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Fatigue Scale of Private Security Guards

민간경비원의 피로도 척도개발

  • Received : 2014.09.25
  • Accepted : 2014.11.10
  • Published : 2014.11.28

Abstract

This study is to develop a fatigue scale for the private security guard for a private security guard to effectively manage fatigue were tested for validity and reliability. To achieve that, this study employed purposive sampling to draw 300 samples among private security guards working for the security firms registered in Seoul District Police Office as of 2014, and used 259 samples for final analysis. Fatigue scale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cale development methods and procedures in previous studies. For data processing, SPSSWIN 18.0 program was appli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18.0 program was employed to conduct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validity of the fatigue measurement tool was high. In other words, content validity was high, and construct validity was also high. The factor loading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452, and the standard value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403. Therefore, the tool satisfied the basis value of fit index. The sub categories of fatigue, finally drawn from validity test, were mental fatigue, nervous system dysfunction, physical deformity, and exhaustion. Secondly, the reliability of the fatigue measurement tool was high. In other words, according to item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items and their sub categories, and between items and total score was more than .602, relatively high. And the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alpha}$) was high, or more than .658. Fatigue Scale tool will be developed by private security guards in the present study is to measur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is clearly tired of the private security guards than the tools that are used in other studies in the existing area.

이 연구는 민간경비원의 피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민간경비원에 맞는 피로도 척도를 개발하여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2014년 서울지방경찰청에 등록된 경비회사에 재직하고 있는 시설경비종사자를 연구대상으로 설정하고, 유의표집법을 활용하여 300명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나, 최종분석에 사용한 사례수는 259명 이다. 피로도 척도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척도개발 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개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18.0을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18.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피로도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높다. 즉, 내용타당도는 높았으며 구성타당도 또한 높다. 탐색적 요인분석의 경우 .452의 요인적재치를 보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의 경우 .403의 표준치를 나타내고 있어 적합지수도 기준치를 충족시켜주고 있다. 타당도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도출한 피로도의 하위개념은 정신적 피로, 신경계 기능장애, 신체적 부조화, 소진이다. 둘째, 피로도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높다. 즉, 문항분석을 통해 문항과 하위영역간, 문항과 총점간의 상관관계가 .602이상으로 비교적 높다. 그리고 신뢰도 계수는 Cronbach's ${\alpha}=.658$이상으로 높다. 본 연구에 의해서 개발된 민간경비원의 피로도 척도 도구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되어 기존의 타 영역에서 연구되어 사용하고 있는 도구보다 민간경비원의 피로를 확실하게 측정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국, 산업안전공학, 서울: 형설출판사, 2000.
  2. 김경식, 스포츠과학 연구방법론, 서울: 무지개출판사, 2010.
  3. 김경식, 권민혁, "정책투갖우선순위 도출을 위한 사회체육활동 참가제약 척도 개발과 적용",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59-173, 2007.
  4. 김경식, 이경선 "중요타자의 여가지지 척도 개발",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제37권, 제3호, pp.101-115, 2013.
  5. 김경희, 암 환자 피로 측정도구 개발, 고신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5.
  6. 김순진, 직무분야별 산업피로도 분석을 통한 효율적 피로 회복 모형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7.
  7. 박영만, 김은정, 정주섭, 강호정. "민간경호경호조직의 갈등관리방식과 조직성과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지, 제10권, 제29호, pp.375-386, 2010.
  8. 박병두, 경찰공무원의 피로도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미간행박사학위논문, 2009.
  9. 이희선, "사경찰의 피로도가 이직의도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호경비학회지, 제29호, pp.53-74, 2009.
  10. 장세진, 고상백, 강명근, "우리나라 직장인 피로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1호, 2010.
  11. 장원진, 민간경비조직의 발전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9.
  12. 장은희, 간호사의 피로 측정도구 개발, 중앙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13.
  13. 정우일, 경찰공무원의 피로 수준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박사학위논문, 2007.
  14. 전희철, 민간경비원들의 근무시간이 피로도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2009.
  15. 조규상, 산업안보건학, 서울: 수문사, 2000.
  16. J. C. Anderson and D. W. Gerbing, "The effect of sampling error on convergence, improper solutions, and goodness-of-fit indices for maximum likelihoo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metrika, Vol.49, pp.155-173, 1988.
  17. R. G. Pearson, "Scale analysis of fatigue checkli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41, No.3, pp.186-191, 1957. https://doi.org/10.1037/h0045095
  18. E. Ream and A. Richardson, "A concept analysi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y," Vol.33, No.5 pp.519-529, 1996. https://doi.org/10.1016/0020-7489(96)00004-1
  19. K. Saito, "Measurement of fatigue in industries," Industrial Health, Vol.37, 1999.
  20. J. E. Schwartz, L. Jandorf, and L. B. Krupp, "The measurement of fatigue: a new instrument,"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Vol.37, No.7, pp.753-762, 1993. https://doi.org/10.1016/0022-3999(93)90104-N
  21. P. C. Winwood, A, H, Winefield, and K. Lushington, "Workrelated faitgue and recovery: The contribution of age, domestic responsibilities and work," Journal of Advenced Nursing, Vol.56, pp.448-449, 2006.
  22. H. Yoshitake, "Relations between the symptoms and the feeling of fatigue," Ergonomics, Vol.14, No.1, pp.175-186, doi: 10.1080/00140137108931236, 1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