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묘(私廟)

Search Result 1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Study on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景祐宮圖) (국립문화재연구소 소장 '경우궁도(景祐宮圖)'에 관한 연구)

  • Kim, Kyung Mee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4 no.1
    • /
    • pp.196-221
    • /
    • 2011
  • The Royal Private Shrines or the Samyo(私廟), were dedicated to members of Choseon's royal family who could not be enshrined at the (official) Royal Ancestral Shrine, the Jongmyo(宗廟). The Samyo were constructed at the national level and were systematically managed as such. Because these private Shrines were dedicated to those who couldn't belong to the Jongmyo but were still very important, such as the ruling king's biological father or mother. The details of all royal constructions were included in the State Event Manuals, and with them, the two-dimensional layouts of the Samyo also. From the remaining "Hyunsa-gung Private Tomb Construction Layout Record(顯思宮別廟營建都監儀軌)" of 1824, which is the construction record of Gyeongwoo-gung Shrine(景祐宮) dedicated to Subin, the mother of King Sunjo(純祖), it became possible to investigate the so far unknown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n terms of the year produced, materials used and other situational contexts. The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actually the "Hyunsa-gung Private Tomb Layout" produced by the Royal Construction Bureau. The bureau painted this to build Hyunsa-gung Private Shrine in a separately prepared site outside the court in 1824, according to the royal verdict to close down and move the temporary shrine inside the courtyard dedicated to Subin who had passed away in 1822. As the Construction Bureau must have also produced the Gyeongwoo-gung Shrine Layout, the painter(s) of this layout should exist among the official artists listed in the State Event Manual, but sadly, as their paintings have not survived to this day, we cannot compare their painting styles. The biggest stylistic character of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its perfect diagonal composition method and detailed and neat portrayalof the many palace buildings, just as seen in Donggwoldo(東闕圖, Painting of a panoramic view for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A well-perceiving architectural painting employs a specific point of view chosen to fit the purpose of the painting, or it can opt to the multi-viewpoint.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al paintings in early ages utilized the diagonal composition method, the bird-eye viewpoint, or the multi-viewpoint. By the 18th century, detailed but also artistic architectural paintings utilizing the diagonal method are observed. In the early 19th century, the peak of such techniques is exhibited in Donggwoldo(Painting of a panoramic view for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From the perfect diagonal composition method employed and the details of the palace buildings numbering almost two hundreds, we can determine that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also belongs to the same category of the highly technical architectural paintings as Donggwoldo(Painting of a panoramic view for Changdeokgung and Changgyeonggung Palaces). We can also confirm this hypothesis by comparing the painting techniques employed in these two paintings in detailthe way trees and houses are depicted, and the way ground texture is expressed, etc.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however, that the area surrounding the central shrine building(正堂), the most important area of the shrine, is drawn using not the diagonal method but the bird-eye viewpoint with the buildings lying flat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just as seen in the "Buildings Below the Central Shrine(正堂以下諸處)" in the State Event Manual's Painting Method section. The same viewpoint method is discovered in some other concurrent paintings of common residential buildings, so it is not certain that this particular viewpoint had been a distinctive feature for shrine paintings in general. On the other hand, when the diagonalmethod pointing to the left direction is chosen, the top-left and bottom-right sections of the painting become inevitably empty. This has been the case for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but in contrast, Donggwoldo shows perfect screen composition with these empty margins filled up with different types of trees and other objects. Such difference is consistent with the different situational contexts of these two paintings: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is a simple single-sheet painting, while Donggwoldo is a perfected work of painting book given an official title. Therefore, if Donggwoldo was produced to fulfill the role of depiction and documentation as well as the aesthetic purpose, contrastingly, the Painting of Gyeongwoo-gung Shrine only served the purpose of copying the circumstances of the architecture and projecting them onto the painting.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8)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4 s.384
    • /
    • pp.105-110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9)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5 s.385
    • /
    • pp.83-88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4)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11 s.379
    • /
    • pp.51-59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7)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3 s.383
    • /
    • pp.100-104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완)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86
    • /
    • pp.74-79
    • /
    • 2001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3)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7 s.375
    • /
    • pp.61-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설계원리와 미학(2)

