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사랑의 정원

Search Result 24,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A Historical Study of the Form and Meaning of the Garden Labyrinth (정원 미로의 형태와 의미에 관한 역사적 고찰)

  • Hwang, Ju-Young;Zoh, Kyung-J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4
    • /
    • pp.84-95
    • /
    • 2010
  •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survey of the labyrinth/maze in gardens. The term 'garden labyrinth' may seem an oxymoron given that the garden represents the terrestrial paradise, while the labyrinth is a symbol of the most chaotic face of the world. In etymological and ontological terms, however, gardens are enclosed places and this characteristic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of the labyrinth, which is the one of the oldest signs in human civilization, symbolizing the paths of human life filled with uncertainty and complexity. The garden labyrinth has developed in various forms and shapes since the Renaissance period. Literature and paintings contributed to the dissemination of the concepts of the garden labyrinth, especially in the form of the 'garden of love'. While the labyrinths in ancient and medieval times focused on plane shapes and symbolic and/or spiritual meanings, later garden labyrinths emphasized the three dimensional form and synesthetic pleasures. New patterns, which deviated from the classical unicursal form, emerged in the Petit Parc at Versailles in the 17th century. The garden labyrinth/maze was easy to adopt in formal gardens because of its geometric form, but for that reason, it went on to decline during the fad of picturesque garden. In this study, a brief history of labyrinths, the patterns, forms, and arrangement of the garden labyrinths in the formal gardens of the Renaissance and Baroque periods and its meanings are reviewed.

Visual relationships between Sarangche Numaru, Sarang Madang and Outer space (사랑채 누마루와 사랑마당 및 외부차경공간의 시각적 관계 -영남지방 조선시대 15~16세기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Kim, Young-Hyun;Shin, Moon-K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2
    • /
    • pp.6135-6142
    • /
    • 2012
  •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ifferent characteristic of the inner and outer spacing of Sarangche Numaru according to their geographical location conditions during its construction in 15-16th century. The results showed; first, for hill-type, the side of the Numaru that is in contact with the Sarang Madang makes a short side of Sarangche Numaru regardless of the Orientation and for flatland-type, the side of the Numaru in contact with the Sarang Madang makes a long side of Sarangche Numaru. Secondly, for hill-type, Sarang Madang is not focused as the main view, instead it supports the view of the mountains that are around however, for flatland-type, Sarang Madang is focused as the main view therefore, an inner garden is formed inside Sarang Madang. Lastly, for hill-type, Cho Shan is used as an appropriative landscape while for flatland-type, Sarang Madang is used as the main view and an inner garden is formed because of the diversification of Sarang Madang's function.

Garden Party In March

  • Gwon, Hui-Ran
    • 주택과사람들
    • /
    • s.190
    • /
    • pp.34-39
    • /
    • 2006
  • 작은 정원에서 열리는 이른 저녁의 프라이빗 파티. 봄을 맞는 자리에는 홍차, 와인, 핑거 푸드, 아름다운 꽃으로 꾸민 테이블과 싱싱한 내음을 주는 나무 그리고 사랑하는 사람들만 있으면 된다. 행복한 봄날의 미니 파티.

  • PDF

A Study on the Transitional Aspects in Korean Gardens that Reflected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외암리 민속마을에 나타난 한국정원의 전환기적 양상)

  • Lee, Won H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1
    • /
    • pp.100-121
    • /
    • 2009
  • This study is subjected to those gardens of the Korean Folk Village 'Oeam-Ri' designed in 1920s. - transitional period of traditional gardens - and define socio-cultural change's influences and through documents on garden design, descendant's testimony and measured drawings, to understand that period's garden culture's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garden design elements. This study applied following analysis methods and procedures to derive out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garden culture. Analysis on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n 1920s. Analysis on actual condition of transitional garden's design. In this point Outline of the Garden, Space formation, Garden designing elements are (1) water landscape, (2) plant, (3) structures, (4) paving, to derive out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garden. The results follow as below; First,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1920s, the economical development, fueled by opening nation's door to foreign countries and indication of collapse of statue systems together with idea of practical science and Enlightenment Thought, was element of changes in garden style. Second, Garden Designers of transitional gardens in 'Oeam-Ri' were limited to upper class of the society. They were wealthy enough to maintain their high social statue in rapidly changing society. As results, tendency of returning to nature developed gardens located in a site of scenic beauty and development of geographical features arranging techniques, and also showed copying foreign styles. Third, arrangement of garden and space composition, in most cases, composed of buildings and yards. Changes in water landscape features and garden spaces are centered to main-yard. Major changes of the garden spaces are water landscapes and plants that showing foreign influences. Fifth, scenic appearance techniques appears with dense garden space and emphasizing visual scenic view. Sixth, the characteristics of transitional garden design techniques are development of geographical feature arranging techniques, changes and mixture of the materials and garden types, emphasizing garden's decorative beauty, change of concept of yard within house into garden, changes from 'borrowing of landscapes' to 'selecting landscapes', changes of front garden from emptiness to fullness, changes of attitudes of enjoying gardens from 'staying calm in the garden' to 'moving or walking in the garden', changes to inner-oriented view, and changes from 'just watching and enjoying the nature' to 'enjoying specific objects'. This study is one of the efforts to restore the identity of Korean Traditional Garden by approaching and observing modern era which function as bridge between tradition and present day, and we observed transitional aspects of changes of traditional garden into modern garden. Hereafter, more studies will be needed to Modern Garden Design be recognized as part of Korean Garden Design History and these would be author's next assignment.

