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사료첨가

검색결과 3,287건 처리시간 0.028초

사료 내 condensed molasses soluble (CMS)의 첨가가 육성비육돈의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ndensed Molasses Soluble (CMS) on Growth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 김기현;송일환;천주란;전중환;서강민;남기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427-434
    • /
    • 2020
  • 본 연구는 생산비 절감을 위하여 양돈사료 내 당밀 대체 Condensed molasses soluble (CMS)를 육성비육돈 사료 내에 첨가 급여하였을 때, 생산성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공시동물은 평균 체중 27.3±1.78 kg의 교잡종(LY×D) 육성돈 160두를 공시하여, 4개 처리구에 완전임의배치로 공시하였다. 시험사료는 시판 육성비육돈사료 급여구(무첨가구)와 시판사료에 각각 당밀 3 % 첨가구(MOL 3.0), CMS 1.5 % 첨가구(CMS 1.5), CMS 3 % 첨가구(CMS 3.0)로 설계하였다. 각 처리구별 시험사료와 물은 70일 동안 자유채식을 실시하였다. 생산성을 분석한 결과, 당밀과 CMS첨가구에서 대조구 대비 사료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이 관찰되었으며, CMS 3 % 첨가에 의해 대조구 대비 종료체중과 일당증체량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p<0.05). 사료요구율은 당밀 및 CMS 첨가 그룹에서 대조구와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사양시험 종료 후 등심부위의 육질을 평가한 결과에서 보수력, 가열감량, pH 모두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육성비육돈 사료 내 CMS 3%의 첨가급여는 육질의 저하 없이 생산성 개선 효과를 가지며, 양돈 사료 내 당밀 대체제로써 CMS의 활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사료내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 혼합첨가가 흰줄납줄개 Rhodeus ocellatus의 Carotenoid 축적 및 체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prika and Zooplankton Supplementation in the Diets on Carotenoid Deposition and Skin Pigmentation of the Rose Bitterling Rhodeus ocellatus)

  • 이충열;배기민;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0-104
    • /
    • 2009
  • 본 연구는 사료내 색소원으로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 혼합첨가가 흰줄납줄개의 carotenoid 축적 및 색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대조사료(Con)를 제외한 모든 실험사료에 paprika 분말 5%를 첨가하고, paprika 분말과 동물플랑크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paprika 분말만 첨가한 실험사료(P5), P5사료에 water flea Moina macrocopa 3% 첨가사료(P5M3), Artemia nauplius (Artemia sp.) 3% 첨가사료(P5A3),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3% 첨가사료(P5R3)로 총 5개의 실험사료를 제조한 후, 2반복으로 10주간 사육실험 하였다. 실험종료 후, 모든 실험구간에서 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총 carotenoids 함량은 동물플랑크톤이 첨가된 실험 구에서 높은 다소 높은 값을 보였다. 특히, P5A3 실험구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흰줄납줄개의 색택은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 혼합 첨가한 실험구가 대조구 및 P5 실험구에 비해 붉은색이 더 선명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흰줄납줄개의 배합사료내 paprika와 동물플랑크톤의 혼합첨가는 붉은 색 개전에 도움이 되었고, 특히 Artemia nauplius 또는 rotifer 첨가가 좋을 것으로 판단된다.

저수온기 넙치 치어에 있어서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사료 내 첨가효과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pirulina and Astaxanthin for Juvenile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Low Temperature Season)

  • 김성삼;;이경준;이영돈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57-63
    • /
    • 2006
  • 본 실험은 사료 내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첨가가 겨울철 저수온기 넙치 치어의 성장과 조직 내 항산화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총 180마리의 치어기 넙치(초기 평균무게, $27.8{\pm}0.3g$)를 3반복으로 12개의 수조에 배치하였다. 4가지 실험사료는 기초사료를 이용한 대조구와 기초사료에 아스타잔틴을 0.5% 첨가한 AST사료, 스피룰리나를 0.5% 첨가한 SPI사료, 그리고 아스타잔틴과 스피룰리나를 각각 0.5% 씩 혼합하여 첨가한 AST+SPI사료로 제조되었다. 6주간의 사육실험 후, 사료 내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을 첨가한 실험구의 성장률, 일간성장률, 사료효율, 단백질전환효율, 혈액분석 및 전어체분석 결과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항산화활성도를 위한 실험사료와 간에서의 DPPH 저해활성 분석결과에서도 모든 실험구 사이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않았다. 분석결과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스피룰리나 첨 가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DPPH 저해활성 경향을 보였으며, 생존율은 아스타잔틴 첨 가구에서 84.4%, 대조구에서 60.0%를 보였다. 본 실험 결과, 사료 내 스피룰리나와 아스타잔틴의 0.5%첨가는 넙치치어의 성장과 사료효율, 혈액성상, 체성분 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In vitro 반추위 발효에 미치는 Formitella fraxinea와 Sarcodon aspratus 발효물질의 영향 (Effects of Fermented Products by Formitella fraxinea and Sarcodon aspratus on In Vitro Ruminal Fermentation)