  • Han, Dong-Su
    • Korean Architects
    • /
    • no.6 s.374
    • /
    • pp.62-65
    • /
    • 2000
  • 중국의 원림건축은 성시건축, 주거건축, 궁궐건축, 사묘건축, 단묘건축, 능묘건축 등과 더불어 중국고전건축을 구성하고 있는 주요한 유형 가운데 하나이다. 그러나 다른 어떤 건축유형도 원림건축 만큼 중국인의 정신세계와 조형세계를 종합적이고 입체적으로 반영하고 있는 것은 없다. 뿐만 아니라 여기에는 중국을 정점으로 한국과 일본이 함께 일궈낸 한자문화권의 범주 속에서 세 나라가 각기 가지고 있는 건축미학의 차별성도 비교적 명확하게 담겨져 있다. 따라서 중국 고전 원림건축에 대한 이해는 최근들어 우리 건축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비교건축의 시각을 여는 발판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거니와 나아가 우리 자신의 존재가치와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되리라고 믿는다. 이 연재는 모두 10회로 구성하였으며 먼저 중국 고전 원림건축의 기본적인 발전과정을 서술하고 이어서 그 설계원리를 규명해 보며, 다음으로 몇가지 대표적인 사례의 분석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천의 과정을 탐색하는 한편, 최종적으로는 오늘의 중국 현실에서 그러한 가치들이 어떻게 접목되고 있는지 추적해 보고자 한다.

  • PDF

Effect of Samyoyongantang on Contact Hypersensitivity induced by Repeat Elicitation of DNCB. (사묘용안탕(四妙勇安湯) 물추출물이 DNCB로 유발된 접촉성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 Byun, Sung-Hui;Lee, Byung-Wook;Kim, Sang-Chan
    • Herbal Formula Science
    • /
    • v.13 no.2
    • /
    • pp.59-69
    • /
    • 2005
  • Samyoyongantang (SMY), a herbal medicine, has been used as cure for gangrene.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myoyongantang, we treated samyoyongantang extract in animal model system induced contact hypersensitivity. Contact hypersensitivity, a local inflammatory response of the skin, was induced by 1% DNCB on the right ear of BALB/c mouse. Samyoyongantang was prepared as water extract and administrated everyday for 2 weeks per oral. A right ear of mouse was potently swelled by 1% of DNCB treatm ent, but a mouse ear thickness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samyoyongantang after 2 we eks treatment. Samyoyongantang reduced IgG in serum obtained from blood of 1 % DNCB-treated mouse. IgE in serum was not changed by samyoyongantang treatment. From these results, anti-inflammatory effect of samyoyongantang, especially reduction of ear swell ing, might be partly due to reduction of IgG in serum.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Jogyeongmyo Shrine in JeonJu (전주 조경묘(肇慶廟)의 건축 특성)

  • Ahn, Seon-Ho
    • Journal of architectural history
    • /
    • v.32 no.3
    • /
    • pp.53-62
    • /
    • 2023
  • Jogyeongmyo Shrine is the Sijomyo Shrine of the Joseon royal family. It is a representative building that symbolizes Jeonju, the hometown of the Joseon royal family.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s a variety of literature, old maps, and figures, and it investigates the meaning of Jogyeongmyo Shrine as an architectural example as well as its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e Jogyeongmyo Shrine was built to symbolically demonstrate the superior virtue of the royal ancestors compared to the ancestors of the gentry. King Yeongjo built Jogyeongmyo Shrine, which he considered his greatest achievement, to raise the status of the royal family and exact loyalty from the vassals. Jogyeongmyo Shrine is a unique example of an ceremonial architecture that cannot be observed in China or the previous Korean dynasties. In addition, its architecture looks different from that of ordinary shrines because both Confucian ceremonies and the function of each building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during construction. Although Jogyeongmyo Shrine was preserved without significant chang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major modifications were made in all areas except the main shrine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