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생활 보호

검색결과 183건 처리시간 0.028초

KCDSA를 이용한 분할가능 및 익명성 제어를 갖는 전자화폐 시스템 (An Electronic Cash System with Divisible and Anonymity Control using the KCDSA)

  • 장석철;이임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1 (A)
    • /
    • pp.820-822
    • /
    • 2001
  • 전자상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으로서 지불사단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지불 시스템에 대한 수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익명성을 제공하는 시스템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익명성 제어에 관련된 전자화폐 시스템이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전자서명 표준은 KCDSA를 기반을 하여 익명성을 유지하며 실물화폐에서 갖지 못한 효율적이고 편리한 분할성 기능과 필요시 신뢰기관의 도움으로 익명성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전자화폐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드론의 보안 취약점 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Security Vulnerabilities in Drone)

  • 손충호;심재범;정일안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5-358
    • /
    • 2016
  • 최근 드론(초경량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짐에 따라 방송촬영, 재난현장, 레저 등 이를 활용하는 분야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드론의 활용이 높아지는 만큼 사생활 침해, 해킹 위협 또한 높아지고 있다. 드론에 탑재되는 고해상도 카메라는 실시간 동영상 및 사진 촬영이 가능하고, 언제 어디서든 촬영할 수 있어서 일반 주택, 빌딩, 호텔 등에서 사생활 및 소유권 침해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드론 상용 제품의 카메라에 대한 보안 취약점 분석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해 외부의 비인가 공격자의 카메라에 대한 접근 및 침입 시도로부터 드론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이를 통해 제작 단계에서부터 기술적 보완장치 장착, 관련 항공법 및 법제도 정비 등 드론 산업 활성화 정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PDF

화상 통신에서의 사생활 보호를 위한 실시간 전경 분리 및 배경 대체 (Real-Time Foreground Segmentation and Background Substitution for Protecting Privacy on Visual Communication)

  • 배건태;곽수영;변혜란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5C호
    • /
    • pp.505-513
    • /
    • 2009
  • 본 논문은 모노 카메라로 입력받은 영상에서 실시간으로 전경과 배경을 분리하여 배경을 자연스럽게 대체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연구는 대부분 단일 색상의 배경을 이용하여 전경 색에 대한 제약이 있거나, 깊이 정보를 추출을 위한 스테레오 카메라와 같은 장치에 대한 제약이 있거나, 제한적인 전경의 모양 모델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는 전경의 모양에 대한 제약이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웹캠과 같은 고정된 모노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전경 분리가 가능한 전경 분리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전경 분리의 성능 향상을 위하여 통영상의 시간적인 특징 정보를 이용한 시간적 전경 확률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분리된 전경과 새로운 배경의 자연스러운 합성을 위한 알파 매트를 이용한 경계선 영역 처리방법과 간단한 후 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실제의 화상통신에서 개인의 사적인 정보가 포함된 배경을 자연스럽게 대체시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RFID 시스템에서 OTP를 활용한 개인프라이버시 보호 (Personal privacy protection using OTP in RFID System)

  • 이주형;장태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865-868
    • /
    • 2006
  • 최근 물류, 교통, 환경 등 우리가 살아가는 생활 중 다양하게 많이 사용되어지는 RFID 시스템은 우리에게 많은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무선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것이 가지고 있는 보안적 취약점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개인정보를 도용하여 악의적인 목적으로 사용하고 사생활까지 침해하여 사회에서 큰 불신을 갖게 되는 이러한 취약점을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보안방식들을 사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안방식 중 OTP(One Time Password)라는 보안방식을 RFID 시스템에 응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에서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여러 보안방식들 보다도 더욱 안전하게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호하고자 한다.

  • PDF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접근제어 모델을 위한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s Analysis for Access Control Model on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오세종;박제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1A권7호
    • /
    • pp.563-570
    • /
    • 2004
  •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보안의 강화와 사생활 보호라는 과제를 안고 있다. 접근 제어는 보안 분야의 하나인데,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전통적인 정보시스템과는 여러 면에서 특성을 달리하기 때문에 기존의 접근제어 모델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접근제어 측면에서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정의하고 그 환경에서 접근제어의 특성을 분석한 뒤, 그 환경을 위한 접근제어 모델을 개발할 때 필수적으로 고려해야할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접근제어 모델의 구현시 가능한 세가지 유형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자동차용 블랙박스(사고영상기록장치) 데이터에 대한 보안기술 적용방안 연구

