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비-배제적 여성 주체

Search Result 3,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Effects of gender and emotional expression of anthropomorphic interface agent on users' perception of the agent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과 정서 표현이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효과)

  • Chung, Duk-H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18-525
    • /
    • 2007
  • 컴퓨터와 사용자와의 효과적인 정서적 상호작용의 도구로서 의인화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정서 표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는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가 어떤 정서를 표현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인간과의 원활한 정서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떤 정서인가의 문제만이 아니다. 인간은 타인의 상황과 정서에 공감하는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상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공감하는 방식의 정서 표현은 사회적으로 적용되는 성별 고정관념에 따라 여성적 속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공감하는 방식의 정서 표현이라 하더라도 표현의 주체가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상대방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간의 사회적 관계에서 일어나는 공감적인 정서 표현과 표현하는 주체의 성별의 효과가 인간-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간의 상호작용에서도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참가자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가 함께 게임에 참여하는 과제를 실시하고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 참가자의 성별, 얼굴 표정과 말을 통한 정서 표현의 공감 여부(타인의 상황에 공감하는 정서 표현 - 자신의 상황에 대한 정서 표현), 정서 표현 여부(얼굴 표정과 말로 정서를 표현 - 정서가 배제된 무표정과 말)에 따라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해 참가자가 지각한 배려, 호감, 신뢰, 지능, 지배, 순종이 어떻게 다른지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타인의 상황과 정서에 공감하는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의 배려, 지능, 순종적 성향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거나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참가자가 지각하는 배려와 호감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는 조건에서 배려와 호감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대로 참가자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해 갖는 신뢰에 대해서 여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거나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참가자가 느끼는 신뢰의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에이전트에게 더 높은 신뢰를 보였다. 또한 남성 참가자에 비해 여성 참가자가 에이전트의 배려, 호감, 지능, 순종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 간의 원활한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어떤 정서를 표현할 것인지 뿐만 아니라 누구에 대한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Study of the Employment Condition and Labour Experience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Teachers: A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초등돌봄교사의 고용형태와 노동경험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 Kim, Hyun Mi;Shin, Julia Jiwon
    • 한국사회정책
    • /
    • v.23 no.2
    • /
    • pp.141-172
    • /
    • 2016
  • This study examines the employment conditions and labour experience of elementary after-school care teacher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empirical data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after-school care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the study considers multifaceted problems faced by after-school care teachers in their workplace. The after-school care class is part of educational policies initiated and rapidly expand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resulting in the substantial increase of non-regular school workers. The irregularization of after-school care teachers illustrates that the common problems faced by female non-regular workers, such as social discrimination, exclusion and inequality, are also transplanted into the typical public sector. In the cas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during the past two years there have been evident increases both in under 15-hour short time contract care teachers and outsourcing of care classes. Temporary part-time contract care teachers suffer relentless job insecurity and experience poor working conditions,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within the workplace and labour alienation. In order to minimize the organized resistance of care teachers, school authorities implicitly individualize and isolate care teachers through hierarchization, the division of labour and the spatial division of classes between indefinite and temporary contract teachers.

A Study on the Meaning of 'House' in Chi Li' s Novel (츠리(池莉) 소설에 나타난 '집'의 의미 고찰)

  • Choi, Eunjung
    • Cross-Cultural Studies
    • /
    • v.47
    • /
    • pp.291-312
    • /
    • 2017
  • This paper examines how 'house' is meaningful in Chi Li's novel. Chi Li focuses on the house as a symbol of status, and the house as a place of gender performance. First, as a sign that symbolizes an individual's identity, 'house' is divided into intellectual and petit bourgeois, and constitutes binarism into civilization/non-civilization, knowledge/non-knowledge, spirit/anti-spirit and superior/inferior. In recognizing the irrationality and unfairness behind house symbolizing intellectual and petit bourgeois, Chi Li shatters the boundaries of the binaralized house as a sign of identity. Second, it dismantles the house as a place where gender is (re)produced. This is accomplished through two aspects. One is to re-define a private area house as a public area in which economic activity occurs. The house, as a public area in which economic activity occurs, becomes a place where women are reborn as economic entities. Passive, dependent femininity is reconstructed as independent and subjective. The other dismantles the definition of the house which is identified with masculinity. The house identified with masculinity is a place that symbolizes the socio-economic capacity of men.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ability of males, the house is a place symbolizing the realization of masculinity, and it becomes a place to fix the gender order while reproducing masculinity. It may become a place to experience the weakening or defamation of masculinity. At that moment, the house becomes a place where the gender order of masculinity and femininity is overturned. Through this, Chi Li reconstructed, and in a sense revolutionized the definition of the house as a place where traditional gender is (re) produced by dismantling the definition of fixed femininity or masculinity.