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omparative Study of Regional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Privacy Act

국가별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정보보호법의 비교연구

  • 방윤희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과학과) ;
  • 이현실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 이일현 (고려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14.08.11
  • Accepted : 2014.09.01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resolve the conflicting issues that are currently applied in medical Act and medical privacy Act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Privacy Act and the Medic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foreign. the results run to establish the Public Health Act coming for the protection of health information is a characteristic of many countries, France in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had been running an independent medical information laws are enacted. Prescribes penalties of up to a fairly systematic method from the case records of patients would not have occurred in the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law and the protection of the author of the book focuses on the subject of medical records and physician records between patient confidentiality and privacy it can be seen that the method defined in. This indicates the need for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medical information laws to protect all records relating to the patient systematically Korea also.

본 연구는 현재 국내의 의료기관에서 개인정보 및 의료정보보호에 적용되고 있는 적용법 간의 서로 상충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고자 외국의 개인정보보호법과 의료정보보호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개인정보의 국제 표준 지침인 OECD와 EU의 가이드라인 분석과 개인정보보호법 및 의료정보보호법이 잘 정비되어 있는 미국, 캐나다, 프랑스를 선정하여 개인정보보호법제 및 의료정보보호법의 특징과 내용을 조사하여 비교하였으며, 현재 국내의 개인정보보호법 가이드라인과 의료정보보호 관련 법률 및 주요 내용을 항목별로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유럽의 여러 나라 중 특징적으로 프랑스가 의료정보보호를 위한 공공보건법을 제정하여 실행해오고 있었고, 미국과 캐나다가 독립된 의료정보보호법이 제정 실행되고 있었으며, 환자의 기록의 발생부터 관리 및 법을 이행하지 못했을 경우의 처벌조항까지 상당히 체계적인 법으로 규정하고 있고 기록의 작성자인 의사와 의료기록의 주체인 환자 간의 기밀 유지와 사생활 보호에 대해 중점적으로 보호책을 법에 규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한국도 환자에 관련된 모든 기록을 체계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독립된 의료정보보호법의 제정이 필요함을 알려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겸, "독일의 의료정보와 개인정보보호에 관한 연구", 한독사회과학논총, 제15권, 제2호, pp.1-16, 2005.
  2. 백윤철, "헌법상환자의의료정보에대한권리에관한연구 - 미국의 HIPAA프라이버시규칙을 중심으로", 헌법학연구, 제11권, 제3호, pp.337-373, 2005.
  3. 박인경, 개인의료정보보호에 관한 법적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4. 정부균, "환자의료정보보호의문제", 의료법학, 제9권, 제2호, pp.339-382, 2008.
  5. 이창범, "유럽 연합의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보호 법제현황", 선진상사법률연구, 제38권, pp.75-108, 2007.
  6. 전은정, 김학범, 염흥열, "유럽의개인정보보호법.제도동향", 情報保護學會誌, 제22권, 제2호, pp.58-72, 2012.
  7. 김창곤, 개인정보보호백서, 한국정보보호진흥원, 2004. 2003.
  8. 이상명, "공법 : 의료정보화와 의료정보보호", 법학논총, 제25권, 제1호, pp.39-56, 2008.
  9. K, Yeo, 의료정보보호 관련 법률에 관한고찰 및 제언, 2010.
  10. 홍정민, 신원, "개인정보보호법 준수를 위한병원내 처방전달시스템의 보안요구사항", 보안공학연구논문지, 제10권, 제5호, pp.513-526, 2013.
  11. "OECD, 2013년 개정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등", 개인정보보호 주간동향 제30호, 한국정보화진흥원, 2013.
  12. 김기열, "공공부문에 관한 외국의개인정보보호 법제와 국내 입법의 검토방향", 월간법제, 2010(9).
  13. 외국건강정보보호제도 현황분석 및 관련 법률 번역, 행정안전부, 2007.
  14.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September, 2011.
  1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edical Service Act, August.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