  • 김원주;김홍희
    • 정보보호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41
    • /
    • 2014
  • 자동차 산업 인프라의 발달로 자동차 사용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자동차 사고도 매년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 사고는 개인 및 사회의 비용손실과 즉결되므로 많은 운전자들이 자동차용 블랙박스(사고영상기록장치)를 구입하여 장착하고 있다. 이런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교통사고 시점의 영상을 저장 재생 하므로 정확한 사고원인을 규명하는데 활용되고 교통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그 이면에 자동차용 블랙박스는 자동차가 운행될 때 마다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되기 때문에 의도되지 않은 개인의 사생활이 노출 될 수 있으며 또한 저장된 사고영상 데이터를 의도적으로 조작하여 교통사고의 원인규명을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내 관련 동향을 알아보고 보안기술을 적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환경에서의 DLP 방식 개인정보 보호의 문제점 (Privacy Protection using DLP in the Smart Environment)

  • 최종욱;박주미;이용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68-769
    • /
    • 2012
  • DLP 방식의 개인정보 보호 시스템에서는 문서나 메일의 내용을 검색하여 개인정보 관련한 데이터를 검색으로 찾아내는 내용검색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내용 검색을 위해서는 네트워크 송수신 기기에서, 혹은 사용자의 컴퓨터에서 모든 문서를 평문으로 유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평문 유지 방식은 현재 빠르게 보편화되고 있는 스마트폰 환경에서는 카메라에 의한 촬영을 막기 어렵다는 점에서, 최근 활발해지고 있는 APT 공격에 대용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더구나 고객 정보를 수집 보관하고 있는 기관의 '직원' 사생활 데이터를 검색힐 수 있다는 점에서 문쩨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개인정보 보호법'의 실시로 설치되고 있는 OLP 시스템의 문제점을 짚어보고, 가능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디지틀 서명방식 표준 ( 안 ) 에 기반을 둔 통합서명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grated Digital Signature System based on Digital Signature Standards)

  • 김승주;김경신;원동호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984-994
    • /
    • 1998
  • 정보화 사회의 거의 모든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통신망 상에서의 정보보호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망 상의 정보보호를 위해 필수적인 암호학적 도구가 디지틀 서명이며, 세계 여러 나라에서 고유의 디지틀 서명 알고리즘을 표준화하려는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또한, 1989년 Crypto'89 국제 학술회의에서 D.Chaum은 단순한 서명의 사본만으로는 서명의 정당성을 확인할 수 없고 서명의 확인을 위해서는 반드시 서명자의 도움을 받게 함으로써, 서명자에 대한 부당 위협 가능성을 줄여 주고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는 undeniable signatures를 제안하였으며, 지금까지 많은 undeniable형 디지틀 서명방식들이 서명의 남용으로부터 서명자나 수신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 PDF

SNS에서 접근제어 및 해시체인을 이용한 메시지 보호 기법 (A method for the protection of the message in social network service(SNS) using access control and hash-chain)

  • 정한재;원동호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81-88
    • /
    • 2013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가 급격히 성장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들이 SNS를 통해 공유되고 있다. 그러나 SNS에서 공유되는 정보로 인하여 개인의 사생활이 침해되거나 과거에 작성된 글로 인하여 피해를 보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들이 수행되었으나, 키를 관리하는 명확한 방법이나 접근제어에 대해 다룬 연구가 미흡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접근제어 및 해시체인을 이용하여 SNS에서 작성한 글을 보호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정보보호법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Privacy Act)

  • 방윤희;이현실;이일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164-174
    • /
    • 2014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의료기관에서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보호에 적용되고 있는 적용법 간의 서로 상충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외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의료정보보호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인정보의 국제 표준 지침인 OECD와 EU의 가이드라인 분석과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정보보호법이 잘 정비되어 있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를 선정하여 개인정보보호법제 및 의료정보보호법의 특징과 내용을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현재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 가이드라인과 의료정보보호 관련 법률 및 주요 내용을 항목별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유럽의 여러 나라 중 특징적으로 프랑스가 의료정보보호를 위한 공공보건법을 제정하여 실행해오고 있었고, 미국과 캐나다가 독립된 의료정보보호법이 제정 실행되고 있었으며, 환자의 기록의 발생부터 관리 및 법을 이행하지 못했을 경우의 처벌조항까지 상당히 체계적인 법으로 규정하고 있고 기록의 작성자인 의사와 의료기록의 주체인 환자 간의 기밀 유지와 사생활 보호에 대해 중점적으로 보호책을 법에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도 환자에 관련된 모든 기록을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독립된 의료정보보호법의 제정이 필요함을 알려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