  • 김용국
    • 농업과학연구
    • /
    • 제31권1호
    • /
    • pp.15-25
    • /
    • 2004
  • 균류발효물질의 사료가치를 평가하고 착유우 사료에 대한 발효물질 첨가가 in vitro 반추위액 발효상태 증진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비발효(Unfermented; UF)구와 Formitella flaxinea(FF)와 Sarcodon aspratus(SA)에 의한 톱밥+소맥피 배양물 성분변화와 48시간 발효 후 소화율을 측정하고 기본유우사료 (Basal diet)에 이들 발효물을 0, 1, 3 및 5%를 첨가하여 in vitro 건물소화율, pH 및 용해성 당류의 변화 등을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발효물의 영양소 함량변화는 Neutral detergent fiber(NDF)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는데 SA와 UF(80.4와 82.2%)가 FF(88.3%)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P<0.05). In vitro 반추위 소화시험(48시간)에서는 SA(21.2%)가 UF와 FF(17.9 및 12.2%)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2. 균류 첨가 사료에 대한 건물소화율을 발효 24시간에서 기본사료(44.98%)에 비하여 FF 1%(49.18%)에서 높게 나타났으며(P<0.05), 기타 균류첨가사료에서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발효 48 및 72시간에서는 기본사료와 첨가사료간에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3. 반추위 pH는 발효 24시간 및 48시간에서 기본사료(6.64 및 6.91)에 비하여 첨가사료가 낮은 경향(5.37~6.01 및 6.04~6.07)을 보였으며 (P<0.05), 발효 72시간에서는 SA 1%(6.74)가 기본사료(6.41)에 대하여 높게 나타났으나(P<0.05) 기타 첨가구에서는 유의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4. 가용성당 함량은 발효 24시간에서는 기본사료 첨가구에서 유의차가 보이지 않았으나 48시간은 기본사료(1.44%)에 비하여 SA 5%(1.71)에서 높게 나타났고 발효72시간에서는 기본사료(1.44%)에 비하여 첨가구사료(1.64~1.74%)가 모두 높게 나타났다(P<0.05). 5. 이상의 결과로 보아 균류발효물질의 사료나 사료 첨가제로서 in vitro 반추위 소화율 증진 효과가 나타났고 가용성당함량 증가효과도 보였다. 따라서 앞으로 첨가제를 순수한 균사로만 분리 제조하면 효과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기대되며 톱밥균류 발효물질 전체를 사료의 5%내에서 이용효과도 기대된다고 판단되었다.

  • PDF

육계 사료 내 마늘분말의 첨가급여가 육계 성장과 HMG-CoA Reductase의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Garlic Powder on Growth Performance and mRNA Expression of Hepatic HMG-CoA Reductase in Broiler Chickens)

  • 유선종;안병기;강창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1권4호
    • /
    • pp.307-314
    • /
    • 2009
  • 육계사료 내 마늘분말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성장성적과 간 HMG-CoA reductase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1일령의 육계 Ross 수평아리에게 마늘분말을 0%(항생제 첨가 또는 항생제 무첨가), 1%, 3% 및 5%의 수준으로 첨가한 실험사료를 각각 6주간 급여하였다. 증체량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마늘분말 3% 및 5%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P<0.05), 사료섭취량은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다. 육계 사료 내 5%까지의 마늘분말의 첨가급여는 증체량과 사료섭취량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간, 비장, 맹장 및 가슴 근육에 대한 상대적 중량은 처리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근육 내 콜레스레롤 함량은 항생제 첨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IB 항체 생성량은 항생제 무첨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간의 HMGCoA reductase mRNA의 발현은 대조구에 비해 마늘분말을 첨가한 모든 처리구에서 저하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료 내 마늘의 첨가급여는 육계의 성장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콜레스테롤 대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시사되었다.

황기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의 성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l Astragalus membranaceus 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류경선;강창원;송근섭;백승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3
    • /
    • 1998
  • 본 연구는 황기의 사료내 첨가·급여가 육계의 항병성, 생산성 및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기초사료는 전기 3주와 후기 2주에 각각 21과 19% 수준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었다. 시험설계는 황기의 첨가수준을 0, 0.25, 0.50, 1.00%로 4개의 처리구로 하였고, 처리구당 4반복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50수씩 800수를 이용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5주동안 매주 측정하였고, 시험 종료시에 혈액의 성상 및 계육의 지방과 단백질함량을 조사하였다. 황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사료효율은 0.25%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육계용 사료에 황기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혈청 콜레스테롤과 AST는 감소하였으며, 헤마토크릿, 지방, 인과 BUN의 수준은 0.25%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혈청 GH와 IGF-1은 0.50과 1.00% 황기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0.25와 0.50%황기 첨가구에서 가슴육의 지방과 단백질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50%이상의 수준에서는 일관성이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 육계용 사료에 황기의 적정 첨가수준은 0.25%이하에서 생산성과 항병성 및 계육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