한 이슈화가 곧 전문도서관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전문도서관에 대한 여러 가지 이슈에 대해서 언급하면서, 전문도서관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을 통해서 전문도서관과 관련된 문제점과 이슈를 도출하고, 이에 대해 사서들의 인식을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기반으로 제시된 정책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서관종합발전계획에 전문도서관 발전계획과 관련된 부분이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전문도서관 주제지도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도서관에 대한 구분을 기준으로 여러 개의 협의체를 구성해서 운영하는 것도 필요하다. 넷째, 전문도서관 사서의 직무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전문도서관이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정보서비스가 개발될 필요도 있다. 여섯째, 전문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정보자원 중 국가자원으로서 보존가치가 있고 공유가능한 정보원을 통합적으로 구축하고 공동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전문도서관은 도서관 평가에 한 도서관도 빠짐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문도서관 개선방안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여덟째, 전문도서관 우수사례집의 발간도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