조경수의 병해충-산딸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Choe, Gwang-Sik
    • Landscaping Tree
    • /
    • s.101
    • /
    • pp.23-26
    • /
    • 2007
  • 가을이면 막대사탕처럼 현재 40~50대 중.장년층의 어린 시절을 영상하게 하는 열매는 진분홍색으로 달콤한 맛과 함께 향수를 자극한다. 또한 6월에 십자 모양의 백색으로 피는 꽃은 예수님이 이 나무에서 운명하였다하여 성스러운 나무로 취급되어 기독교인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나무이기도 하다. 또한 나무의 수관, 열매, 꽃 모든 것들이 아담하면서 화사하고, 청초하기 때문에 현대인들의 조경수, 정원수, 가로수로 매우 사랑받고 있는 나무이다. 늦가을 겨울을 재촉하는 바람 소리에 새벽잠을 설쳐도 우리의 마음을 한결 부드럽게 어루만져 주는 산딸나무는 화원의 대장 노릇을 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 같다. 또한 각종 약용, 식용으로 사용되어 버릴 것 하나 없는 우리에게 즐거움만 주는 나무이다. 하지만 이러한 나무에 해충이 피해를 주니 이들의 종류 및 생태 그리고 방제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기획시리즈 - 조경수의 해충 - 남천에 피해를 주는 해충 -

  • Choe, Gwang-Sik
    • Landscaping Tree
    • /
    • s.114
    • /
    • pp.25-27
    • /
    • 2010
  • 남천(Nandina domestica)은 중국이 원산지이며 매자나무과에 속하며 우리나라 남부지역에서 관상수로 많이 식재되며 애호가들에게 인기가 많은 수종이다. 특히 가을에 붉게 물든 잎이 겨울까지도 붉은 색을 그대로 간직하여 겨우내 잎 없이 삭막한 겨울을 나는 여러 활엽수와는 달리 아름다움 자태를 가진 나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겨울에는 송이송이 달려있는 붉은 열매가 아름다운 정원이나 공원 등지에 군식(群植)하여 악센트식재, 차폐식재, 경계식재용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열매와 줄기는 약재로 사용되며, 열매가 황색으로 익는 것은 노랑남천(var. leucocarpa)이라고 한다. 요즘에는 다채로운 원예종으로 개발되고 있기도 하다. 이처럼 우리의 사랑을 받고 있는 남천에 피해를 주는 몇몇 해충 종에 대해서 생태 및 방제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기획시리즈 - 조경수의 해충 - 자귀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 Choe, Gwang-Sik
    • Landscaping Tree
    • /
    • s.111
    • /
    • pp.21-23
    • /
    • 2009
  • 자귀나무는 콩과에 속하며 우리 주변에서 훤히 관찰되는 나무로서 꽃, 잎, 열매 모두 관상 가치가 있다. 우리 고유수종인 본 나무는 수피는 한약재로도 사용되었고, 잎은 녹비로 사용하였으며 최근에는 조경수, 정원수, 가로수, 사방용수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나무이다. 특히 꽃은 연분홍색의 공작새의 꼬리 같아 꽃피는 기간도 한 달간 지속되어 사람들의 사랑을 많이 받는 나무이다. 추위에는 비교적 약하지만 우리나라 전역의 공원 및 도시 주변의 조경수나 가로수로 적당한 수종이라 할 수 있다. 자귀나무는 비교적 병해충에 강한 수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몇몇 해충의 피해가 나타나 이들에 대한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조경수의 병해충 - 벚나무에 피해를 주는 해충

  • Choe, Gwang-Sik
    • Landscaping Tree
    • /
    • v.79 no.3_4
    • /
    • pp.27-30
    • /
    • 2004
  • 봄이면 우리의 가슴을 설레게 하는 벚꽃의 연분홍색 자태는 4월을 알리는 봄의 전령으로 우리를 기쁘게 하지만 이를해치는 해충의 종류는 한국수목해충목록집에 424종이 등재되어 있어 인간이 벚꽃을 사랑하는 만큼이나 곤충들도 벚나무류를 무척 좋아 하는가봅니다. 1990년 이후 각 도시의 가로수, 정원수로서 경쟁적으로 식재 관리하고 있는 벚나무류에 대한 주요해충으로 복숭아혹진딧물, 뿔밑깍지벌레, 뽕나무깍지벌레, 공깍지벌레, 벚나무응애 등 흡증성해충을 중심으로 이들 해충에 대하여 생리·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조경수의 해충-능소화를 가해하는 해충

  • 최광식
    • Landscaping Tree
    • /
    • s.105
    • /
    • pp.15-17
    • /
    • 2008
  • 7월이면 도심의 벽 울타리를 따라 화려하게 꽃으로 장식하며 우리의 마음을 한결 가볍게 해주는 능소화는 중국 원산으로 낙엽활엽의 덩굴성 식물로 주로 중부 이남 지역에서 사찰의 관상용으로 식재하였으나 요즘은 전국 어디서나 쉽게 볼 수 있고,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식물이다. 특히 도심의 고건축물이나 휴식공간에 식재하면 나팔 모양의 꽃과 색상이 화려하면서 점잖고 기품이 있어 동양적인 아름다움을 함께 누릴 수 있는 나무이다. 또한 공해에도 비교적 강하기 때문에 도심의 정원수나, 조경수로 보급 가능하다. 해풍과 염기에 강하며 해안지역에서도 잘자라며 비옥한 사질양토에서 생장이 좋다. 이런 능소화를 가해하는 해충으로 뒷노랑얼국나방과 미국흰불나방 등이 피해를 주고 있어 이들에 대한 생태 및 방제법을 간략하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